시중은행 주담대 대출 금리, '6%대' 올라섰다…2년 만

2025년 11월 17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44개
수집 시간: 2025-11-17 00:18:04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8개

JTBC 2025-11-16 12:08:20 oid: 437, aid: 0000464750
기사 본문

시중 은행 대출금리가 약 2년 만에 6%대로 올라섰습니다. 지난 14일 기준, 4대 은행의 주택담보대출 혼합형 금리는 연 3.93%에서 6.06%를 기록했습니다. 한국과 미국에서 기준금리 인하 등 통화 완화 정책이 계속될지 불투명해지면서 시장 금리가 높아졌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중앙일보 2025-11-16 17:26:30 oid: 025, aid: 0003482958
기사 본문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주담대) 금리가 최고 연 6%대로 치솟았다. 한국은행의 추가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이 옅어지면서, 시장금리가 먼저 급등한 영향이다. 금리 인상에 기존 대출자의 이자 부담이 커지고, 신규 대출자의 한도도 줄어들 전망이다. ━ 혼합형 주담대 약 2년 만에 6%대 16일 4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에 따르면 14일 기준 주담대 혼합형(고정) 금리(은행채 5년물 기준)는 연 3.93∼6.06%다. 8월 말(연 3.46∼5.546%)과 비교해 대출 금리의 상단은 0.514%포인트 하단은 0.47%포인트 높아졌다. 4대 은행의 주담대 혼합형 금리가 최고 연 6%를 넘어선 것은 2023년 12월 이후 약 2년 만에 처음이다. 당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이후 기준금리가 최고 수준으로 올라갔던 시기다. 서울 시내의 한 은행 앞에 주택담보대출 안내 현수막이 걸려 있다. 뉴스1 4대 은행의 만기 1년 신용대출 금리(신용등급 1등급 기준)도 ...

전체 기사 읽기

더팩트 2025-11-16 00:03:11 oid: 629, aid: 0000444150
기사 본문

'매파 발언' 이창용 한은 총재…금리 인하기 종료될까 해외 언론과 인터뷰서 '방향 전환' 언급…시장서 '금리 인하 종료'로 해석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지난달 23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관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뉴시스 ☞<상>편에 이어 [더팩트ㅣ정리=문화영 기자] -다음은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의 발언 후폭풍 소식입니다. 이 총재가 기준금리 인하기에 접어들었다는 이야기를 지속해오다가 '방향의 변화'를 언급하면서 채권 시장이 요동치고 있습니다. 시장에서 이 총재의 말을 기준금리가 인상될 수 있다는 뜻으로 해석하면서 국채를 매각하려는 수요가 늘어나 국채금리가 급등하는 현상이 나타났는데요. 한은 부총재보가 이 총재의 말이 금리 인상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는 해명을 하며 급히 '진화'에 나섰지만 시장에서는 금리 인하가 사실상 종료됐다는 의견이 지배적입니다. -최근 이 총재가 '매파적(긴축 선호)' 발언을 했다면서요. -이 총재는 지난 12일 블룸버...

전체 기사 읽기

뉴시스 2025-11-16 08:00:00 oid: 003, aid: 0013602674
기사 본문

[서울=뉴시스] 사진공동취재단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금리 결정에 대한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10.23.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남주현 기자 = 올해 마지막 통화정책방향 회의를 앞두고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들의 금리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부동산 불안정에 이어 좀처럼 내려오지 않는 환율까지 금리 인하 기대가 한층 멀어지고 있다. 반도체 경기가 슈퍼사이클에 접어들었다는 판단까지 더해지며 금리 인하를 둘러싼 명분이 더욱 약해지는 분위기다. 16일 서울외환시장에 따르면 지난 14일 오후 장에서 원·달러는 1457.0원에 거래를 마쳤다. 전일대비 4.2원 오른 1471.1원에 장에 나선 환율은 코스피에서 외국인 이탈 등의 영향으로 한때 1474.9원까지 올랐다가 당국의 구두 개입성 발언이 나온 후에야 겨우 진정됐다. 같은날 오전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이억원 금융위...

