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부세 대상 12억 초과 집주인 48.5만명…1년새 12.3%↑

2025년 11월 15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43개
수집 시간: 2025-11-15 05:15:01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뉴스1 2025-11-14 12:54:39 oid: 421, aid: 0008604621
기사 본문

상위 10% 자산가액 13.4억, 하위 3000만원으로 42배 격차 상위 10%, 평균 2.33호 소유…하위 10%는 0.97호 13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국토교통부는 연말까지 추가 주택공급 대책을 발표할 방침이다. 공급 방안으로는 유휴부지 추가 확보가 유력하게 거론된다. 서울 내 가용 부지가 한정된 상황에서 빠르고 많은 공급을 위해 선택지가 제한적이기 때문이다. 또한 그린벨트 해제 역시 유력한 방안 중 하나다. 서울에 남은 그린벨트는 약 150㎢로, 서울 전체 면적의 4분의 1에 해당한다. 일부만 해제돼도 도심 내 중규모 택지 확보가 가능하다. 사진은 이날 서울의 아파트 단진 모습. 2025.11.13/뉴스1 ⓒ News1 김명섭 기자 (세종=뉴스1) 심서현 기자 = 지난해 종합부동산세 부과 기준인 12억 원 초과 주택 소유자가 전년보다 5만 3000가구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가구 소득 상위 10%의 평균 자산가액은 13억 4000만 원으로, 하위 10%(3000만 원)와의 ...

전체 기사 읽기

노컷뉴스 2025-11-14 12:01:11 oid: 079, aid: 0004086001
기사 본문

지난해 공시가격 기준 상위 10% 주택 자산가액 13.4억 하위 10%는 3천만 원…심지어 사상 처음으로 100만 원 감소해 황진환 기자 지난해 상위 10% 주택 소유 가구의 집값은 8천만 원 넘게 오른 반면, 하위 10%는 오히려 떨어져 주택 빈부 격차가 더욱 크게 벌어져 상위 10%의 집값이 하위 10%의 45배에 육박했다. 국가데이터처가 14일 발표한 '행정자료를 활용한 2024년 주택소유통계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주택을 소유한 가구의 평균 주택 자산가액(공시가격 기준)은 3억 3300만 원으로, 전년(2023년)보다 1200만 원 증가했다. 또 가구당 평균 소유 주택수는 1.34호, 평균 면적은 86.4㎡였다. 소유 주택의 총 자산가액이 1억 5천만 원에서 3억 원 구간에 위치한 가구는 346만 6천 가구(27.3%)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등, 3억 원 이하인 가구가 65.8%에 달했다. 비싼 집을 가진 가구일수록 소유 주택 수도 더 많아서, 주택 자산가액이 3억 원~...

전체 기사 읽기

연합뉴스 2025-11-14 19:04:10 oid: 001, aid: 0015743467
기사 본문

주택 소유율 56.9% '역대 최고'…서울 주민 절반 이상 무주택자 상위 10% 집값 평균 9천만원↑…종부세 기준 넘는 주택 보유 가구 12% 증가 서울 도심 아파트 모습 (서울=연합뉴스) 김인철 기자 = 지난 10월 28일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도심 아파트 모습. 2025.10.28 yatoya@yna.co.kr (세종=연합뉴스) 안채원 기자 = 지난해 비싼 집은 가격이 더 오르고 싼 집은 내리면서 상하위 10% 주택의 가격 차가 45배로 벌어졌다. 주택 소유율이 역대 최고를 기록했지만, 40대 이하 전 연령대에서는 3년 연속 유주택자가 감소하는 등 연령별 양극화가 심해졌다. 국가데이터처(옛 통계청)는 14일 이런 내용을 담은 '행정자료를 활용한 2024년 주택소유 통계'를 발표했다. 상위 10% 평균 주택가격 13억4천만원, 9천만원 늘어 작년 주택을 소유한 가구의 평균 주택 자산가액(공시가격 기준)은 3억3천300만원으로, 전년(3억2천100만원)보다 1천만원 넘게 올랐다...

전체 기사 읽기

연합뉴스 2025-11-14 12:14:31 oid: 001, aid: 0015742478
기사 본문

상위 10% 집값 평균 9천만원↑…111만명 집 1채 이상 구매 40대 이하 주택 소유 3년째 줄어…80세 이상이 증가폭 가장 커 서울 도심 아파트 모습 (서울=연합뉴스) 김인철 기자 = 지난 10월 28일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도심 아파트 모습. 2025.10.28 yatoya@yna.co.kr (세종=연합뉴스) 안채원 기자 = 지난해 비싼 집은 가격이 더 오르고 싼 집은 내리면서 상하위 10% 주택의 가격 차가 45배로 벌어졌다. 자산가액 기준 상위 10% 주택의 평균 가격은 13억4천만원으로 약 9천만원 올랐지만 하위 10%는 3천만원으로 100만원 내렸다. 집을 한 채 이상 사들인 개인이 100만명이 넘지만 40대 이하 연령층에서는 3년 연속 주택 소유자가 줄었다. 국가데이터처(옛 통계청)는 14일 이런 내용을 담은 '행정자료를 활용한 2024년 주택소유 통계'를 발표했다. 평균 주택 자산가액 3.3억…2채 이상 소유자 0.1%p 감소 작년 주택을 소유한 가구의 평균 주...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