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공시가 현실화율 동결했지만… 서울 한강벨트 보유세 45% 오를 전망

2025년 11월 14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68개
수집 시간: 2025-11-14 06:28:11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조선비즈 2025-11-13 17:05:06 oid: 366, aid: 0001122757
기사 본문

내년 아파트 공시가격 현실화율 69% 동결 올해 서울 아파트 급등에 내년 보유세 부담↑ 서초·마포·송파 주요 단지 보유세 40~45% 늘 듯 지난해 11월 26일 서울 서초구 반포의 한 신축 아파트 단지 전경. /연합뉴스 정부가 내년 공시가격 현실화율(시세반영율)을 4년 연속 69%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하지만 서울 ‘한강벨트’, 강남 등 주요 지역 아파트의 내년 보유세는 올해보다 최대 45%까지 오를 것으로 보인다. 한강벨트를 따라 주요 주택 단지의 최근 시세 상승분이 공시가격에 반영되면서 세부담이 커질 전망이다. 국토교통부(국토부)는 13일 서울 서초구 한국부동산원 서울강남지사에서 이런 내용을 담은 ‘2026년 부동산 가격공시 추진방안(추진방안)’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국토부는 이날 오전 ‘부동산 가격 공시 정책 개선을 위한 공청회’를 개최한 뒤 중앙부동산가격공시위원회 심의를 거쳐 이번 방안을 마련했다. 정부는 세 부담을 고려해 내년 부동산 공시가격 현실화율을 현행 수준으...

전체 기사 읽기

헤럴드경제 2025-11-13 10:32:14 oid: 016, aid: 0002557141
기사 본문

본지 국세청 ‘서울시 구별 종부세 실적’ 입수 4개 자치구 제외, 21개 구 일제히 세액 상승 정부 공시가격 현실화율 동결했지만 세 부담 ↑ 지난 3일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시내 아파트 단지.[연합] #. 강서구 마곡동의 대장아파트로 꼽히는 마곡엠밸리 7단지는 10·15 부동산 대책이 발표되기 직전인 지난 10월 10일 114㎡(이하 전용면적)가 22억2500만원에 거래되며 최고가를 경신했다. 이 아파트 같은 규모의 고층 세대 공시지가 역시 2024년 10억8900만원에서 2025년 12억8400만원으로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본래 종합부동산세(이하 종부세) 과세 대상이 아니었지만, 공시가가 12억원을 넘기며 1가구 1주택 기준으로 과세 대상에 편입된 것이다. #. 송파구 잠실동의 잠실엘스 59㎡는 2023년 1월 1일 기준 공시가격이 9억6100만원이었지만 이듬해 12억100만원으로 1년만에 25% 상승했다. 올 1월 기준으론 공시지가가 13억원대에서 15억원까지 올라, 세 부담이 ...

전체 기사 읽기

노컷뉴스 2025-11-14 05:01:22 oid: 079, aid: 0004085800
기사 본문

핵심요약 정부, 내년 부동산 가격공시 추진 방안 심의·의결…4년째 동결 공시가격 현실화 일단 '유보'…부유층 '상대적 이익' 효과 우려 공시가격 균형성 조정 초점…평가 후 미달 지역은 정밀 검토 공시가격 검증지원센터·빅데이터기반 AI 활용…정확성·객관성↑ 공시가격 현실화율 '동결'에도…서울 주요 아파트 보유세↑ 전망 서울 마포구 하늘공원에서 바라본 아파트 모습. 류영주 기자 정부가 일단 내년도 부동산 공시가격 시세반영률(현실화율)을 현행 수준으로 유지하되 산정 체계를 전반적으로 손질해 2027년부터 적용하기로 했다. 또 시세의 90% 수준까지 끌어올린다는 현실화 계획 목표는 유지한다는 방침은 재확인했다. 정부, 내년 부동산 가격공시 추진 방안 심의·의결…4년째 동결 국토교통부는 전날 중앙부동산가격공시위원회를 열고 '2026년 부동산 가격공시 추진방안'을 심의·의결했다. 이에 따라 내년도 부동산 공시가격에 적용되는 현실화율은 현재 수준으로 유지된다. 애초 부동산 공시가격 현실화 계획에...

전체 기사 읽기

아시아경제 2025-11-13 16:27:53 oid: 277, aid: 0005679022
기사 본문

국토부, 부동산 가격공시 공청회서 밑그림 공개 현실화계획·합리화방안 한계 지적…2027년 적용 정부가 부동산 공시가격 산정 체계를 전반적으로 손봐 2027년부터 적용하기로 했다. 현행 법령에서도 개념 정리가 제대로 돼 있지 않은 점을 바로 잡고, 시세반영률도 5년 단위로 짜는 방안이 유력하다. 공시가격이 국민 대다수 실생활과 밀접한 만큼 전국 단위로 검증센터를 확대해 반발을 줄이는 작업도 병행한다. 국토교통부는 13일 주최한 '부동산 가격공시 정책개선을 위한 공청회'에서 이러한 내용을 담은 공시가격 제도 개편 방향성을 공개했다. 앞서 국토연구원이 해당 연구용역을 맡아 착수했고 결과물은 내년 9월께 나올 예정이다. 이날 발제를 맡은 박천규 국토연구원 주택·부동산연구본부장은 "중요하게 바라볼 요소는 장기적 비전과 관리 지표의 설정, 수용성과 안정성"이라며 "국민 인식에 부합하는 수용성과 제도 명확성을 다져 공시가격 제도의 안정성과 지속 가능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고 ...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