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관세 '키맨' 김정관…"美 한푼 안내는데, 공정한가" 작심 발언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 뉴스1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이 14일 한미 관세협상 공식 브리핑을 한 뒤 기자들과 질의응답 자리에서 "공정한 내용이 어디 있다고 생각하나. 상식적으로 우리가 하고 싶어서 이렇게 한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김 장관의 작심 발언은 한미 양국 간 투자 수익 배분율이 부당하다는 점을 설명하면서 나왔다. 취재진이 '한미 협상에서 일부 조항은 매우 불공정한 것 아닌가'라고 묻자, 김 장관은 "미국은 한 푼도 돈을 안 내는데 수익 배분은 5대 5로 돼 있다. 이게 말이 되나"라고 했다. 김 장관은 "한국이 투자금을 주지 않을 경우, 미국이 사업 진행에 따라 한국에 줘야 할 돈을 한국이 돈을 주지 못한 것 만큼 미국이 가져간다는 내용"이라며 "우리가 투자를 중단하면 미국이 우리에게 지불해야 하는 금액 중 지불하지 않은 부분을 가져갈 수 있다"고 설명했다. 미국의 강경한 태도에 한국이 어쩔 수 없이 끌려간 부분이 있었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 김 장관은 일본과 ...
기사 본문
기자간담회서 후일담 밝혀…"대미투자 연 200억달러 한도 설정 가장 큰 성과" '불공정한 것 아니냐' 질문엔 "여기에 공정한 내용이 어디 있나" 토로도 러트닉 장관에 "미국 애국자" 평가…"신발끈 다시 매는 심정으로 협상"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왼쪽)과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차대운 김동규 기자 =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은 14일 한미 간 서명이 완료된 대미 투자 양해각서(MOU)와 관련해 "200억달러의 연간 한도를 설정한 것이 가장 큰 성과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대미 투자 MOU에서 가장 큰 성과가 무엇인지 묻는 말에 이같이 답했다. 김 장관은 "처음에 시작은 훨씬 높은 데서 했는데, 마지막까지 버텨내 200억달러 한도를 관철했다"며 "외환시장에 대한 고려 요인을 양국 정상이 인정해 합의한 팩트시트에 넣은 것도 큰 보람이고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일본이 미국과 맺은 투자 M...
기사 본문
"여기에 공정한 내용이 어디있나…하고싶어 이렇게 한 것 아냐" "연간 200억불 투자와 외환시장고려 팩트시트에 삽입 큰 성과" "한미 관세협상은 문구, 표현 등에서 미일간 협상과 큰 차이점" [서울=뉴시스] 추상철 기자 =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과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이 14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한미 관세협상 팩트시트 및 MOU'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2025.11.14. scchoo@newsis.com [세종=뉴시스]김동현 여동준 기자 =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이 2000억 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을 때 단서 조항을 통해 미국이 투자 수익을 수취할 수 있다는 점과 한미간 투자 수익 배분율에 대해 강한 불만을 쏟아냈다. 김정관 장관은 이날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한미 관세협상에 있어 일부 조항의 경우 매우 불공정한 것 아닌가'를 묻는 질문에 이 같은 취지로 소신 발언을 해 눈길을 끌었다. 우리나라는 사업 추진에 필요한 자...
기사 본문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은 14일 대미 투자 양해각서(MOU)에 서명이 완료된 데 대해 “가장 큰 성과는 연간 200억달러 한도를 지켜낸 것”이라고 말했다. 김 장관은 “처음에 시작(연 투자금 한도)은 훨씬 높았는데 마지막까지 버텨내 200억달러 한도를 가져왔다”며 “팩트시트에 넣은 건 한미 정상이 외환시장 상황을 고려해서 (협상)한 게 인정된 거라 큰 보람이고 의미가 있다”고 덧붙였다.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이 14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합동브리핑룸에서 한미 전략적 투자에 관한 양해각서 서명과 관련하여 기자단에게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김 장관은 이날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한·미 관세·통상 협상에 대한 소회를 밝히며 이렇게 말했다. 앞서 미국과 합의한 일본보다 유리한 점에 대해 질문하자 김 장관은 디테일의 차이를 꼽았다. 김 장관은 “한국은 투자 프로젝트 매니저를 한국 사람 또는 한국 기업이 되도록 했는데 일본은 이런 구절이 없다”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