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벌이는 장도 못 볼 것"… '새벽배송 금지 반대' 국민청원 등장

2025년 11월 16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9개
수집 시간: 2025-11-16 03:57:39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한국일보 2025-11-14 15:56:14 oid: 469, aid: 0000897610
기사 본문

워킹맘 "새벽 배송, 일상을 지탱하는 수단" 3780명 동의… 야간 노동 위험 논란 가열 5일 서울 시내의 한 쿠팡 물류센터. 연합뉴스 쿠팡 등의 '새벽 배송' 금지 여부를 둘러싼 논의가 가열되는 가운데, 국회 국민동의 청원 게시판에 "새벽 배송 금지를 막아 달라"는 내용의 청원이 등장했다. 맞벌이 부부 입장에서 새벽 배송은 이미 '일상 유지의 수단'인데, 이를 금지하면 장을 볼 수도 없게 된다는 워킹맘의 호소였다. 13일 국회 국민동의 청원 게시판에는 '새벽 배송 금지 및 제한 반대에 관한 청원'이라는 제목의 청원이 올랐다. '두 자녀를 키우는 워킹맘'이라고 본인을 소개한 작성자는 "저녁 늦게 귀가하는 맞벌이 부모에게 새벽 배송은 단순한 편의가 아니라 일상을 지탱하는 중요한 수단"이라며 "가정의 행복과 건강, 육아와 교육을 지켜 주는 삶의 기반 문제"라고 주장했다. 글쓴이는 이어 "국민의 삶과 밀접하고 많은 일자리와 연결된 산업에 대한 규제는 많은 고려와 논의가 필요하다"고 짚...

전체 기사 읽기

매일경제 2025-11-15 09:13:07 oid: 009, aid: 0005590556
기사 본문

배달기사 사망에 ‘새벽 배송 제한’ 촉발 노동계 “구조적 과로의 결과” 비판성명 소비자·소상공인 중심으로 반발 일어나 “제한으론 해결 안돼 구조개선 병행돼야” 서울 송파구 서울복합물류단지에 택배 상자들이 쌓여 있다. [한주형 기자] # 결혼 5년차 30대 직장인 A씨에게 새벽배송은 이제 생활의 일부다. 밤 늦게 주문해도 아침이면 문 앞에 도착하는 편리함 덕분에, 직장과 육아로 바쁜 일상 속에서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런 편리함 덕분에 새벽배송은 단순한 서비스가 아니라, 맞벌이 가정에게는 필수적인 ‘생활 인프라’로 자리 잡았다. 바쁜 사회를 사는 현대인에게 새벽배송은 떼려야 뗄 수 없는 존재가 됐다. 그러나 최근 새벽배송 중 배송 노동자가 숨진 사건을 계기로, ‘새벽배송 제한’ 논의가 화두로 떠올랐다. 배달 노동자의 건강권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라는 명분이다. 다만 새벽배송 제한만으로 노동자 건강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일차원적 접근에 불과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서울 시...

전체 기사 읽기

매일신문 2025-11-14 17:11:09 oid: 088, aid: 0000981312
기사 본문

민주노총이 과로사 예방을 이유로 새벽배송 서비스를 금지하자고 나서 논란이 거세진 가운데, 최근 5년간 업무상 질병으로 산재 승인을 받은 전체 사망자는 6000명이 넘지만 택배기사는 30여 명 수준에 그치는 것으로 추산된다. 민주노총 택배노조는 "쿠팡의 새벽배송 시스템은 노동자를 죽음으로 내몰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실제 택배기사 산재 사망자는 극소수이며 대부분 주간 시간대에 일한 기사로 파악된다. 울산화력발전소 붕괴 사고 등 건설·제조업계에서 사망사고가 빈번한데도, 정작 민주노총이 산업재해 사망자가 드문 택배업계만 문제 삼는 '이중잣대'를 보인다는 비판도 나온다. ◇ 뇌심혈관 질환 등 전체 산업 질병 사망자만 6000명 넘어…택배기사는 극소수 14일 고용노동부의 산업재해 통계(2020~2024년) 5년치를 분석한 결과, 전체 사고·질병 사망자 1만479명 가운데 건설·제조·광업의 산재 사망은 7181명(69%)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전체 산업재해 사망자 10명 중 7명은 이 ...

전체 기사 읽기

이코노미스트 2025-11-15 06:00:09 oid: 243, aid: 0000088066
기사 본문

10년 만의 순익 흑자…비수기 극복 코스피 4000 시대…IPO 시장 활기 김슬아 컬리 대표가 컬리N마트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 네이버] [이코노미스트 이지완 기자] 새벽배송을 주력으로 하는 전자상거래(이커머스) 플랫폼 컬리가 10년 만에 흑자 전환에 성공하면서 기업공개(IPO) 재추진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진다. 컬리는 지난 2022년 IPO를 추진했지만, 시장 상황이 좋지 않다는 이유로 연기한 바 있다. 올해는 증권 시장의 상황이 좋다. 무신사 등 대형 플랫폼의 IPO 추진 소식도 이어진다. 다만 한 가지 변수가 있다. 최근 노동계에서 제안한 새벽배송 금지가 컬리의 발목을 잡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3분기 연속 흑자 기조 컬리가 10년 동안 따라붙었던 ‘적자기업’이라는 꼬리표를 떼어내려고 한다. 이 회사는 지난해 처음으로 연간 거래액(GMV) 3조원을 돌파한 데 이어, 올해 들어 3개 분기 연속 흑자 기조를 이어가고 있다. 창립 10주년이 되는 올해 컬리는 더욱 단단해...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