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銀, PF 부실 정리 속도… 연체율 6%대로 인하
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3분기 당기순익 1651억 3개 분기 연속 흑자 행진 저축은행업권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채권 정리에 속도가 붙었다. 13일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국내 저축은행 79곳의 3·4분기 당기순이익은 총 1651억원으로 집계됐다. 대손충당금 선제 적립 효과로 3개 분기 연속 흑자를 기록했다. 올해 누적 순이익은 4221억원으로 늘었다. 연체율과 주요 자산건전성 지표도 개선됐다. 부실채권 구조조정에 적극적으로 나선 덕분이다. 3·4분기 연체율은 6.90%로 전분기(7.53%)보다 0.63%p 떨어졌다. 기업대출 연체율은 9.57%로 1.25%p 하락했으나 가계대출 연체율은 0.16%p 상승한 4.76%였다. 저축은행의 분기 말 연체율이 7% 아래로 떨어진 것은 2023년 말(6.55%) 이후 1년 9개월 만이다. PF 공동펀드 조성 등으로 부실채권을 적극적으로 매·상각한 영향으로 보인다. 저축은행업권은 올해 3·4분기에 1조7000억원 규모의 부실채권 등을 매·상각했다. 3·4...
기사 본문
총자산 124조9000억원…전분기 比 6조1000억원↑ 총여신, 1조5000억감소…수신은 5조5000억원 증가 중앙회 "영업 경쟁력 확충 위해 다각적 노력 기울일 것" "영세사업자·중저신용자 금융 공급도 지속 확대 예정" 저축은행들이 올해 3분기 연속 흑자를 기록했다.ⓒ저축은행중앙회 [데일리안 = 박상우 기자] 저축은행들이 올해 3분기 연속 흑자를 기록했다. 특히 연체율과 고정이하여신비율 등 건전성 지표가 개선되며 업권 전반의 회복세가 이어지고 있다. 13일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저축은행 총자산은 124조9000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6조1000억원 증가했다. 같은 기간 총여신은 93조4000억원으로 1조5000억원 감소했다. 매·상각과 경기 회복 지연으로 신규 대출 취급이 감소한 영향이다. 반면, 총수신은 105조원으로 전분기 대비 5조5000억원 증가했다. 4분기 수신 만기를 대비해 저축은행들이 사전 예금을 유치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누적 당기순이익은 4221억원으로...
기사 본문
/사진 제공=저축은행중앙회 저축은행 업계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채권 정리 등 자구책으로 3개 분기 연속 흑자를 달성했다. 특히 부실자산 정리가 예년 속도를 뛰어넘으면서 연체율과 부실채권 비중이 가파르게 하락하며 경영 안정성이 한층 높아졌다. 다만 핵심 수익원인 이자이익이 정체된 것으로 나타났다. 대규모 부실채권(NPL) 매각이 주요 요인인데, 오히려 대출 자산은 줄고 예금만 쌓이는 '역마진' 우려가 커지면서 본질적인 수익성 개선 작업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13일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전국 79개 저축은행의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은 4221억원으로 집계됐다. 3분기에만 1651억원의 순이익을 더해 3개 분기 연속 흑자 기조를 유지했다. 흑자가 난 배경은 부실채권을 정리하면서 대손충당금전입액 규모가 감소했기 때문이다. 대손충당금은 1분기 9058억원에서 2분기 7492억원, 3분기 7008억원으로 감소했다. 저축은행 업계는 3분기에만 1조7000원 규모의 부실채권...
기사 본문
중앙회, 3분기 실적 발표 고정이하여신비율 8%대로↓ 수익성·건전성, 완만한 회복세 3분기 저축은행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채권 정리 속도를 높이며 3개 분기 연속 흑자 달성에 성공했다. 연체율과 고정이하여신비율 등 건전성 지표도 나아졌다. 저축은행중앙회는 국내 79개 저축은행이 3분기 순이익 4221억원을 기록하며 3개 분기 연속 흑자를 기록했다고 13일 밝혔다. 부실채권 정리와 선제적 충당금 적립 영향 등으로 대손충당금 전입액을 줄이면서 흑자를 달성했다는 설명이다. 대손충당금 전입액은 지난 3월 말 9000억원에서 6월 말 7000억원으로 감소했고 9월 말에도 비슷한 수준이었다. 9월 말 총자산은 124조9000억원으로 6월 말(118조8000억원) 대비 6조1000억원(5.1%) 증가했다. 수신은 105조원을 기록하며 100조원대를 회복했다. 6월 말(99조5000억원)보다 5조5000억원(5.5%) 늘었다. 여신은 93조4000억원으로 6월 말(94조9000억원)...
