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각해지는 고용 연령 양극화..30대·60대 빼곤 일자리 ‘총체적 부실’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국가데이터처, 9월 고용동향 발표 전체 취업자 31만명 늘어서 19개월 만에 최대폭 증가 60세 이상만 38만명 증가해 전체 증가분 초과 지난 9월 전체 취업자 수가 31만명 이상 늘어 1년 7개월 만에 최대 증가 폭을 기록했지만, 청년층은 14만6000명이나 줄어 모든 연령대 중 감소 폭이 가장 컸다. 제조업과 건설업도 각각 15개월, 17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가면서 양질의 일자리 부진이 계속되고 있다. 30대와 60세 이상을 제외한 모든 연령대에서 취업자가 줄어 고용시장의 양극화가 극심해지는 모습이다. '2025년 해양수산 취업박람회'가 열린 4일 부산 해운대구 벡스코 제2전시장에서 군 장병· 취업준비생 등이 채용공고 게시판을 살펴보며 음료를 마시고 있다. /김동환 기자 17일 국가데이터처가 발표한 ‘9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15세 이상 취업자는 2915만4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31만2000명 증가했다. 이는 지난해 2월(32만9000명) 이후 1년 7개월 만에 ...
기사 본문
9월 취업자 31.2만명↑ 1년 7개월 만에 최대 증가 숙박·음식, 예술·스포츠·여가 등 서비스업 중심 제조·건설업 등 ‘양질 일자리’ 고용 부진은 여전 “조속한 관세 협상으로 제조업 불확실성부터 해소해야” 정부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효과로 9월 취업자 수가 1년 7개월 만에 최대 폭으로 늘었다. 그러나 숙박·음식, 도소매, 예술·스포츠·여가 등 소비 진작에 직접 영향을 받은 서비스업 중심의 증가에 그쳤고, 제조·건설업 등 ‘양질 일자리’ 기반 산업의 부진은 여전하다. 특히 전 연령대 가운데 청년층의 고용률만 하락하며 ‘구조적 고용난’은 해소되지 않은 모양새다. 17일 서울 마포구 서울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 구인 게시판 모습. /연합뉴스 국가데이터처가 17일 발표한 ‘2025년 9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915만4000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31만2000명 늘었다. 취업자 증가 폭이 30만 명을 넘어선 것은 지난해 2월 이후 처음이다. 고용률(63.7%)과 경제...
기사 본문
9월 취업자 증가 폭 30만명대 회복 소비쿠폰으로 서비스업 일자리 늘어 정부 “증가세 계속”, 전문가들 “둔화 가능성”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처임을 알리는 편의점 안내문. 이주빈 기자 9월 취업자 수가 1년 전보다 30만명 넘게 늘어 19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정부는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하면서 정책 효과에 따른 고용 증가세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국가데이터처가 17일 발표한 ‘9월 고용동향’을 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915만4천명으로 1년 전보다 31만2천명 증가했다. 지난해 2월(32만9천명) 이후 19개월 만에 최대 증가 폭이다. 취업자 수 증가 폭은 올해 들어 5월(24만5천명)을 제외하고 매달 10만명대에 그쳤다. 특히 소비쿠폰 효과에 힘입어 도소매업과 숙박·음식점업 등 서비스업 고용이 개선됐다. 도소매업 취업자는 전년 동월 대비 2만8천명 늘면서 2017년 11월(4만6명) 이후 가장 큰 폭의 증가세를 기록했다. 예술·스포츠...
기사 본문
국가데이터처, 9월 고용동향 발표 도소매업·숙박음식점업 등 취업자수 반등 건설업 17개월 제조업 15개월 연속 감소 15~64세 고용률 70.4%…9월 기준 역대 최고 청년 고용률은 17개월째↓…하락폭은 축소 정부 "정책 효과로 노동시장 진입 늘고 있어" [서울=뉴시스] 황준선 기자 = 민생회복 소비쿠폰 2차 지급 신청일을 하루 앞둔 21일 서울 마포구 망원시장의 한 상점에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가능 안내문이 게시돼 있다. 2025.09.21. hwang@newsis.com [세종=뉴시스] 안호균 임하은 기자 = 9월 취업자 수가 전년 동월 대비 31만2000명 증가하며 19개월 만에 가장 큰 폭의 증가세를 나타냈다. 2차 추가경정예산에 포함된 민생회복 소비쿠폰과 문화쿠폰의 효과로 도소매업, 숙박·음식점업, 예술·여가서비스업 등에서 취업자 수 증가폭이 크게 확대됐다. 하지만 건설업·제조업·농림어업 등에서는 고용 부진이 지속됐고, 청년층 고용률도 17개월째 마이너스를 이어갔다. 1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