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회의 땅 아프리카와 손잡자' 2025미래경제포럼(종합)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연합뉴스-한·아프리카재단 공동 주최…황대일 사장 "아프리카는 포괄적 협력대상" 최태원 회장 "아프리카서 소프트머니 만들자"…메네 AfCFTA 사무총장 기조연설 유니콘기업 설립자 아보예지·최고조 가나대사·'이태석 제자' 토마스 전문의 강연 연합뉴스 2025 미래경제포럼 개최 (서울=연합뉴스) 홍해인 기자 = 14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국가기간뉴스통신사 연합뉴스 주최로 열린 '2025 미래경제포럼'에서 황대일 연합뉴스 사장과 내빈들이 기념 촬영하고 있다. 2025.11.14 hihong@yna.co.kr (서울=연합뉴스) 노재현 기자 = 한국과 '기회의 땅' 아프리카의 협력을 모색하는 특별한 자리가 마련됐다. 국가기간뉴스통신사 연합뉴스와 외교부 산하 한·아프리카재단이 14일 오후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2025 미래경제포럼'을 개최했다. 포럼 주제는 '아프리카의 재발견, 함께 도약하는 대한민국'이다. 오는 22∼23일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에서 열릴 주요 20개국(G20) 정...
기사 본문
최태원 "수출, 더는 해답 아냐"…유망 분야로 전기차·재생에너지 언급 소프트머니, 보호무역주의 확산 속 신성장동력 평가…"AI도 손잡아야" '2025 미래경제포럼' 축사하는 최태원 회장 (서울=연합뉴스) 김성민 = 14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국가기간뉴스통신사 연합뉴스 주최로 열린 '2025 미래경제포럼'에서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겸 SK그룹 회장이 축사하고 있다. 이날 포럼은 '아프리카의 재발견, 함께 도약하는 대한민국'을 주제로 열렸다. 2025.11.14 ksm7976@yna.co.kr (서울=연합뉴스) 홍규빈 기자 = 최태원 SK그룹 회장 겸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화두로 던진 '소프트머니'가 한국과 아프리카 간 협력 모델로 발전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한국이 수출 주도형 경제에서 벗어나 선진국형 경제 구조로 거듭나는 데 있어 아프리카 대륙이 도전과 기회의 무대가 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나온다. 최 회장은 14일 연합뉴스와 외교부 산하 한·아프리카재단이 서울 중구 롯데호...
기사 본문
안델라 등 유니콘기업 설립자…"아프리카 진출 늦으면 기회 빼앗긴다" 강연하는 이노루와 아보예지 퓨처아프리카 대표 (서울=연합뉴스) 김성민 = 14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국가기간뉴스통신사 연합뉴스 주최로 열린 '2025 미래경제포럼'에서 이노루와 아보예지 퓨처아프리카 대표가 강연을 하고 있다. 이날 포럼은 '아프리카의 재발견, 함께 도약하는 대한민국'을 주제로 열렸다. 2025.11.14 ksm7976@yna.co.kr (서울=연합뉴스) 노재현 기자 = 나이지리아 출신 유니콘기업 설립자로 유명한 이노루와 아보예지 퓨처아프리카 대표는 14일 아프리카가 젊은 인구와 디지털 분야 투자를 앞세워 고속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다. 아보예지 대표는 이날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연합뉴스와 한·아프리카재단이 공동 주최한 '2025 미래경제포럼'의 첫 세션 '부상하는 글로벌 사우스, 중심에 선 아프리카' 강연자로 나와 이같이 밝혔다. 그는 "현재 아프리카는 글로벌 국내총생산(GDP)에서 비중이...
기사 본문
수십 년 타국 의존···보건 주권 첫걸음 전 세계 인구 18%···임상시험은 2.4% 아프리카 유전체 반영해 불균형 해소 유럽 지원 나서···韓도 관계 구축 필요 아프리카의약품청(AMA) 홈페이지 첫 화면. 아프리카의약품청 [서울경제] 10여 년간 준비 끝에 아프리카의약품청(AMA, African Medicines Agency)이 공식 출범한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케냐 몸바사에서 열린 '아프리카 의약품 규제 당국 회의'에서 AMA 출범이 공식 발표됐다. AMA는 아프리카 대륙의 취약한 의약품 규제 체계를 개선하고, 지역 특성을 반영한 글로벌 규제 표준을 마련할 예정이다. 아프리카의약품청 설립은 규제기관 신설을 넘어 아프리카 대륙의 보건 주권 확립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아프리카는 수십 년 동안 의약품의 안전성과 품질 평가를 다른 국가에 의존해 왔다. 규제 시스템의 미비와 자금 부족 탓에 표준 이하의 의약품·위조의약품 반입이 쉬운 시장으로 분류돼 왔고, 이는 국내외 보건 위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