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팩트시트에 '외환시장 안정' 항목 포함…환율 진정 기대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한국 외환시장 불안 야기해서는 안 돼" 연간 200억 달러 자체는 여전히 리스크 한미 정부가 각국에서 동시에 공개한 관세 관련 팩트시트(Joint Fact Sheet)에 ‘외환시장 안정’ 관련 내용이 포함됐다. 14일 오전 서울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모니터에 주가와 환율이 표시되고 있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음. 연합뉴스 14일 대통령실과 백악관이 각각 발표한 한미 관세·무역협상 관련 공동팩트시트의 핵심은 ‘총 3500억 달러(약 502조 원)의 대미 투자 패키지 중 한국 정부가 2000억 달러를 연간 200억 달러 한도 내에서 투자하고 미국은 대한국 관세율을 15%로 낮추는 것’이다. 지난달 한미정상회담 때 합의된 내용이 그대로 반영됐다. 특히 팩트시트에는 한국이 미국에 투자하기로 약속한 2000억 달러와 관련해 ‘외환시장 안정’ 항목이 별도로 포함됐다. 팩트시트를 보면 “(미국에 대한 한국 정부의 2000억 달러 투자로) 한국 외환시장 불안을 야기해서는 안 된...
기사 본문
[한·미 팩트시트 발표] 연합뉴스 한·미는 14일 발표한 ‘조인트 팩트시트(공동 설명자료)에 ‘외환시장 안정’을 별도 항목으로 담았다. 시장에서는 큰 우려를 덜었다고 본다. 다만 불확실성이 완전히 사라지지는 않았다. 한·미 양국은 팩트시트에 한국이 연간 200억 달러를 초과하는 자금을 조달하도록 요구받지 않을 것과 가능하면 시장 매수 방식이 아닌 다른 수단을 통해 달러를 조달하도록 한다는 내용을 명시했다. 양해각서(MOU) 이행이 원화 변동성을 키우는 등의 시장 불안정을 일으킬 가능성이 보이면, 한국이 자금 조달액 및 시기 조정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한다는 문구도 포함됐다. 다만 이때 “미국은 신의를 가지고 그와 같은 요청을 적절히 검토할 것”이라고만 표현했다. 한국 외환시장이 불안정할 때에 대응하는 구체적인 방안은 빠진 것이다. 최근 불안한 모습을 보이던 원·달러 환율은 팩트시트 발표와 함께 외환 당국의 구두개입이 있으면서 급락했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의 주간거래 종가(...
기사 본문
'200억달러 한도·조달 금액·시점 조정 가능' 명문화로 우려 덜어 한국 요청에 '신의로 적절히 검토' 대목엔 불확실성 남아 "외환운용 수입 모자라면 특별전략투자공사 기금으로 조달…시장불안 없을 것" 이재명 대통령, 팩트시트 합의 발표 (서울=연합뉴스) 한상균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14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한미 관세·안보 협상 '조인트 팩트시트'(공동 설명자료) 최종 합의를 발표하고 있다. 2025.11.14 xyz@yna.co.kr (세종=연합뉴스) 이대희 기자 = 한미 협상의 결과물인 '조인트 팩트시트'(공동 설명자료)에 '외환시장 안정' 합의가 명문화되면서 큰 우려는 덜었지만 불확실성이 완전히 사라지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14일 발표된 한미 팩트시트에는 '외환시장 안정'이 별도 항목으로 들어갔다. 한국의 2천억달러 대미 직접 투자와 관련해 "한국 외환시장 불안을 야기해서는 안 된다는 데 상호 이해에 도달했다"며 "어느 특정 연도에도 연간 200억달러를 초과하는 액수...
기사 본문
한국과 미국 정부가 3500억 달러(약 500조원) 대미 투자를 조건으로 관세를 15%로 낮추는 내용의 공동 설명자료(팩트시트)를 공개했다. 대규모 달러 투자가 한국 외환시장 충격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하는 ‘안전장치’가 합의문에 담겼지만 불확실성은 여전하다. 양국이 14일 발표한 팩트시트에 따르면 총 3500억 달러의 대미 투자는 1500억 달러 규모의 조선 분야 투자와 2000억 달러 규모의 전략적 투자로 나뉜다. 논란이 됐던 2000억 달러 전략적 투자(현금 또는 지분)에 대해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연간 200억 달러의 자금 조달액 상한을 설정하고 외환시장 불안이 우려될 경우 한국이 자금 조달 규모 및 납입 시기 조정을 요청하는 안전장치를 반영했다”고 말했다. 14일 오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원달러 환율 시황이 표시되고 있다. 뉴스1 세부적으로는 ▶가능한 한 미화를 시장에서 매입하는 방식이 아닌 다른 방법을 통해 조달하고 ▶공약의 이행이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