릴리가 '흠뻑' 빠진 에이비엘바이오, '그랩바디T' 한발 더 남았다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BBB 투과 플랫폼 '그랩바디B' 기술이전만 8조 규모 그랩바디T 'ABL111' 1b상 내년 1Q 데이터 발표 예정 에이비엘바이오 연구원이 연구를 하고 있다.(에이비엘바이오 제공)/뉴스1 (서울=뉴스1) 황진중 기자 = 이중항체 전문기업 에이비엘바이오(298380)가 글로벌 제약사인 GSK, 일라이릴리 등과 연이어 최대 조 원 규모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하면서 플랫폼 기술 경쟁력을 입증하고 있다. 7개월 만에 두 건의 계약으로 확보한 기술이전 규모만 7조 9000억 원이다. 업계는 에이비엘바이오가 기술이전에 성공한 '그랩바디-B' 외에 추가적으로 '그랩바디-T'를 보유하고 있어 추가 기술이전을 기대한다. 릴리와 3.8조 기술이전·220억 지분 투자 '동맹 결성' 15일 업계에 따르면 에이비엘바이오는 지난 14일 릴리와 1500만 달러(약 220억 원) 규모의 전략적 지분 투자 계약을 체결했다. 앞서 12일 릴리와 총 26억 200만 달러(약 3조 8236억 원) 규모 '그랩바디-B'...
기사 본문
올해 제약·바이오 기술 수출 규모 18조원 돌파 에이비엘, 릴리에 그랩바디-B 플랫폼 기술 수출 리가켐·펩트론 등 추가 계약 성사 기대감↑ ⓒ데일리안 AI 삽화 이미지 [데일리안 = 이소영 기자]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 기술 수출 규모가 18조원을 돌파했다. 최근 플랫폼 기술을 앞세운 에이비엘바이오가 대규모 딜을 체결하면서, 업계에서는 연말까지 추가적인 기술 수출에 대한 기대감이 고조되고 있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의 누적 기술 수출 규모는 18조1100억원으로 지난해 8조1000억원에서 두 배 넘는 규모로 성장했다. 이는 이전 최대 기술 수출 실적을 기록했던 2021년 13조8000억원도 크게 앞서는 성과다. 올해 역대급 기술 수출 배경에는 플랫폼 기술을 앞세운 국내 바이오텍들의 경쟁력이 자리 잡고 있다. 글로벌 빅파마들이 특허 만료에 대비, R&D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초기 개발 비용 부담이 적은 플랫폼 기술 확보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는 점을 공...
기사 본문
◆美 릴리 220억 지분투자 투자금, 그랩바디-B 기술에 사용 비만·근육 질환 등 플랫폼 확장 [서울경제] 미국 일라이릴리가 에이비엘바이오와 기술이전 계약을 맺은 데 이어 전략적투자자(SI)로 나서면서 양 사 협력이 일반 파트너십과 다른 차원으로 올라섰다. 일라이릴리가 에이비엘바이오의 주요 주주로서 신약 개발 성과를 공유하게 되는 만큼 자원을 투입할 가능성 또한 높아지기 때문이다. 에이비엘바이오는 일라이릴리와 220억 원 규모의 전략적 지분 투자 계약을 체결했다고 14일 밝혔다. 앞서 12일 일라이릴리와 총 26억 200만 달러(약 3조 8000억 원) 규모의 ‘그랩바디-B’ 플랫폼 기술이전 및 공동 연구개발(R&D) 계약을 체결한 데 이어 전략적 지분 투자 계약을 추가로 맺게 됐다. 해당 자금은 미국 정부의 반독점개선법 승인을 받은 뒤 관련 행정절차 완료 이후 납입된다. 이번에 발행되는 보통주는 한국예탁결제원을 통해 1년간 보호예수된다. 국내 신약 개발 기업이 글로벌 빅파마로부터 ...
기사 본문
유상증자에 220억원 투입 3.8조 기술수출 이어 주주 영입 "글로벌 빅파마 첫 전략지분 투자" 신약 개발 기업 에이비엘바이오가 시가총액 기준 세계 최대 제약사인 미국 일라이릴리로부터 지분 투자를 받는다. 일라이릴리에 3조8000억원 규모 기술수출을 한 지 불과 이틀 만에 이뤄낸 추가 성과다. 에이비엘바이오는 일라이릴리를 대상으로 220억4245만원 규모의 제3자배정 유상증자를 결정했다고 14일 공시했다. 발행 신주 수는 17만5089주, 신주 발행가는 주당 12만5900원이다. 일라이릴리의 투자금은 미국 경쟁당국에서 반독점 개선법 관련 행정절차가 완료된 뒤 납입된다. 이번에 발행되는 보통주는 한국예탁결제원을 통해 1년간 보호예수된다. 에이비엘바이오는 “글로벌 빅파마가 국내 바이오 기업을 대상으로 한 최초의 전략적 지분투자 사례”라며 “한국 바이오산업에 상징적이고 의미 있는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했다. 글로벌 시총 1위 제약사와의 연이은 협력 소식에 시장은 크게 반색했다. 이날 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