팩트시트 합의에 車·조선업계 안도…"불확실성 해소"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14일 한미 간 합의의 '조인트 팩트시트'가 최종 확정되고 '한미 전략적 투자에 관한 양해각서'(MOU)가 서명되자, 자동차와 조선 업계가 안도감을 드러냈다. 이날 대통령실 등에 따르면 미국은 한국산 자동차, 자동차부품에 대한 관세를 25%에서 15%로 낮추기로 했다. 이에 대해 현대차그룹은 "정부에 감사드린다"면서 "앞으로도 관세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다각적 방안을 추진하는 동시에 품질 및 브랜드 경쟁력 강화와 기술 혁신등을 통해 내실을 더욱 다져나가겠다"고 밝혔다. 조선업계는 공동 설명자료를 통해 한미 조선 협력의 중요성이 강조된 것을 반기며 전폭적인 지원을 예고했다. 한화그룹은 "정부 관계자들의 노고에 감사드린다"면서 "한화오션 거제조선소 투자 및 확장은 물론 지역 협력업체와의 상생을 위해서도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거제조선소의 기술과 역량을 미국 필리조선소 등 현지에도 접목해 최고의 한미 안보 파트너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 "미국 조선업 ...
기사 본문
현대차그룹 "국익 위해 헌신한 정부에 감사…내실 다질 것" 한화 "거제·필리조선소 투자 박차"…반도체업계 "최소 보호막 마련" 한미 팩트시트 최종 합의 관련 뉴스 (서울=연합뉴스) 홍해인 기자 = 14일 서울역 대합실의 TV 화면에 한미 팩트시트 최종 합의 발표 관련 뉴스가 방송되고 있다. 2025.11.14 hihong@yna.co.kr (서울=연합뉴스) 김보경 홍규빈 김민지 강태우 기자 = 한미 관세 협상의 가장 큰 영향권에 있었던 자동차와 조선, 반도체업계는 14일 양국 간 합의의 '조인트 팩트시트'(공동 설명자료)가 최종 확정되고 '한미 전략적 투자에 관한 양해각서'(MOU)가 서명된 것과 관련, 큰 안도감을 드러냈다. 14일 대통령실 등에 따르면 한국과 미국 정부는 한미 정상이 지난달 29일 정상회담에서 합의한 무역 합의 세부 내용을 발표했다. 양측이 공개한 공동 설명자료에 따르면 미국은 한국산 자동차, 자동차부품에 대한 무역확장법 232조 관세를 25%에서 15%로 낮추기...
기사 본문
대한항공, 보잉 항공기 대규모 구입…철강업계, 현지 전략 속도 낼 듯 국내 완성차 업계는 미국이 한국산 자동차와 그 부품에 무역확장법 232조 관세를 15%로 낮추기로 하는 점에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경기 평택시 포승읍 평택항 자동차 전용부두에 수출용 차량이 세워져 있는 모습. 뉴시스 [더팩트ㅣ최의종 기자] 한미가 관세·안보 협상 조인트 팩트시트(공동 설명자료)를 확정해 공개한 가운데, 완성차 업계는 한국산 자동차 관세가 15%로 확정되면서 불확실성이 걷힌 점에 환영한다는 입장이다. 한미 협력 분야를 구체화한 조선업계는 '수익성' 창출에 속도를 낼 전망이다. 이재명 대통령은 14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브리핑을 열고 지난 8월과 2025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일정이 있었던 지난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정상회담 등에서 합의한 내용이 담긴 조인트 팩트시트를 발표했다. 국내 완성차 업계는 미국이 한국산 자동차와 그 부품에 무역확장법 232조 관세를 15%로 낮추기로 하는...
기사 본문
▲ 한미 팩트시트 합의 발표 한미 관세 협상의 가장 큰 영향권에 있었던 자동차와 조선, 반도체업계는 오늘(14일) 양국 간 합의의 세부 내용이 담긴 '조인트 팩트시트'(공동 설명자료)가 최종 확정된 것과 관련, 큰 안도감을 드러냈습니다. 다만 자동차 업계는 팩트시트에 관세 인하 시점이 명시되지 않은 것과 무관세에서 15%의 관세를 부담하게 된 것에 대해선 아쉬움을 표했습니다. 대통령실 등에 따르면 한국과 미국 정부는 한미 정상이 지난달 29일 정상회담에서 합의한 무역 합의 세부 내용을 발표했습니다. 양측이 공개한 공동 설명자료에 따르면 미국은 한국산 자동차, 자동차부품에 대한 무역확장법 232조 관세를 25%에서 15%로 낮추기로 했습니다. 이에 대해 국내 최대 자동차그룹이자 글로벌 3위 완성차업체인 현대차그룹은 "어려운 협상 과정을 거쳐 타결에 이르기까지 헌신적으로 노력해 주신 정부에 감사드린다"며 "현대차, 기아는 앞으로도 관세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다각적 방안을 추진하는 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