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일' 코스피, 미 셧다운 해제에 상승 마감…외인 1조 순매수
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역대 최장' 미 셧다운 종료 코스닥도 이틀째 강세 에이비엘바이오 2거래일 연속 '上' 사진=연합뉴스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일인 13일 코스피지수가 미 연방정부 셧다운(일시적 업무정지) 해제 등 불확실성이 일부 걷히면서 상승 마감했다. 이날 코스피지수는 전일 대비 20.24포인트(0.49%) 오른 4170.63에 거래를 마쳤다. 수능일 영향에 평소보다 1시간 늦게 개장한 코스피지수는 장 초반 미 기술주 약세 영향에 하방 압력이 커지면서 약보합권에서 등락했으나 미 하원에서 셧다운 종료 표결이 가결되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서명까지 순차적으로 진행되면서 상승 전환하는데 성공했다.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 투자자는 1조19억원어치 순매수했다. 반면 기관과 개인은 각각 7816억원과 1860억원 매도우위였다.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주들은 등락이 엇갈렸다. '반도체 투톱'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각각 0.29%와 0.81% 하락한 반면 두산에너빌리티(5.99%), HD현대중...
기사 본문
삼성전자·SK하이닉스 '숨 고르기'…외국인 9천억원 규모 '사자' "불확실성 완화에 가치주 순환매"…코스닥, 1%대 강세 상승 마감한 코스피 (서울=연합뉴스) 홍해인 기자 = 13일 서울 을지로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증시 현황판에 코스피, 원/달러 환율, 코스닥 지수가 표시되고 있다. 이날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20.24포인트(0.49%) 오른 4,170.63로 종료했다. 2025.11.13 hihong@yna.co.kr (서울=연합뉴스) 고은지 기자 = 코스피는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으로 인해 1시간 늦게 개장한 13일 하락 출발했으나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일시 업무정지) 종료로 투자심리가 살아나며 상승 마감했다. 외국인 투자자가 9천억원가량 순매수에 나선 가운데 그간 상대적으로 상승세가 약했던 바이오주 등이 약진했다. 코스피는 이날 전장보다 20.24포인트(0.49%) 오른 4,170.63으로 장을 마쳤다. 지수는 전장 대비 22.82포인트(0.55%) 내린 4,127....
기사 본문
"美셧다운 종료로 불확실성 일부 해소" 코스피, 업종별 뚜렷한 상승재료 부재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Shut Down·일시적 업무정지)이 공식 해제된 가운데, 코스피지수가 4일 연속 상승 마감했다. 코스닥도 2차전지·바이오를 중심으로 상승세를 이어갔다. 13일 코스피지수는 전날 대비 20.24포인트(0.49%) 오른 4170.63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지수는 22.82포인트(0.55%) 내린 4127.57로 출발했지만, 오후 들어 본격적으로 상승 전환했다. 장 초반 매도세를 보이던 외국인이 장 후반 약 1억원어치를 순매수하며 상승장을 이끌었다. 반면 기관은 7177억원어치, 개인은 2344억원어치를 각각 팔아치웠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 중에선 셀트리온(6.67%), 두산에너빌리티(5.99%), HD현대중공업(5.97%), 한국전력(3.36%), 한화오션(3.16%), HD현대일렉트릭(2.12%), LG에너지솔루션(1.89%), 현대차(1.09%) 등이 상승했다. 반면 삼성물산(-1....
기사 본문
외인만 순매수 "셧다운 종료와 함께 순환매 강화" [서울=뉴시스] 황준선 기자 = 코스피가 전 거래일(4150.39)보다 20.24포인트(0.49%) 상승한 4170.63에 장을 마친 13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전광판에 지수가 보이고 있다. 2025.11.13. hwang@newsis.com [서울=뉴시스]이지영 기자 = 코스피가 13일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 종료와 함께 4170선에 상승 마감했다. 그간 증시를 짓눌렀던 셧다운 리스크가 해소되면서 투심이 회복한 영향이다. 이날 코스피는 전 거래일(4150.39)보다 20.24포인트(0.49%) 상승한 4170.63에 장을 마쳤다. 지수는 전장 대비 22.82포인트(0.55%) 하락한 4127.57에서 출발했다가 곧바로 상승 전환하며 전날 종가인 4150선을 탈환했다. 이후 오후 들어 4180선까지 치솟았으나 장 후반 기관 매물 부담에 상승폭을 일부 반납했다. 이날 시장을 견인한 소식은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 종료다. ...
