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5 대책 규제지역 집값, 비규제지역보다 더 올라”
관련 기사 목록 10개
기사 본문
서울 신규 규제지역 1.6% 상승 경기도 규제지역 1.2% 상승 경기도 비규제지역 1.1% 상승 똘똘한 한 채 쏠림 가속화 [이데일리 박지애 기자] 10·15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 시행 한 달을 맞은 가운데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새로 지정된 서울과 경기 규제지역의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이 오히려 오르는 등 똘똘한 한 채 현상이 강화됐다는 분석이 나왔다. 14일 부동산 중개업체 집토스가 10·15 대책 시행 전후에 국토교통부 실거래가를 분석한 결과, 강남3구를 제외한 서울 신규 규제지역의 평균 매매가는 1.6%, 경기도 내 규제지역은 1.2%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분석은 토허구역 효력이 발생한 지난달 20일을 기준으로 10월1일~19일과 10월20일~11월12일에 동일 단지, 동일 면적에서 각각 1건 이상 거래가 발생한 아파트를 대상으로 했다. 강남3구를 제외한 서울 신규 규제지역에서 발생한 신고가 66건 중, 40건(61%)이 ‘15억 초과’ 아파트에서 나오는 등 고가 아파트 거...
기사 본문
규제지역 집값 상승…'똘똘한 한 채' 쏠림 비규제지역도 상승세…'풍선효과' 조짐 민주당 "정책효과 분명히 나타나고 있어" 이재명 정부 10·15 대책이 서울·수도권 부동산 시장을 혼돈에 빠뜨렸다. 집값 안정을 위해 꺼낸 규제 카드가 되레 불안정을 낳고 있다. /뉴시스 [더팩트|이중삼 기자] 이재명 정부 10·15 대책이 서울·수도권 부동산 시장을 혼돈에 빠뜨렸다. 집값 안정을 위해 꺼낸 규제 카드가 되레 불안정을 낳고 있다. 대출 억제와 규제지역 확대에도 집값은 올랐고, 비규제 지역을 중심으로 '풍선효과'도 나타났다. 국민 절반 가까이는 이번 대책이 '부적절'하다고 평가했다. 연말 추가 대책은 집값 향방을 가르는 최대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 15일 부동산 중개업체 집토스 분석에 따르면 10·15 대책 시행 전·후 서울 규제지역(강남3구·용산구 제외)과 경기 규제지역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각각 1.2% 올랐다. 분석 대상은 10월 1일~19일과 10월 20일~11월 12일, 동일 단...
기사 본문
서울 및 경기 신규 토허제 시행 지역 1.2%↑ 화성·구리·남양주 등 비규제지역도 신고가 부동산 중개업체 집토스는 10·15 대책 시행 전후 국토교통부 실거래가를 분석한 결과, 서울 신규 규제지역의 평균 매매가는 1.2%, 경기도 내 규제지역은 1.2% 오른 것으로 분석됐다. /집토스 [더팩트 | 공미나 기자] 수도권 대부분을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제)으로 묶은 10·15 부동산 대책에도 불구하고, 서울 신규 규제지역과 경기도 규제지역의 아파트 매매가가 대책 직전보다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중개업체 집토스는 10·15 대책 시행 전후 국토교통부 실거래가를 분석한 결과, 서울 신규 규제지역의 평균 매매가는 1.2%, 경기도 내 규제지역은 1.2% 오른 것으로 분석됐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분석은 규제 전후의 정확한 가격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10·15 대책의 핵심인 '토허제 확대' 시행일(10월 20일)을 기점으로, 10월 1일~19일(대책 전)과 10월 20일~11월 12일...
기사 본문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 모습. 뉴스1 10·15 부동산 대책이 발표된 지 한 달이 된 가운데 서울·경기 신규 규제지역 아파트 가격이 대책 직전보다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15억원 초과 고가 아파트가 상승세를 주도했다. 대출 규제에도 ‘현금 부자’들의 매수세가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14일 부동산 중개업체 집토스에서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을 토대로 10·15 대책 시행 전후 아파트 매매가격을 분석한 결과, 규제지역으로 추가된 서울 21개 구와 경기도 12개 시·구의 평균 가격이 대책 시행 전보다 각각 1.2% 상승했다. 분석 기간은 규제지역(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에 이어 토지거래허가 구역 지정까지 모두 시행된 지난달 20일을 기준으로 대책 시행 전(10월1∼19일)과 시행 후(10월20일∼11월12일)이다. 동일 단지·동일 면적에서 1건 이상 거래가 발생한 아파트를 대상으로 했다. ━ 규제도 '현금 부자' 못 막아 토허제로 묶여 ‘갭투자’(전세 낀 매매...
기사 본문
(서울=뉴스1) 김명섭 기자 = 13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국토교통부는 연말까지 추가 주택공급 대책을 발표할 방침이다. 공급 방안으로는 유휴부지 추가 확보가 유력하게 거론된다. 서울 내 가용 부지가 한정된 상황에서 빠르고 많은 공급을 위해 선택지가 제한적이기 때문이다. 또한 그린벨트 해제 역시 유력한 방안 중 하나다. 서울에 남은 그린벨트는 약 150㎢로, 서울 전체 면적의 4분의 1에 해당한다. 일부만 해제돼도 도심 내 중규모 택지 확보가 가능하다. 사진은 이날 서울의 아파트 단진 모습. 2025.11.13/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서울=뉴스1) 김명섭 기자 '10.15 부동산 대책 이후 한 달 새 서울 집값이 더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전역을 포함해 수도권 대부분을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제)으로 묶었지만, 규제지역의 아파트 매매가가 대책 발표 전보다 상승한 것이...
