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보생명, 3분기 순익 3021억…보장성·운용 성과 힘입어 17%↑
관련 기사 목록 13개
기사 본문
교보생명은 3분기 연결 기준 당기순이익(지배주주 기준)이 3021억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2581억원) 대비 17% 증가했다고 14일 밝혔다. 건강보험 판매가 늘고 이자·배당 중심의 경상 투자이익이 꾸준히 확대된 영향이다. 3분기 누적 기준 당기순이익은 8844억원으로 전년 동기(8739억원) 대비 1.2% 증가했다. 별도 기준 누적 순익은 8470억원으로 9.9% 감소했지만 전사 운용 포트폴리오의 경상수익 비중이 높아지며 전반적인 실적은 안정적인 흐름을 유지했다. 투자손익은 6706억원으로 전년 동기(6439억원)보다 4.1% 증가했다. 교보생명은 자산부채종합관리(ALM) 원칙에 따라 장기채권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조정하고, 금리 변동성 축소와 우량 채권·대출 선제 편입을 통해 경상수익 기반을 강화했다. 보험손익은 4215억원을 기록했다. 건강보험 등 보장성 상품 판매가 확대되면서 손익 구조가 안정세를 유지한 것으로 분석된다. 신계약 지표도 개선세가 이어졌다. 3분기 신계약 CSM...
기사 본문
서울 종로구 교보생명 현판 /사진=박준한 기자 교보생명이 건강보험 판매 확대와 선제적 자산운용 전략으로 3분기에도 안정적인 실적 흐름을 이어갔다. 보장성 중심 체질 개선과 경상이익 기반 확대가 맞물리며 변동성 장세에서도 견조한 성장세를 유지했다. 15일 교보생명에 따르면 3분기 누적 연결 당기순이익은 8844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1.2% 증가했다. 별도 기준 순이익은 8470억원으로 감소했지만, 건강보험을 중심으로 한 보장성 확대 기조와 안정적인 투자이익이 하단을 지지했다. 교보생명은 3분기까지 투자이익 6706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동기 대비 267억원 증가한 수치다. 회사는 자산부채종합관리(ALM) 원칙에 따라 장기채권 비중을 확대하고 금리 변동성 축소에 집중해 안정적인 수익 기반을 구축했다. 우량 채권·대출 선제 편입과 리밸런싱 강화도 경상이익 상승에 기여했다. 보험영업이익은 3분기 누적 4215억원이다. 건강보험 등 보장성 상품 판매가 확대되며 안정적인 손익 구조를 형성했다....
기사 본문
투자손익 6706억, 4.1% 증가…안정적 수익 기반 마련 보험손익 4215억, 24.3% 감소…보험서비스비용 17.2% 올라 교보생명 사옥 전경.(교보생명 제공) (서울=뉴스1) 신민경 기자 = 보장성 상품 판매가 확대되면서 교보생명보험(073980)의 3분기 당기순이익도 성장했다. 교보생명은 올해 3분기 분기보고서를 통해 연결 누적 기준 당기순이익이 8844억 원(지배기업 소유주 지분)으로, 전년 동기(8739억 원) 대비 1.2% 증가했다고 14일 밝혔다. 교보생명은 "건강보험 등 보장성 상품 판매가 확대됐다"며 "이자·배당 등 경상이익 확보에 힘입어 전체적으로 안정적인 실적 흐름을 유지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3분기 누적 별도 기준 당기순이익은 8470억 원으로 전년 동기(9399억 원) 대비 9.9% 감소했다. 올해 3분기까지 투자손익은 6706억 원으로 전년 동기(6439억 원) 대비 4.1% 늘었다. 교보생명은 자산부채종합관리(ALM) 원칙에 따라 장기채권 비중을 확대하...
기사 본문
CSM 총액 2조3300억원 전분기 대비 12.3% 증가…건강보험 성장세 "상품 포트폴리오 개선과 리스크 관리 집중해 안정적 수익 달성" ㄹ 미래에셋생명 제공 미래에셋생명은 3분기 누적 순이익이 1252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7.4% 증가했다고 14일 밝혔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3조 9506억 원으로 20.8%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1662억 원으로 138.2% 급증했다. 또 보험손익은 1179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8.6% 증가했고, 투자손익은 450억 원으로 219.5% 급증했다. 미래에셋생명은 "보험손익 증가에 대해 전년도의 IBNR 제도개정으로 인한 기저효과가 있었고, 투자손익은 전년도에 해외 부동산 자산의 일회성 손실이 있었으나, 3분기에는 경상적인 수준으로 회복하며 안정적인 투자수익을 시현했다"며 "불확실한 대내외 환경에도 불구하고 지속 가능한 수익 창출을 목표로 상품 포트폴리오 개선과 리스크 관리에 집중했으며, 그 결과 견조한 펀더멘털을 바탕으로 안정적인 ...
