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운용 KODEX ETF, ‘업계 최초’ 100조 시대 열었다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국내 최초 ETF ‘KODEX 200’ 출시 후 23년 만의 성과 다양한 자산·테마·전략 등에 투자…자산증식에 기여 고객 중심 경영 강화…금융 소비자 보호에도 솔선수범 연말까지 이벤트 진행…신규 매수 투자자에 금 제공 ⓒ삼성자산운용 [데일리안 = 서진주 기자] 23년 동안 국내 상장지수펀드(ETF) 업계 1위 자리를 굳건히 지켜온 삼성자산운용이 업계 최초로 순자산 100조원을 돌파하는 성과를 달성했다. 16일 삼성자산운용에 따르면 KODEX ETF 순자산 합계는 100조5071억원을 기록했다. 지난 2002년 10월 14일 대한민국 최초 ETF인 ‘KODEX 200’을 내놓은 이후 23년 만에 이룬 금자탑이다. KODEX ETF 순자산은 지난해 말 66조2508억원에서 약 9개월 만에 51.7% 증가했다. 지난달 11일에는 순자산 90조원을 돌파, 이후 한 달 만에 10조원 이상 성장했다. 특정 상품 유형에 치우치지 않고, 다양한 상품들이 고르게 성장한 덕분으로 풀이된다. 그동안 삼...
기사 본문
미래에셋자산운용은 'TIGER 미국나스닥100 ETF'가 상장 15주년을 맞이했다고 17일 밝혔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투자자들의 꾸준한 성원에 감사의 뜻을 전하며 '15년의 여정, 장기투자의 마라톤 완주'를 주제로 이벤트를 진행한다. 2010년 10월18일 상장한 TIGER 미국나스닥100 ETF는 국내 최초의 미국 투자 ETF다. 개인 투자자가 직접 해외 주식에 투자하기 다소 제약이 많았던 시기다. TIGER 미국나스닥100 ETF는 국내 ETF 시장에서도 간편하게 미국 주식 투자할 수 있는 '미국 시장으로 향하는 통로' 역할을 수행했다. 15년간 지속해서 성장하며 장기투자의 상징이자 '헤리티지(Heritage) ETF'로 자리매김했다. 나스닥100지수가 꾸준히 우상향하며 상장 당시 1만원이었던 주당 가격은 현재 15만원을 넘어섰다. 무려 15배의 주가 상승을 달성했다. 16일 기준 TIGER 미국나스닥100 ETF 순자산 규모는 6조1864억원을 기록했다. 국내는 물론 현재 아시...
기사 본문
한투증권이 퇴직연금 계좌를 통한 ETF 투자금액이 2배 가량 늘었다고 밝혔다. /사진=한국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은 퇴직연금 계좌(DC·IRP)를 통한 ETF(상장지수펀드) 투자금액이 약 10개월 만에 1조6359억원 늘었다고 17일 밝혔다. 지난해 말 8조4000억원이던 퇴직연금 적립금은 이달 11조5000억원으로 증가했다. 같은 기간 ETF 투자금액은 1조7486억원에서 3조3845억원으로 약 두 배(93.6%) 늘었으며 계좌 내 ETF 비중도 20.8%에서 29.4%로 8.6%포인트 상승했다. 글로벌 증시 강세와 성장 테마형 상품의 인기가 ETF 직접투자 확산을 이끌었다는 분석이다. 50대 가입자가 ETF 투자 확대를 주도했다. 미국 S&P500·나스닥100 등 대표지수형 상품뿐 아니라 글로벌 테크·AI(인공지능) 테마 ETF 수요가 꾸준히 늘어난 점도 ETF 잡고 상승의 배경으로 꼽힌다. 올해 들어서는 미국 중심에서 벗어나 중국·국내 ETF로 투자 범위가 확대됐다. 차이나 테크·...
기사 본문
최근 5년간 연평균 37.7% 성장세…미국 ETF 시장 성장률 크게 웃돌아 미래에셋 글로벌 ETF 총 운용자산 262조…미국·캐나다·호주 등 글로벌 시장서 존재감 글로벌엑스(Global X) 임직원들 단체 사진. [미래에셋자산운용] [헤럴드경제=김유진 기자] 미래에셋자산운용은 ETF 운용 자회사 Global X(글로벌엑스)의 미국 현지 운용자산(AUM)이 100조원을 돌파했다고 16일 밝혔다. 글로벌엑스는 2018년 인수 이후 약 7년만에 순자산 규모가 13배 성장을 이루며 세계 최대 ETF 시장인 미국에서 글로벌 ETF 운용사로 존재감을 과시했다. 글로벌엑스는 15일 기준 미국 현지에서 101개의 ETF를 운용하고 있다. 운용자산은 총 735억 달러(원화 기준 104조 9930억원)이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이 글로벌엑스를 인수한 2018년 당시 운용자산은 100억 달러(약 8조원) 수준이었지만 이후 2023년말 424억 달러, 2024년말 539억 달러로 꾸준히 증가했다. 현재 운용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