기사 본문
강남3구 외 신규 규제지역 평균 매매가 1.6% 상승 경기 규제지역 1.2% 올라 규제 피한 경기 182건 신고가… 화성·구리·남양주 강세 수도권 대부분을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제)으로 묶은 10·15 부동산 대책에도 불구하고, 규제지역으로 새로 지정된 아파트 매매가격이 대책 직전보다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집토스 제공 14일 부동산 중개업체 집토스가 10·15 대책 시행 전후 국토교통부(국토부) 실거래가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서울 신규 규제지역(강남3구 외)의 평균 매매가는 1.6%, 경기도 내 규제지역은 1.2% 오른 것으로 분석됐다. 이번 분석은 규제 전후의 정확한 가격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10·15 대책의 핵심인 ‘토허제 확대’ 시행일(10월 20일)을 기점으로, 10월 1일~19일(대책 전)과 10월 20일~11월 12일(대책 후)에 동일 단지, 동일 면적에서 각각 1건 이상 거래가 발생한 아파트를 대상으로 했다. 10·15 대책 후 서울 대부분과 경기도 주요 지역이 토...
기사 본문
강남3구 외 신규 지정지 아파트 평균 매매가 1.2% 상승 경기 규제지역도 1.2%↑ 15억 초과 아파트가 상승 주도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도심 아파트 모습 [연합뉴스] 수도권 대부분을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구역)으로 묶은 10·15 대책에도, 서울 신규 규제지역(강남3구 외)과 경기도 규제지역의 아파트 매매가가 대책 직전보다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집토스가 10·15 대책 시행 전후 국토교통부 실거래가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서울 신규 규제지역의 평균 매매가는 1.2%, 경기도 내 규제지역은 1.2% 올랐다. 이번 분석은 토허구역 확대 시행일(10월 20일)을 기점으로, 10월 1~19일(대책 전)과 10월 20~11월 12일(대책 후)에 동일 단지·면적에서 각각 1건 이상 거래가 발생한 아파트를 대상으로 했다. ‘실거주 의무’에도 신규 규제지역 1.2%↑ 10·15 대책으로 서울 대부분 지역과 경기도 주요 지역이 토허제로 묶여 ‘갭투자(전세 끼고 주택매입)’가 사실...
기사 본문
서울 신규 규제지역 1.2% 상승 경기도 규제지역 1.2% 상승 경기도 비규제지역 1.1% 상승 똘똘한 한 채 쏠림 가속화 [서울=뉴시스] 10·15대책 전후 주요 지역 아파트 가격 변동 현황. (그래픽=집토스 제공) 2025.11.14.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정진형 기자 = 10·15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 시행 한 달을 맞은 가운데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새로 지정된 서울과 경기 규제지역의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이 오히려 오르는 등 똘똘한 한 채 현상이 강화됐다는 분석이 나왔다. 14일 부동산 중개업체 집토스가 10·15 대책 시행 전후에 국토교통부 실거래가를 분석한 결과, 강남3구를 제외한 서울 신규 규제지역의 평균 매매가는 1.2%, 경기도 내 규제지역도 1.2%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분석은 토허구역 효력이 발생한 지난달 20일을 기준으로 10월1일~19일과 10월20일~11월12일에 동일 단지, 동일 면적에서 각각 1건 이상 거...
기사 본문
집토스, 국토부 실거래가 분석…"15억 초과 아파트가 상승 주도" (서울=연합뉴스) 임기창 기자 =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개 지역을 규제지역(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은 10·15 부동산 대책 시행 이후에도 규제 대상으로 신규 편입된 지역의 아파트 매매가격이 이전보다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부동산 중개업체 집토스는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을 토대로 10·15 대책 시행 전후 아파트 매매가격을 분석한 결과 규제지역으로 추가된 서울 21개 구와 경기도 12개 시·구의 평균 가격이 대책 시행 전보다 각각 1.2% 상승했다고 14일 밝혔다. 분석 기간은 규제지역에 이어 토허구역 적용까지 '삼중 규제'가 모두 시행된 지난달 20일을 기준으로 대책 시행 전(10월1∼19일)과 시행 후(10월20일∼11월12일)이며, 동일 단지·동일 면적에서 각 1건 이상 거래가 발생한 아파트를 대상으로 했다. 신규 규제지역 가격 상승은 15억원을 초과하는...
기사 본문
규제에도 고가 아파트가 시장 견인… 비규제 경기 외곽은 신고가 182건 ‘풍선효과’ 11일 경기 구리타워에서 바라본 구리 도심의 모습. 뉴시스 10·15 부동산 대책으로 수도권 대부분이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제)으로 묶였지만, 규제지역 아파트 가격은 대책 이전보다 오히려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강남3구를 제외한 서울 신규 규제지역은 대책 전 대비 평균 1.6% 올랐고, 경기도 규제지역도 1.2% 상승했다. 규제를 피한 경기 외곽에서는 신고가가 182건이나 나오면서 ‘풍선효과’ 징후도 나타났다. 14일 부동산 플랫폼 집토스는 10·15 대책 시행일(10월 20일)을 기준으로, 대책 전(10월 1~19일)과 대책 후(10월 20일~11월 12일) 동일 단지·동일 면적에서 각각 1건 이상 거래가 발생한 아파트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실거주 의무’에도 서울 신규 규제지역 1.6%↑… 핵심은 ‘15억 초과’ 토허제 확대와 실거주 의무 도입으로 갭투자가 사실상 차단됐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