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깨씨무늬병에 가을 장마까지 덮쳐"…올해 쌀 최종 생산량 3.5만 톤 ↓

2025년 11월 14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25개
수집 시간: 2025-11-14 03:36:25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TV조선 2025-11-13 17:17:39 oid: 448, aid: 0000570430
기사 본문

13일 국가데이터처는 2025년산 쌀 최종 생산량이 353만 9천 톤으로, 지난 10월 2일 발표했던 예상 생산량보다 3만 5천 톤 감소했다고 발표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쌀 최종생산량이 감소한 원인으로 깨씨무늬병과 가을 장마로 인한 일조량 감소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앞서 정부는 지난 10월 최종 생산량이 감소할 가능성을 감안해 쌀 초과 생산량 중 일부 격리를 발표한 바 있다. 최종생산량이 감소함에 따라 올해 쌀 초과생산량도 일부 변동할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내년 국가데이터처의 쌀 소비량 발표 결과를 토대로 수급을 정밀하게 재전망할 계획이다.


뉴시스 2025-11-13 12:00:00 oid: 003, aid: 0013598312
기사 본문

2025년 쌀 재배면적(확정) 및 생산량조사 결과 올해 쌀생산량 353.9만t…전년 대비 4.5만t 감소 벼재배면적, 1년 전보다 2.9% 감소한 67.8만㏊ 예상치보다 3.5만t 밑돌아…"잦은 비에 일조량↓" 정부 "벼 매입가 등 시장 상황 면밀히 모니터링" [평택=뉴시스] 김종택 기자 = 절기상 추분인 23일 경기 평택시 현덕면 구불구불한 다랑이 논에 수확을 앞둔 벼가 황금빛으로 물들어 있다. 2025.09.23. jtk@newsis.com [세종=뉴시스]박광온 기자 = 올해 쌀 생산량이 1년 전보다 1.3% 줄어든 353만9000t으로 최종 집계됐다. 전략작물직불제 등 쌀 적정생산 정책 등에 따라 재배면적이 지난해보다 줄어든 영향으로 분석된다. 특히 예상보다 생산량이 3만5000t 줄어들면서 쌀값 상승 우려가 제기되는 가운데, 정부는 향후 적극적인 수급 관리를 통해 쌀값 안정에 진력한다는 방침이다. 국가데이터처가 13일 발표한 '2025년 쌀 재배면적(확정) 및 생산량조사 결과...

전체 기사 읽기

이데일리 2025-11-13 18:50:14 oid: 018, aid: 0006163686
기사 본문

국가데이터처 '쌀 재배면적 및 생산량 확정' 쌀 생산량 363.9만t…한달 전 예상보다 감소 초과 생산량도 16.5만t→13만t으로 줄어 정부, "소비량조사 결과 따라 수급 재전망" [세종=이데일리 김은비 기자] 올해 기록적인 ‘가을장마’ 영향으로 쌀 생산량이 애초 예상보다 3만 5000톤(t) 감소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쌀 초과생산량도 예상했던 16만 5000t에서 13만t으로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내년 초 쌀 소비량 조사를 바탕으로 수급 전망에 다시 나설 방침이나 시장 격리 물량은 그대로 유지하기로 했다. 일각에서는 최근 쌀 가격이 치솟은 상태에서 쌀 공급량이 줄었음에도 정부가 같은 물량을 시장에서 격리하기로 한 것을 두고 자칫 다시 쌀값을 자극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도 제기된다. (사진=연합뉴스) 13일 국가데이터처가 발표한 ‘2025년 쌀 재배면적(확정) 및 농산물생산량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쌀 생산량은 1년 전보다 1.3% 감소한 353만 9000t(톤)으로 ...

전체 기사 읽기

조선일보 2025-11-13 12:01:09 oid: 023, aid: 0003940730
기사 본문

국가데이터처, 2025년 쌀 생산량 조사 결과 발표 재배 면적은 수년째 역대 최저치 기록 “쌀값 오름세 속 생산량 감소 영향에 주목” 올해 쌀 생산량이 4년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 벼 재배 면적이 또다시 역대 최저 수준을 경신하면서 단위 면적당 생산량이 늘었음에도 전체 생산량은 줄었다. 국가데이터처가 13일 발표한 ‘2025년 쌀 생산량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쌀 생산량은 353만9000t(톤)으로 지난해(358만5000t)보다 4만6000t(1.3%) 감소했다. 쌀 생산량은 2022년 3.0%, 2023년 1.6%, 2024년 3.2% 감소한 데 이어 4년째 줄고 있다. 지난 9월 경북 칠곡군 왜관읍 금남리 프리미엄 쌀 재배단지에서 기계를 이용한 본격적인 추수에 앞서 농부가 낫으로 직접 벼 베기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재배 면적 장기 감소 추세… 매년 최저 기록 경신 올해 벼 재배 면적은 67만8000ha로 전년(69만8000ha)보다 2.9% 줄었다. 1975년 관련 통계...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