기사 본문
코스피 개인 ‘팔자’에도 기관·외인 매수세로 하방 지지 두산에너빌·HD현대중공업·한화오션·셀트리온 주가 강세 13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현황판에 코스피 지수 등이 표시되고 있다.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장보다 22.82포인트(0.55%) 내린 4127.57로 출발했다. 원/달러 환율은 3.3원 오른 1469.0원에 개장했다. [연합] [헤럴드경제=김유진 기자] 코스피는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으로 인해 1시간 늦게 개장한 13일 하락 출발했으나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일시 업무정지) 종료로 투자 심리가 살아나며 강보합세를 이어가다 상승장으로 마감했다. 코스피는 이날 총전장보다 20.24포인트(0.49%) 오른 4170.63으로 장을 마쳤다. 지수는 전장 대비 22.82포인트(0.55%) 내린 4127.57로 출발해 오전장에서는 보합권을 오르내리며 방향성을 탐색하는 양상을 보였지만, 오후 들어 반등 후 상승세를 빠르게 키워나갔다. 이날 코스피 시장에서는 개인이 4441억 원을...
기사 본문
평소보다 1시간 지연 출발·마감 43일 만에 美 셧다운 해제…외인 9000억 순매수 13일 코스피는 전날보다 0.49% 상승한 4170.63에 거래를 마쳤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함. /이새롬 기자 [더팩트|이한림 기자]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으로 평소보다 지연 출발한 13일 코스피는 장중 등락을 오가다 강보합 마감했다. 미국 연방 정부의 셧다운(일시적 업무 중지) 종료 소식이 이어지면서 외인 투자자를 중심으로 매수세가 이어진 결과다. 1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0.49% 오른 4170.63에 거래를 마쳤다. 개장 후 하락 출발해 4123.84까지 밀렸으나, 오후 들어 상승 전환한 후 상승 폭을 확대했다. 외인이 홀로 8995억원을 순매수하면서 지수를 끌어 올렸다. 개인과 기관은 각각 2407억원, 6134억원어치를 팔아치웠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 희비는 엇갈렸다. △삼성전자(-0.29%) △SK하이닉스(-0.81%) △KB금융(-0.89%) △한화...
기사 본문
美 셧다운 종료에 장중 4188까지 올라 코스닥도 920선 회복···바이오株 강세 원·달러 환율 1470원 돌파에 외인 매도 장 막판 옵션 만기 청산으로 1조 순매수 13일 서울 을지로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증시 현황판에 코스피, 원·달러 환율, 코스닥 지수가 표시되고 있다. 이날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20.24포인트(0.49%) 오른 4170.63로 종료했다. 연합뉴스 [서울경제]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으로 1시간 늦게 개장한 국내 증시가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일시 업무정지) 종료 소식에 투자심리가 회복되며 상승 마감했다. 원·달러 환율이 장중 급등하는 악재 속에서도 외국인 투자자들이 옵션 만기를 앞두고 장 막판 대량 매수에 나서며 코스피는 4170선을 회복했다. 1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4150.39) 대비 20.24포인트(0.49%) 오른 4170.63에 거래를 마쳤다. 코스피는 이날 0.55% 내린 4127.57로 출발했으나 장중 반...
기사 본문
코스피 소폭 오른 4170.63에 마감 원/달러 환율 2.0원 오른 1467.7원 ▲ 13일 서울 을지로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증시 현황판에 코스피, 원/달러 환율이 표시되고 있다. 이날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20.24포인트(0.49%) 오른 4,170.63로 종료했다. 2025.11.13 연합뉴스 코스피가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으로 개장 시간이 1시간 늦춰진 13일, 장 초반 하락 출발에도 불구하고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 종료 소식에 힘입어 상승 마감했다. 이날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20.24포인트(0.49%) 오른 4170.63에 장을 마쳤다. 지수는 22.82포인트(0.55%) 내린 4127.57로 출발한 뒤 오전에는 보합권에서 등락을 반복했으나, 오후 들어 반등하며 한때 4188.54까지 오르기도 했다. 이날 미국에서는 연방정부 셧다운이 43일 만에 종료됐다. 미 하원은 12일(현지시간) 상원에서 넘어온 단기 지출법안 수정안을 찬성 222표, 반대 209표로 통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