기사 본문
투자손익 개선…ALM 기반 수익성 강화 신계약 CSM 증가…보장성 중심 성장세 지속 교보생명이 보장성 상품 판매 증가에 힘입어 3분기 견조한 실적을 유지했다.ⓒ교보생명 [데일리안 = 김민환 기자] 교보생명이 보장성 상품 판매 증가에 힘입어 3분기 견조한 실적을 유지했다. 교보생명은 14일 올해 3분기 연결 누적 기준 당기순이익이 8844억원(지배기업 소유주 지분)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지난해 같은 기간(8739억원) 대비 1.2% 증가한 수준이다. 회사는 “건강보험 등 보장성 상품 판매가 확대와 이자·배당 등 안정적 경상이익 확보에 힘입어 전체적으로 안정적인 실적 흐름을 유지했다”고 설명했다. 반면 3분기 누적 별도 기준 당기순이익은 847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9399억원) 대비 9.9% 줄었다. 투자손익은 개선세를 보였다. 올해 3분기까지 투자손익은 6706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6439억원) 대비 4.1% 증가했다. 교보생명은 자산부채종합관리(ALM) 원칙에 따라 장...
기사 본문
보장성 상품 판매확대 등에 힘입어 교보생명의 3분기 연결 기준 누적 당기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1.2% 증가한 8844억원을 기록했다. 사진은 서울 광화문 교보생명 사옥 전경. /사진=교보생명 교보생명은 올 3분기 연결 기준 누적 당기순이익이 8844억원으로 전년 동기(8739억원) 대비 1.2% 증가했다고 14일 밝혔다. 3분기 누적 투자손익은 6706억원으로 전년 동기(6439억원)보다 4.1% 늘었다. 자산부채종합관리(ALM) 원칙에 따라 장기채권 비중을 확대하고 금리 변동성 축소에 집중해 안정적 수익 기반을 마련했다. 교보생명은 우량 채권 및 대출 선제 편입, 투자 포트폴리오 다변화, 적극적인 리밸런싱 등을 통해 경상이익 비중을 계속 높여왔다. 3분기 누적 보험손익은 4215억원으로 건강보험 등 보장성 상품 판매 확대를 통해 안정적인 손익 구조를 유지했다. 3분기 신계약 CSM(계약서비스마진)은 건강보험 등 보장성 신계약 증가로 전분기 대비 1236억원 늘어난 3983억원을...
기사 본문
교보생명은 올해 3분기 누적 연결 기준 당기순이익이 8844억원으로, 전년 동기(8739억원) 대비 1.2% 증가했다고 14일 밝혔다. 다만 누적 별도 기준 당기순이익은 8470억원으로, 전년 동기(9399억원) 대비 9.9% 감소했다. 올해 3분기까지 투자손익은 6706억 원으로 전년 동기(6439억 원) 대비 4.1% 늘었다. 교보생명은 자산부채종합관리(ALM) 원칙에 따라 장기채권 비중을 확대하고 금리 변동성 축소에 집중해 안정적 수익 기반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교보생명 사옥 전경. /교보생명 올 3분기 신계약 계약서비스마진(CSM)은 3983억원으로 직전 분기(2747억원) 대비 1236억원 늘었다. 3분기 말 누적 CSM 잔액은 6조3885억원으로 직전 분기 말(6조2411억원)보다 1474억원 증가했다. 교보생명은 건강보험 등 보장성 보험의 신계약 증가로 이러한 효과가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올 3분기 누적 보험손익은 4215억원으로 전년 동기(5572억원) 대비 ...
기사 본문
3분기 당기순이익 498억원…전년비 2661% 증가 [서울=뉴시스] 미래에셋생명 본사. (사진=뉴시스DB).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권안나 기자 = 미래에셋생명이 보험과 투자 손익이 골고루 성장하면서 견조한 실적을 거뒀다. 미래에셋생명은 지난 3분기 당기순이익이 498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14일 공시했다. 전년 동기 대비 2661% 증가했다. 3분기까지 누적 당기순이익은 163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34.8% 늘었다. 3분기 누적 매출액은 전년 대비 20.8% 증가한 3조9505억원, 누적 영업이익은 138.1% 증가한 1661억원으로 집계됐다. 3분기 보험서비스손익은 1179억원, 투자손익은 459억원으로 모두 전년동기대비 늘었다. 건강상해 보험의 빠른 성장세에 힘입어 보장성 CSM(서비스계약마진)은 전년 동기 대비 45.5%, 전체 신계약 CSM은 44.5% 증가했다. 월납보험료 기준 CSM 전환배수는 건강상해 19.5배, ...
기사 본문
미래에셋생명이 보험과 투자 손익이 골고루 성장하면서 견조한 실적을 거뒀습니다. 미래에셋생명은 지난 3분기 당기순이익이 498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오늘(14일) 공시했다. 전년 동기 대비 2661% 증가했습니다. 3분기까지 누적 당기순이익은 163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34.8% 늘었습니다. 3분기 누적 매출액은 전년 대비 20.8% 증가한 3조9505억원, 누적 영업이익은 138.1% 증가한 1661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3분기 보험서비스손익은 1179억원, 투자손익은 459억원으로 모두 전년동기대비 늘었습니다. 건강상해 보험의 빠른 성장세에 힘입어 보장성 CSM(서비스계약마진)은 전년 동기 대비 45.5%, 전체 신계약 CSM은 44.5% 증가했습니다. 월납보험료 기준 CSM 전환배수는 건강상해 19.5배, 보장성 16.1배, 변액투자형이 1.6배이며, 전 상품 기준 9.8배입니다. 미래에셋생명 관계자는 "지속 가능한 수익 창출을 목표로 상품 포트폴리오 개선과 리스크 관...
