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희토류 통제에 정부 전담반 가동...연내 대책 발표

2025년 10월 17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28개
수집 시간: 2025-10-17 12:58:23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YTN 2025-10-16 15:25:39 oid: 052, aid: 0002260198
기사 본문

정부가 중국의 희토류 통제에 대응하기 위해 전담조직을 운영하고 올해 안에 공급망 종합 대책을 발표합니다. 문신학 산업통상부 1차관은 민관 합동 희토류 공급망 대응 회의를 열고 관계부처, 유관기관 등이 참여하는 희토류 공급망 TF를 가동하기로 했습니다. 또 우리 기업에 대한 수출 허가가 신속히 발급될 수 있도록 한중 수출 통제 대화, 한중 공급망 핫라인 등 협력 채널을 통해 중국과 긴밀히 소통할 방침입니다. 이와 함께 희토류 대체나 재자원화 연구개발을 확대하고 우리 기업이 추진하는 해외 희토류 광산·정제련 사업도 적극 지원해 중장기 대응 역량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아울러 공공 비축 희토류 품목과 비축 물량 확대도 추진해 나갈 예정입니다. 산업부는 TF를 중심으로 실효성 있는 여러 대안을 담아 올해 안에 희토류 공급망 종합대책을 발표하기로 했습니다. 문 차관은 중국의 조치로 반도체와 전기차, 배터리 등 우리 첨단산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려가 큰 만큼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면밀히 대...

전체 기사 읽기

연합뉴스 2025-10-16 15:25:33 oid: 001, aid: 0015682545
기사 본문

산업차관 단장, 기재부·외교부·유관기관 참여…中수출통제강화 대응 민관 합동 희토류 공급망 대응회의 (서울=연합뉴스) 이진욱 기자 = 16일 서울 중구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에서 열린 민관 합동 희토류 공급망 대응회의에서 문신학 산업통상부 차관이 발언하고 있다. 2025.10.16 cityboy@yna.co.kr (서울=연합뉴스) 김동규 기자 = 정부가 중국의 희토류 수출통제 강화에 대응해 범부처가 참여하는 '희토류 공급망 태스크포스(TF)'를 16일 발족했다. 이를 통해 단기적으로는 국내 기업에 대한 중국의 희토류 수출 허가가 신속히 발급되도록 지원하고, '희토류 수급 지원센터'를 통한 긴급 대응 지원에 나선다. 중장기적으로는 희토류 공급망 안정 대책 마련에 집중한다. 산업부는 이날 오후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민관 합동 희토류 공급망 대응 회의'를 열고 범부처 희토류 공급망 TF를 가동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TF는 산업부 차관이 단장을 맡고 기획재정부, 외교부 등 관계부처와 ...

전체 기사 읽기

한국경제 2025-10-17 11:52:23 oid: 015, aid: 0005198213
기사 본문

‘전략 자산’ 희토류 글로벌 공급망 현황 다룬 보고서 발간 미중 무역분쟁 속 K-반도체·배터리 비상 "재활용 기술·대체소재 개발 경쟁력 될 것" 이 기사는 10월 16일 13:39 마켓인사이트 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미중 무역 전쟁이 재점화되면서 희토류가 단순한 산업 소재를 넘어 전략적 자산이자 외교적 협상 카드로 부상했다. 희토류 수입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한국은 중국의 희토류 무기화에 대응해 공급처 다변화와 재자원화 기술 확보에 나서야 한다는 조언이 제기됐다. 삼일PwC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패권경쟁의 새로운 격전지, 희토류 자원무기화’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6일 밝혔다. 이 보고서는 희토류의 자원적 특성과 글로벌 공급망 현황을 살펴보고 한국이 취해야 할 전략적 방향성을 제공하기 위해 작성됐다. 희토류는 채굴 및 정제 과정이 복잡하고 심각한 환경오염을 유발해 세계적으로 생산지가 많지 않으나, ‘첨단산업의 쌀’ 또는 ‘비타민’으로 불릴 만큼 중요도가 높은 자원이다. 희토류 영구자...

전체 기사 읽기

매경이코노미 2025-10-17 12:20:06 oid: 024, aid: 0000100605
기사 본문

1. 희토류는 반도체, 전기차, 배터리 등 거의 모든 첨단 산업에 필수적인 전략자원. 중국이 12월부터 수출 통제를 강화하면서 한국 산업 전반이 직격탄 위기에 처했다. 2. 중국은 1990년대부터 채굴-정련-가공 전 공정 수직계열화. 전 세계 희토류 공급 90% 이상 장악. 이번 조치는 미국 견제 넘어 글로벌 공급망 통제력 확보 의도로 해석된다. 3. 반도체 장비부터 전기차 모터, ESS, 국방 무기까지 국내 희토류 의존도 높아 불확실성 증대. EUV 장비 렌즈·광학부품, 전기차 자석 핵심 소재 대부분이 중국산으로 공급망 차질 우려. 4. 日, 中 수출 규제 이후 희토류 자립 본격화. 호주·베트남 등 대체 공급처 확보, 도시광산 육성, 국제 공조 통한 공동 대응 등 한국도 전략적 선택 필요성 커졌다. 5. 美·호주 비중국계 기업에 투자자 관심 급증. 특히 희귀한 ‘중(重)희토류’ 기업이 수혜 전망. ETF 통한 분산 투자도 대안. 희토류는 이제 산업만이 아닌 전략적 자산이 됐다. 취...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