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각한 메모리칩 부족…삼성전자, 공급가 60%까지 인상" 로이터

2025년 11월 16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15개
수집 시간: 2025-11-16 01:47:20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아이뉴스24 2025-11-14 20:39:10 oid: 031, aid: 0000981182
기사 본문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구축 경쟁으로 인해 메모리 반도체 공급 부족 상황이 이어지는 가운데, 삼성전자가 일부 제품 공급가격을 최대 60% 인상했다고 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 [사진=삼성전자] 반도체 유통업체 퓨전월드와이드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32기가바이트(GB) DDR5 메모리칩 모듈의 11월 계약 가격은 239달러(약 35만원)로 9월(149달러·약 22만원) 대비 60% 올랐다. 같은 기간 16GB, 128GB DDR5 메모리칩 계약 가격도 각각 50% 오른 135달러(약 20만원), 1194달러(약 174만원)로 책정됐다 64GB, 96GB DDR5 메모리칩의 계약 가격 역시 30% 이상 인상됐다. 토비 고너먼 퓨전월드와이드 대표는 로이터에 "대형 서버 제조사나 데이터센터 건설 주체들은 이제 (메모리) 제품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할 거라는 사실을 받아들이고 있다"며 "가격 프리미엄이 극단적"이라고 말했다. 로이터는 메모리칩 부족 상황이 워낙 심각해, 일부 고객들의 '패닉 바잉'...

전체 기사 읽기

이데일리 2025-11-14 21:03:11 oid: 018, aid: 0006164506
기사 본문

로이터 "AI 데이터센터 서버용 메모리 칩 공급난" "서버용 DDR5 가격 두 달 새 최대 60%↑" 삼성 가격 협상력 강화…수익성 개선 가능성↑ [이데일리 이소현 기자] 삼성전자(005930)가 글로벌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투자 경쟁으로 인한 메모리 반도체 공급난 속에 서버용 메모리 칩 가격을 최대 60% 인상한 것으로 전해졌다. 삼성전자 로고와 컴퓨터 메인보드가 보인다.(사진=로이터) 14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은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삼성전자가 이달 일부 메모리 제품의 계약 가격을 9월 대비 최대 60% 올렸다”고 보도했다. 이는 삼성전자가 지난 10월 공급 계약가 공시를 한 달가량 미루며 가격 인상폭을 조정한 끝에 내린 결정으로 전해졌다. 삼성전자는 통상적으로는 매월 공급 가격을 발표하지만, 10월에는 발표하지 않았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반도체 유통업체 퓨전월드와이드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32기가바이트(GB) DDR5 메모리칩 모듈 가격은 9월 149달러(약 22만원)...

전체 기사 읽기

서울경제 2025-11-15 10:21:09 oid: 011, aid: 0004556233
기사 본문

JP모건 “AI 호황 2027년까지···반도체·전력 병목” 모건스탠리 “메모리 호황, 과거 최고점 크게 상회” 경기도 이천시 SK하이닉스 본사 모습. 연합뉴스 [서울경제] 국내 증시가 최근 큰 폭으로 조정을 받았지만, 글로벌 투자은행(IB)들은 “인공지능(AI) 발(發) 호황 사이클이 일시적 흔들림을 거치며 2026~2027년까지 이어질 것”이라며 장기 상승 전망을 제시했다. AI 거품론이 반복적으로 제기되겠지만, 기업들의 주당순이익(EPS) 등 실적 상향 조정이 밸류에이션(가치 평가) 상승을 이끌어갈 것이라는 분석이다. 1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날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59.06포인트(–3.81%) 급락한 4011.57로 마감했다. 지난달 28일 종가 기준 사상 처음으로 4000선을 돌파했던 코스피는 이달 초 3900선으로 밀려난 데 이어 전일에서 다시 4000선 붕괴 직전까지 밀리는 등 변동성이 극대화하는 모습이다. 특히 SK하이닉스(000660) · 삼성전자(00...

전체 기사 읽기

디지털타임스 2025-11-15 07:58:19 oid: 029, aid: 0002993603
기사 본문

매모리칩 공급부족+HBM 확대 일부 제품가 60% 인상 증권가 내년 영업익 100조 가까이 전망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가 지난달 30일 서울 삼성동 한 치킨집에서 진행된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과 치맥 회동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삼성전자가 반도체 슈퍼사이클에 확실히 올라타고 있다.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구축 경쟁으로 메모리 반도체 공급 부족 현상이 심화하면서 그 수혜를 그대로 누리고 있다. 삼성전자는 최근 일부 제품 가격을 최대 60% 인상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 고객사들은 가격 급등 전망에 ‘패닉 바잉’에 나서고 있다. 증권사들은 AI 붐으로 촉발된 반도체 호황에 힘입어 내년 삼성전자의 실적 전망치를 경쟁적으로 높이고 있다. 공급 부족으로 인해 평균판매단가(ASP)가 지속 상승하고, 고대역폭메모리(HBM) 판매 확대로 수익성이 크게 뛸 것이라는 예상이다. 일부 증권사는 내년 영업이익은 100조원 가까이 잡고 있다. 15일 반도체 유통업체 퓨전...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