기사 본문
보험·투자손익 동반 개선 보장성 CSM 성장세 지속 미래에셋생명이 보험손익과 투자손익 모두 개선되며 3분기 견조한 실적 흐름을 이어갔다.ⓒ미래에셋생명 [데일리안 = 김민환 기자] 미래에셋생명이 보험손익과 투자손익 모두 개선되며 3분기 견조한 실적 흐름을 이어갔다. 미래에셋생명은 14일 올해 3분기 별도 기준 당기순이익이 498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같은 기간(18억원)에 비해 큰 폭으로 늘었다. 3분기 누적 기준 당기순이익은 1638억원으로 지난해 보다 134.8% 확대됐다. 3분기 누적 매출액은 3조9505억원으로 20.8% 증가했고, 누적 영업이익은 1661억원으로 138.1%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보험서비스손익은 1179억원, 투자손익은 459억원으로 모두 지난해 보다 개선됐다. 보장성 상품 성장세도 이어졌다. 건강·상해 중심의 보장성 CSM(보험계약마진)은 지난해 보다 45.5% 늘었고, 전체 신계약 CSM도 44.5% 증가했다. 월납보험료 기준 CSM 전환배수...
기사 본문
교보생명보험 [교보생명 제공] (서울=연합뉴스) 강수련 기자 = 교보생명은 14일 누적 연결 기준 당기순이익이 8천844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1.2% 증가했다고 밝혔다. 별도 기준으로는 8천470억원으로 작년보다 9.9% 감소했다. 누적 보험손익은 4천215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24.3% 줄었다. 3분기까지 투자손익은 6천706억원으로 작년 대비 4.1% 증가했다. 교보생명은 "자산부채종합관리(ALM) 원칙에 따라 장기채권 비중을 확대하고 금리 변동성 축소에 집중해 안정적 수익 기반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올해 3분기 신계약 보험계약마진(CSM)은 건강보험 등 보장성 신계약 증가로 전 분기보다 45% 늘어난 3천983억원을 기록했다. 3분기 말 누적 CSM 잔액은 신계약 확대와 보유계약의 효율적 관리 효과로 6조3천885억원을 기록해 증가세를 이어갔다. training@yna.co.kr
기사 본문
◆…사진=한화생명. 한화생명이 해외 자회사의 성장세에 힘입어 3분기 실적을 크게 끌어올렸다. 다만 본업인 보험손익이 약화되면서 지급여력(K-ICS) 비율은 하락했고, 연말 목표치 또한 낮춰 잡았다. 14일 한화생명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당기순이익은 307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14.9% 증가했다. 누적 기준으로는 7689억원으로 5.8% 늘었다. 회사는 "국내 GA 자회사, 기존 종속법인뿐 아니라 새로 편입한 해외 법인의 기여도 확대가 실적 개선을 이끌었다"고 설명했다. 주요 자회사 가운데 한화손해보험이 720억원으로 가장 높은 순익을 냈으며, 해외 법인은 491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했다. 베트남을 포함한 동남아 시장의 안정적 수익 기반에 더해, 올해 신규 편입된 인도네시아 노부은행과 미국 벨로시티증권의 실적이 더해진 영향이다. 반면 보험 본업에서는 부진이 나타났다. 별도 기준 3분기 순이익은 1361억원으로 전년 대비 42.5% 감소했다. 건강보험 판매 증가와 의료 ...
기사 본문
◆…사진=현대해상[조세일보 자료사진] 현대해상의 3분기 실적이 자동차보험 적자 전환과 투자평가손실 영향으로 후퇴했다. 장기보험 부문에서 보험계약마진(CSM) 증가세가 지속되며 구조적 안정성은 유지했으나, 단기 손해율 악화가 순이익을 압박했다. 현대해상은 14일 올해 3분기 별도 기준 당기순이익이 1832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2% 감소했다고 밝혔다. 1~3분기 누적 순이익은 6341억 원으로 같은 기간 대비 39.4% 줄었다. 지난해 회계제도 변경 과정에서 반영된 손실부담계약비용 환입 2744억 원을 제외하면 감소 폭은 24.9% 수준이다. 실적 부진의 주요 요인은 자동차보험으로 나타났다. 3분기 자동차보험 손익은 –553억 원으로, 전년 동기 132억 원 이익에서 적자 전환했다. 4년 연속 이어진 보험료 인하 기조와 7월 집중호우에 따른 침수 피해 증가가 손해율을 악화시켰다. 누적 자동차보험 손익 역시 -387억 원으로 집계됐다. 장기보험 부문은 외형과 유지율이 안정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