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달 만에 1000만 명 몰렸다… 디지털온누리 앱에 무슨 일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디지털온누리 앱 누적 가입자 1230만 돌파 '상생페이백' 효과 뚜렷…접수 이후 1000만 가까이 증가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사용 확대 등 기대 '디지털온누리' 애플리케이션 사용자가 크게 늘었다. 지난달 전체 국내 서비스 앱 중 가장 사용자가 많이 증가한 앱으로 조사됐다. 누적 가입자는 한 달 만에 1000만 명 가까이 증가했다. '상생페이백' 효과다. 1000만 이상의 사용자 기반을 구축한 만큼 디지털온누리 상품권 사용 확대, 향후 소상공인 디지털 전환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17일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디지털온누리 앱 가입자는 지난 15일 기준 1230만 명으로 집계됐다. 상생페이백 접수를 시작한 지난달 15일 이후 신규 가입자가 950만 명 몰린 데 따른 것이다. 상생페이백은 만 19세 이상 국민을 대상으로 9월부터 11월까지 월별 카드 소비액이 작년 월평균 소비액보다 늘면 증가분의 20%, 월 최대 10만 원을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해 주는 사업이다....
기사 본문
9월 상생페이백 대상자 415만명에게 2414억원이 지급됐다. 사진은 상생페이백 포스터. /사진=상생페이백 홈페이지 캡처 상생페이백 접수 한 달간 총 1058만명이 신청했으며 대상자 415만명에게 2414억원이 지급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 16일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지난 9월15일부터 10월14일까지 1057만9937명이 상생페이백을 신청했다. 이중 요건을 갖춘 415만명(41%)에게 9월 페이백으로 총 2414억원이 지급됐다. 1인당 평균 지급액은 약 5만8155원이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수도권(서울·경기·인천) 신청 비중이 54%(570만명)로 나타났으며 수도권 외 지역에서는 부산(6.4%), 경남(6.0%) 순으로 신청이 많았다. 상생페이백은 만 19세 이상 국민을 대상으로 9월부터 11월까지 월별 카드소비액이 지난해 월평균 카드소비액보다 늘면 증가분의 20%(월 최대 10만원)를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해 주는 사업이다.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은 전국 전통시장, 상점가 ...
기사 본문
9월에 2414억 지급…고령층 참여 저조 상생페이백 접수 한달간 416만명에게 2414억원이 지급된 것으로 집계됐다. 상대적으로 고령층 참여가 저조해 디지털 장벽 해소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지난 14일 오후 서울시 서대문구 인왕시장 한 채소 매장 TV에 지역 상권 활성화와 소비쿠폰을 주제로 한 ‘디지털 토크 라이브’ 생중계가 틀어져 있다. 뉴스1 16일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지난 9월15일부터 10월14일까지 1012만명이 상생페이백을 신청했다. 이중 요건을 갖춘 415만명(42%)에게 9월 페이백으로 총 2414억원이 전날 지급됐다. 1인당 평균 지급액은 약 5만8155원이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수도권(서울·경기·인천) 신청 비중이 54%(570만명)로 나타났다. 이어 부산(6.4%), 경남(6.0%) 순으로 신청이 많았다. 상생페이백은 만 19살 이상 국민을 대상으로 9월부터 11월까지 월별 카드소비액이 지난해 월평균 카드소비액보다 늘면 증가분의 20%(월 최대 1...
기사 본문
415만명에 2414억 환급 '1인당 평균 5만8000원' 지난해 보다 카드를 더쓰면 증가분의 일부를 돌려주는 상생페이백 제도에 접수한달 동안 총 1천 57만 9937명이 신청하고, 9월 페이백 지급 대상자 415만명에게 1인당 평균 5만 8천원이 환급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상생페이백 접수 한 달간 총 1천 58만명이 신청하고, 9월 페이백으로 총 2천 414억원을 지급했다고 오늘(16일)밝혔습니다. 상생페이백은 만 19세 이상 국민을 대상으로 9월부터 11월까지 월별 카드소비액이 작년 월 평균 소비액보다 늘면 증가분의 20%(월 최대 10만원)를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해 주는 사업입니다. 접수 한 달(9.15~10.14) 동안 약 1천 58만명 신청했는데, 지역별로는 수도권(서울·경기·인천) 신청 비중이 54%(570만), 수도권 외 지역에서는 부산(6.4%), 경남(6.0%) 순으로 신청이 많았습니다. 연령별로는 30대가 25.4%, 40대 24.8%,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