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수원 “고리2호기 계속운전, 내년 2월 재가동 목표…안전, 최우선”

2025년 11월 14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100개
수집 시간: 2025-11-14 04:17:43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8개

노컷뉴스 2025-11-13 16:37:10 oid: 079, aid: 0004085691
기사 본문

원안위, 세 번째 심의 만에 허가 의결…"안전기준 충족 확인" 한수원 설비 교체·원안위 현장점검 절차 마치면 재가동 시작 李, 노후원전 수명연장 방침엔 '청신호'…9건 줄줄이 심사 앞둬 관심은 신규 원전 건설 여부로…내년 12차 전기본 수립시 '윤곽' 부산 기장군 장안읍 월내 쪽에서 바라본 고리2호기(오른쪽 두 번째) 모습. 연합뉴스 지난 2023년 4월부로 40년 간의 설계수명을 마치고 운전이 정지됐던 고리 원자력발전소 2호기가 재가동 채비에 나선다. 적합성 확인 절차를 거쳐 재운전을 시작하면 2033년 4월 8일까지 추가로 가동하게 된다. 국내 원전의 계속운전 허가가 이뤄진 건 고리 1호기와 월성 1호기에 이어 이번이 세 번째다. 특히 탈탄소와 재생에너지 확대를 중심으로 한 에너지 전환을 표방한 이재명 정부 들어 첫 계속운전 허가란 점에서 향후 원전 정책 방향과 관련해 업계와 학계에선 '청신호'로 해석되고 있다. 세 번째 심의 끝에 6명 중 5명 찬성으로 의결 13일 국회 본회의...

전체 기사 읽기

아시아경제 2025-11-13 16:42:07 oid: 277, aid: 0005679035
기사 본문

세번째 상정 만에 원안위 표결 끝 허가 한수원 3개월간 설비개선…내년초 재가동 심사 지연에 실제 운영 기간은 7년 남짓 나머지 원전 계속운전 심사 속도 낼 듯 부산 기장군 장안읍 월내 쪽에서 바라본 고리2호기(오른쪽 두 번째) 모습 연합뉴스 40년간 운전을 끝내고 지난 2023년 4월부터 2년 8개월간 멈춰 서 있던 고리 2호기(전기출력 685MWe)가 내년 초부터 재가동에 들어간다. 고리 2회기의 계속 운전이 결정됨에 따라 2030년까지 설계 수명이 끝나 가동이 멈추는 나머지 9기의 원자로의 계속 운전 심의도 속도를 낼 것으로 전망된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13일 개최한 224회 회의에서 부산 기장 고리 원자력발전소 2호기의 계속 운전을 허가 안을 의결했다. 원안위는 222회(9월 25일), 223회(10월 23일)에 이어 이날 세 번째로 고리 2호기 계속운전 안건을 상정했다. 앞서 두 차례 심의에서는 검토가 더 필요하다는 원안위 위원들의 요구에 따라 결정을 보류했다. 이날 원안위는...

전체 기사 읽기

동아일보 2025-11-14 03:05:52 oid: 020, aid: 0003674411
기사 본문

한수원 “석달내 고리 2호기 재가동” 5년내 허가 만료되는 원전 9기 업계 “계속 운전 힘 실릴 듯” 기대 10기 발전량, 서울 한해 전력 웃돌아 부산 기장군 장안읍에 있는 고리 2호기 전경. 한국수력원자력 제공 원자력안전위원회가 13일 고리 원전 2호기의 수명 연장을 결정하면서 2030년까지 설계수명 만료를 앞둔 다른 노후 원전들의 계속운전 승인에도 힘이 실릴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이번 고리 2호기 재가동 결정은 정부가 공언한 ‘인공지능(AI) 3대 강국’과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를 달성하기 위해 원전이 필요하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 AI 대전환 위한 발전 기반 확보 앞서 9월과 10월 원안위 심의에서 두 차례 보류됐던 고리 2호기의 운명은 향후 이재명 정부의 원전 정책을 가늠할 척도로 여겨졌다. 고리 2호기 계속운전 승인과 함께 고리 3, 4호기와 한빛 1, 2호기, 한울 1, 2호기 등의 수명 연장도 이어질 것으로 업계는 기대하고 있다. 고리 2호기...

전체 기사 읽기

한국경제 2025-11-13 17:56:13 oid: 015, aid: 0005211156
기사 본문

원전없인 AX 불가능…고리 2호기 재가동 원안위, 세 번째 심사에서 '계속운전' 승인 AI 3대강국·탄소감축 목표달성에 원전 필요 판단 고리 3·4호기 등 다른 노후원전 수명 연장도 탄력 부산 기장군의 고리 2호기 원자력발전소가 가동 중단 2년7개월 만에 ‘계속운전’을 승인받았다. ‘인공지능(AI) 세계 3대 강국’ 국정 목표와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달성하기 위해 원전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점을 고려한 결정으로 풀이된다. 고리 2호기는 내년 2월 가동을 재개할 것으로 보인다. 조만간 가동 허가 기간이 끝나는 다른 노후 원전의 계속운전 논의에도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13일 전체회의를 열고 고리 2호기 계속운전 허가안을 표결로 통과시켰다. 고리 2호기 수명은 설계 수명 만료일에서 10년 늘어나 2033년 4월까지로 연장됐다. 국내에서 설계 수명이 다한 원전의 계속운전이 허가된 것은 2008년 고리 1호기, 2015년 월성 1호기에 이어 이번이 세 번째다. 고...