기사 본문
3분기 1651억원 당기순이익 기록… 1분기부터 흑자 기조 유지 충당금 전입액 감소 영향… "영업력 회복에는 시간 걸려" 저축은행 로고. 저축은행중앙회. 저축은행이 올해 3개 분기 연속으로 흑자를 냈다. 연체율도 6%대로 내렸다. 대손충당금 전입액이 감소한 영향이 컸다. 업계는 내년 본격적인 턴어라운드(실적 개선)에 대비해 당분간 체질 개선과 내부 역량 축적에 우선할 계획이다. 저축은행중앙회는 지난 3분기 전국 79개 저축은행이 총 1651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고 13일 밝혔다. 1분기 440억원 흑자 이후 3개 분기 연속 흑자다. 3분기까지 누적 당기순이익은 4221억원이다. 3분기 저축은행 총자산은 124조9000억원으로 전 분기 대비 6조1000억원 증가했다. 여신은 경기회복 지연에 따라 대출 취급이 감소하면서 전 분기 대비 1조5000억원 줄어든 93조4000억원을 기록했다. 수신은 같은 기간 5조5000억원 증가한 105조원이다. 올해 말 만기가 돌아오는 고금리 예금에...
기사 본문
3분기 순이익 1651억으로 세 분기 연속 흑자 연체율 6.90%로 0.63%p, 고정이하여신 8.79%로 0.7%p↓ [서울=뉴시스] 이정필 기자 = 저축은행중앙회는 올해 3분기 저축은행 업권 결산 결과 누적 당기순이익 4221억원으로 집계됐다고 13일 밝혔다. 3개 분기 연속 흑자 시현이다. 중앙회에 따르면 3분기 대손충당금 전입규모 감소 등으로 이익이 1651억원 발생했다. 수신 증가와 여신 감소, 신규대출 취급금리 하락 등으로 이자이익 개선효과는 제한적으로 반영됐다. 이자이익은 1분기 1조3000억원에 이어 2분기와 3분기 각각 1조4000억원 규모다. 일반자금대출 신규취급 가중평균 금리는 3월 10.8%에서 6월 10.1%에 이어 9월 9.2%로 하락했다. 3분기 총자산은 124조9000억원으로 전 분기 대비 6조1000억원 증가했다. 여신은 93조4000억원으로 전 분기 대비 1조5000억원 줄었다. 경기회복 지연에 따른 대출 취급 감소와 매·상각 등 영향이다. 수신은 1...
기사 본문
저축은행 3분기 실적 3분기 연체율 6%대 진입 5.5조 부실채권 매각효과 부실채권 정리에 연체율 개선된 저축은행...‘서민 급전대출’ 위축은 숙제. 사진=연합뉴스 프로젝트파이낸싱(PF)발 부실 논란이 끊이지 않았던 저축은행 업권의 연체율이 6%대로 진입하고, 3개 분기 연속 순이익을 기록하면서 턴어라운드(실적 개선)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다만 정부의 가계대출 관리 기조에 ‘서민 급전 창구’ 중금리대출이 위축되고 있다는 점은 숙제다. 13일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올 3분기 국내 저축은행 79곳의 당기순이익은 1651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258억원) 대비 6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올 1~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 규모는 4221억원이다. 순손실(-338억원)을 기록했던 지난해 4분기 이후 3개 분기 연속 흑자 행진이다. 선제적 대손충당금 적립으로 인해 신규 충당금 전입규모가 줄어든 점이 호실적의 배경이다. 저축은행 업권의 대손충당금전입액은 지난 1분기 9000억원에서...
기사 본문
저축은행업권이 부실채권 정리와 대손충당금 감소 등 영향에 3분기에도 흑자 행진을 이어갔다. 적극적인 부실채권 관리로 연체율은 금융당국 목표치(5~6%)인 6%대에 진입했다. 13일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전국 79개 저축은행의 올해 3분기 누적 순이익은 4221억원으로, 3개 분기 연속 흑자를 달성했다. 3분기 기준 순이익은 1651억원으로 집계됐다. 3분기에도 대손충당금 전입 규모 감소 등에 따라 이익이 발생했다. 다중채무자 충당금 추가 적립에도 부실채권 정리, 선제적 충당금 적립 영향으로 전입액이 줄어들었다. 다만 수신 증가, 여신 감소를 비롯해 신규 대출 취급 금리 하락 등으로 이자 이익 개선 효과는 제한적이다. 9월 말 기준 저축은행 총여신은 93조4000억원으로 매·상각 및 경기회복 지연 등에 따른 대출 취급 감소로 전 분기 대비 1조5000억원 감소했다. 수신은 4분기 수신 만기에 대비한 사전 예금 유치 등 영향으로 전 분기 대비 5조5000억원 늘어났다. 총자산은 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