전체 기사 읽기

세계일보 2025-11-17 06:02:23 oid: 022, aid: 0004083079
기사 본문

은행 ‘총량 관리’로 2년만에 재진입 자금 조달때 적용받는 시장금리 높아져 혼합형 금리 주요지표 0.5%P이상 올라 신용점수 높은 고객이 ‘더 비싼 이자’ ‘금리 역전’ 현상도… 취약층 혜택 ↑ 영향 한은, 이달 기준금리 동결 전망 우세 금리 ↑·한도 축소 연말까지 이어질 듯 주택담보대출(주담대) 금리가 2년 만에 다시 6%대까지 치솟았다. 은행들이 대출 총량 관리를 위해 문턱을 대거 높인 가운데 금융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은 늘면서 일부 구간에선 신용점수가 높은 사람이 저신용자보다 높은 금리를 적용받는 ‘역전 현상’도 벌어졌다. 16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의 주담대 혼합(고정)형 금리는 지난 14일 기준 연 3.930∼6.060% 수준이다. 혼합형 금리 상단이 6%를 넘은 것은 2023년 12월 이후 약 2년 만이다. 16일 서울 시내의 한 은행 앞에 주택담보대출 안내 현수막이 걸려 있다. 뉴스1 두 달여 전인 지난 8월 말(연 3.460∼5.546%)과 비교...

전체 기사 읽기

노컷뉴스 2025-11-17 05:01:15 oid: 079, aid: 0004086442
기사 본문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 후퇴에 시장금리↑…상승세 지속 전망 취약계층 지원에 신용점수 높아도 금리 높은 현상도 이어질 듯 황진환 기자 최근 시장 금리 상승의 영향으로 은행 대출금리가 2년 만에 6%를 기록했다. 이런 상황에서 취약계층 금융지원 확대에 따라 신용점수 높은 대출자가 낮은 대출자보다 대출금리는 높은 '역전 현상'도 나타났다. 주담대 금리 6% 등장…시장금리 더 높아질 듯 17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14일 기준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의 주택담보대출 혼합형(고정) 금리(은행채 5년물 기준)는 연 3.93~6.06%다. 4대 은행의 6% 혼합형 금리는 2023년 12월 이후 약 2년 만이다. 8월 말(연 3.46~5.546%)과 비교하면 상단이 0.514%p, 하단이 0.47%p 올랐다. 이는 같은 기간 혼합형 금리 지표인 은행채 5년물 금리가 2.836%에서 3.399%로 0.563%p 오른 영향이다. 신용대출 금리(1등급·만기 1년)도 같은 기간 연 3.52~4.99%...

전체 기사 읽기

데일리안 2025-11-17 06:15:11 oid: 119, aid: 0003025668
기사 본문

오는 27일 올해 마지막 한은 금통위…네 차례 연속 동결 가능성 ↑ 부동산 불안·환율에 발목…금리 인하시 시장 자극 등 부작용 우려 "금리 인하할 명분·정당성 부족…내수회복 기여보다 부작용 더 커" "내년도 금리 인하 쉽지 않아…하더라도 상반기 한차례에 그칠 듯"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시점이 사실상 내년으로 넘어갔다는 관측이 나온다.ⓒ데일리안 AI 삽화 이미지 [데일리안 = 박상우 기자]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시점이 사실상 내년으로 넘어갔다는 관측이 나온다. 부동산 과열과 고환율 흐름 등으로 금리 인하가 오히려 경제 불안을 키울 수 있다는 경계감이 커지는 모습이다. 17일 금융권에 따르면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는 오는 27일 올해 마지막 통화정책방향회의를 진행한다. 앞서 한은은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5월까지 네 차례에 걸쳐 기준금리를 인하했으나, 7·8·10월 회의에서는 세 차례 연속 동결을 결정했다. 부동산 시장과 환율 불안 요인을 고려한 판단이었다. 시장에서는 기준...

전체 기사 읽기

이데일리 2025-11-16 08:37:09 oid: 018, aid: 0006165006
기사 본문

증시로 머니무브→銀 채권발행 통한 자금수요↑ 올 하반기 은행채 순발행액 전년比 9% 증가 한은 통화정책 피벗 가능성에 채권금리 더 올라 금융채↑→예금금리 인상→은행 조달비용 상승→대출금리↑ 대출 영업경쟁도 어려워 당분간 금리인상 지속 서울 시내의 한 은행 입구에 대출 안내문이 붙어있다.(사진=연합뉴스) [이데일리 김나경 기자] 증시 활황에 채권금리마저 들썩이면서 1년 만에 시중은행 주택담보대출 금리 상단이 6%를 넘어섰다. 증시로 자금이 이동하며 은행이 예금 대신 은행채 발행을 통한 조달을 늘리는 와중에 한국은행 통화정책 방향전환(피벗) 가능성으로 채권금리가 오르고 있기 때문이다. 시장금리 상승에 따라 예금상품 금리가 올라가고, 은행의 자금조달비용이 커지면서 대출금리까지 동반 상승하는 흐름이 당분간 이어질 걸로 보인다. 16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의 12개월 만기 예금상품 금리는 최근 두 달 사이 0.3%포인트 이상 올랐다. 5대 은행의...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