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인데 나라살림 적자 100조원 돌파…코로나19 이후 적자폭 최대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올해 9월까지 나라살림 적자가 100조원을 넘어섰다. 나라살림에 경고등이 들어왔지만, 정부의 씀씀이가 커지며 나랏빚은 더 빨리 증가할 전망이다. 13일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월간 재정동향 11월호’에 따르면 9월 말까지 관리재정수지는 102조4000억원 적자를 기록했다. 적자 규모는 1~9월 기준으로 2020년(108조4000억원)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크다. 지난해 대비로는 11조원 커졌다. 관리재정수지는 통합재정수지(총수입-총지출)에서 국민연금 등 사회보장성 기금의 흑자폭을 뺀 수치로 실질적인 나라 살림을 보여준다. 김영옥 기자 나라 곳간 사정이 나빠진 건 민생회복지원금 등 정부의 돈풀기 영향이 컸다. 올해 1~9월 총수입은 480조7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41조4000억원이 증가했다.하지만 수입보다 돈을 더 풀며 적자폭이 커졌다. 총지출은 544조2000억원으로 지난해보다 51조9000억원이 증가했다. 총수입에서 총지출을 뺀 통합재정수지는 63조5000억원 적자를 기록했다....
기사 본문
올해 9월까지 나라살림 적자가 100조원을 넘어섰다. 13일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월간 재정동향 11월호’에 따르면 실질적인 나라살림을 보여주는 관리재정수지는 9월 말까지 102조4000억원 적자를 기록했다. 적자 규모는 1~9월 기준으로 코로나 팬데믹이었던 2020년(108조4000억원)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크다. 지난해 대비로는 11조원 커졌다. 김영옥 기자 민생회복지원금 등 정부의 돈풀기 영향이 컸다. 올해 1~9월 총수입은 480조7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41조4000억원이 증가했다. 하지만 수입보다 돈을 더 풀었다. 총지출은 544조2000억원으로 지난해보다 51조9000억원이 증가했다. 총수입에서 총지출을 뺀 통합재정수지는 63조5000억원 적자를 기록했다. 정부는 올해 말 관리재정수지 적자 규모를 111조6000억원으로 전망하고 있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적자 규모는 4.2% 수준으로 2023년 3.6%에서 계속 커지고 있다. 확장재정 기조를 앞세운 이재명 정...
기사 본문
1·2차 추경… 1년새 11조 늘어 총지출 544조2000억 역대 최고 연합뉴스 나라살림 적자가 9월까지 102조원을 넘어섰다.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네 차례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했던 2020년 9월(108조4000억원 적자) 이후 역대 두 번째다. 소비쿠폰 등 2차 추경 집행이 본격화하면서 지출이 빠르게 늘어난 영향이다. 기획재정부가 13일 발표한 ‘재정동향 11월호’에 따르면 9월 말 기준 총수입(480조7000억원)에서 총지출(544조2000억원)을 뺀 통합재정수지는 63조5000억원 적자를 기록했다. 4대 보장성 기금을 뺀 실질적인 재정 상태를 나타내는 관리재정수지는 102조4000억원 적자다. 지난해보다 적자 폭이 약 11조원 커졌다. 코로나19 팬데믹이 한창이던 5년 전과 비슷하다. 9월 누계 관리재정수지는 2020년 108조4000억원 적자로 최대를 기록한 뒤 2021년 74조7000억원, 2022년 91조8000억원, 2023년 70조6000억원, 지난해 91조5000...
기사 본문
◆월간 재정동향 총수입 480조, 총지출 544조 관리재정수지는 102.4조 적자 2020년 이후 두 번째로 큰 폭 지방선거 앞두고 퍼주기 예산 세수 확보 줄어 '악순환' 우려 이재명 대통령이 12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시장·군수·구청장 초청 국정 설명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경제] 올해 나라 살림 적자 규모가 9개월 만에 100조 원을 넘어섰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대규모 재정이 집행됐던 2020년 이후 두 번째로 큰 규모다. 이재명 정부가 확장재정을 펼치고 있는 가운데 1·2차 추가경정예산이 조기 집행된 여파다. 정부가 내년도 728조 원의 슈퍼 예산을 편성한 데다 국회 심의 과정에서 재정지출을 더 늘리라는 요구가 확대돼 내년 나라 살림 적자 규모는 올해보다 더 커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기획재정부가 13일 발간한 ‘월간 재정동향 11월호’에 따르면 올해 9월 말 기준 총수입은 480조 700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1조 4000억 원 증가했다. 예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