전체 기사 읽기

뉴시스 2025-11-14 05:00:00 oid: 003, aid: 0013599812
기사 본문

원안위 회의에서 고리 2호기 계속운전 허가 안전여유도 확보·안전기준 충족 '모두 확인' 고리 2·3·4에 한빛 1호기까지 골든타임 놓쳐 한수원, 10기 계속운전 추진…경제적 손실 커 전대욱 "안전 최우선으로 적기 가동에 최선" [부산=뉴시스] 하경민 기자 = 원자력안전위원회가 13일 고리원자력발전소 2호기 계속운전 허가를 승인했다. 이에 가동이 중지됐던 고리원전 2호기는 2033년 4월8일까지 다시 운전이 가능해졌으며, 원전 당국은 내년 2월 재가동을 위해 설비 개선에 착수한다. 이날 오후 부산 기장군의 한 마을에서 바라본 고리원전 2호기(오른쪽)와 영구 정지 8년 만인 지난 6월 해체가 결정된 고리원전 1호기(왼쪽) 모습. 2025.11.13. yulnetphoto@newsis.com [세종=뉴시스]손차민 기자 = 고리 2호기가 멈춰 선 지 2년 반 만에 계속운전 승인을 받아 재가동에 들어간다. 계속운전을 신청한 10기 원전 가운데 첫 승인 사례가 나오며 추가 허가에 대한 기대감이...

전체 기사 읽기

서울경제 2025-11-14 05:31:20 oid: 011, aid: 0004555703
기사 본문

[고리2호기 재가동] 원안위, 2033년까지 연장 의결 심사 지연에 실사용 기간은 7년 고리3·4호기는 이미 가동 중단 내달 한빛1호기 설계수명 도래 원안위 심사·평가조직 확대 절실 美 등 운영허가 기간 20년씩 늘려 韓도10년서 20년으로 확대 필요 고리원자력본부 전경. 사진=한수원 [서울경제] 설계수명이 40년을 넘겨 2023년 4월 운전을 중지했던 고리 2호기가 다시 전기를 생산할 수 있게 됐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13일 제224차 회의를 열고 고리 2호기 계속운전 허가안을 의결했다. 고리 2호기의 수명은 2033년 4월까지 연장됐다. 원안위는 앞서 9월과 10월 진행된 두 차례 심의에서도 결론을 내지 못하다가 이날 표결을 통해 최종 허가를 내렸다. 다만 심사가 늘어진 탓에 고리 2호기를 실제로 더 쓸 수 있는 시간은 내년 초부터 약 7년에 그칠 것으로 보인다. 이기복 한국원자력학회 회장은 “계속운전 심사에 3년씩 걸리는 현재 구조로는 앞으로 쏟아질 노후 원전에 대한 적기 심사...

전체 기사 읽기

서울신문 2025-11-14 05:02:17 oid: 081, aid: 0003591569
기사 본문

‘AI 강국·온실가스 감축’ 기조 발맞춰… 원전 9기 재가동도 청신호 원안위, 2033년까지 수명 연장 결정 고리 1호기·월성 1호기 이어 세 번째 13일 오후 부산 기장군 고리 2호기(가운데)의 모습. 원자력안전위원위원회는 이날 고리 2호기 계속운전 허가를 표결로 의결했다.2025.11.13. 연합뉴스 부산 고리 원자력발전소 2호기가 멈춰 선 지 2년 7개월 만에 ‘계속운전’이 결정됐다. ‘인공지능(AI) 세계 3대 강국’ 국정 목표와 국가온실가스 감축 목표(NDC)를 달성하기 위해 원전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점을 고려한 결정으로 풀이된다. 이재명 정부에서 이뤄진 원전 운영 관련 첫 결정이라는 점에서 신규 원전 건설 대신 기존 원전의 수명 연장을 통한 ‘원전·재생에너지 믹스’의 방향성을 드러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번 결정으로 현재 심사 대기 중인 다른 원전 9기의 계속운전 논의도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13일 서울 중구 원안위 대회의실에서 제224차 전체회의 열고...

전체 기사 읽기

한겨레 2025-11-13 15:48:21 oid: 028, aid: 0002776230
기사 본문

원안위, 13일 회의서 결정 부산 기장군에 있는 고리 원전 2호기(가운데). 연합뉴스 안전성, 경제성 논란이 일었던 국내 최장수 원전인 고리2호기의 수명이 결국 연장됐다. 오는 2033년까지 7년여간 추가 가동될 전망이다.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는 13일 서울 중구 원안위 회의실에서 제224회 회의를 열고 고리2호기의 수명을 10년 연장(계속운전)하기로 했다. 재적 원안위원 6명 중 5명이 찬성해 원안(수명연장)대로 의결됐다. 이 경우 설계수명이 만료된 2023년이 기준이어서, 실제로는 2033년까지 가동된다. 고리2호기는 1983년 4월 상업운전을 시작해 40년의 설계수명이 만료된 2023년 4월 가동정지 상태에 들어갔다. 부산 기장군 고리 원자력 본부에 있는 고리2호기는 전세계적으로 중대 원전 사고가 발생한 적이 없었던 1980년대(첫 노심용융 사고인 미국 스리마일섬 사고가 1979년 발생)에 설계된 노후원전이다. 미국 웨스팅하우스가 공급한 가압경수로이며, 용량 685메가와트(...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