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62% "자사주 소각 의무 반대…경영 유연성 악화"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대한상의, 기업의견 조사 결과 "주가 부양에 악영향 있을 것" "소각 대신 처분 공정화 바람작" [서울=뉴시스]이인준 기자 = 경제계가 정부의 상법 개정안에 포함된 '자기주식 소각 의무화' 조항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기업들은 주주가치 제고라는 정책 취지에는 공감하지만, 의무적 소각이 오히려 경영 유연성을 떨어뜨리고 주가 안정 효과를 약화시킬 수 있다고 지적한다. 자사주 보유 기업 62.5%, '소각 의무화' 반대 12일 대한상공회의소의 '자기주식 소각 의무화 관련 기업의견 조사'에 따르면 자기주식을 10% 이상 보유한 104개 상장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응답기업의 62.5%가 소각 의무화에 반대했다. 이어 '중립적 입장’은 22.8%, '도입에 찬성'한다는 14.7%에 그쳤다. 또 현재 발의된 개정안들은 향후 취득하는 자기주식뿐 아니라 이미 보유 중인 자기주식에 대해서도 일정 기간 내 소각 의무를 부과하고 있는데, 응답기업의 67.6%는 기존 보유한 자기주...
기사 본문
[앵커] 더불어민주당이 늦어도 다음 주 자사주 소각을 의무화하는 3차 상법 개정안을 발의할 예정입니다. 쟁점이었던 기존 자사주 역시 원칙적으로 1년 이내 소각하는 내용이 담기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정보윤 기자, 3차 상법 개정에서 가장 문제가 됐던 기존 자사주를 어떻게 할 거냐였는데 정리가 됐군요? [기자] 더불어민주당 코스피 5000 특별위원회는 늦어도 다음 주 특위 차원의 3차 상법 개정안을 발의할 예정입니다. 쟁점이었던 기존 자사주는 원칙적으로 1년 이내 소각을 의무화하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다만 신규 자사주처럼 스톡옵션 등 예외가 되는 경우는 주주총회 결의를 통해 결정하도록 했는데요. 민주당 코스피 5000 특위 핵심 관계자는 "기존 자사주는 스톡옵션을 위해 갖고 있는 건지 우리 사주로 갖고 있는 건지 정해져 있지 않아 문제"라며 "주총 결의를 통해서 (기존 자사주의 목적을) 정하고 그 목적대로 쓰도록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동안 기업들은 자...
기사 본문
대한상의, 104곳 조사 83% “자사주 취득 않거나 축소” 전문가 “주가부양효과 상실 위험” 기업의 자기주식(자사주) 소각을 의무화하는 내용의 3차 상법 개정안이 논의되고 있는 가운데 자사주 보유 기업 10곳 중 6곳이 법 개정에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가 12일 공개한 ‘자기주식 소각 의무화 관련 기업 의견 조사’(지난달 15∼31일) 결과에 따르면 자사주를 10% 이상 보유한 104개 상장사의 62.5%가 ‘소각 의무화에 반대한다’고 답했다. ‘중립적 입장’은 22.8%, ‘찬성한다’는 14.7%였다. 반대 이유로는 ‘사업 재편 등 다양한 경영전략에 따른 자기주식 활용 불가’(29.8%)를 가장 많이 꼽았고 ‘경영권 방어 약화’(27.4%), ‘자기주식 취득 요인 감소해 주가부양 악영향’(15.9%), ‘외국 입법례에 비해 경영환경 불리’(12.0%) 등의 순이었다. 자사주는 인수합병 대가 지급 등 기업의 경영활동 수단으로 활용될 때가 많은데 소각 의무화 시 주...
기사 본문
대한상의 설문조사…경영전략에 활용 불가·경영권 방어 약화 우려 '자사주 소각 의무화' 대신 '신규취득 자기주식 처분 공정화'로 자기주식 소각 의무화 도입에 대한 평가 (자료제공 = 대한상공회의소) (서울=뉴스1) 박기호 기자 = 우리나라 기업의 10곳 중 6곳은 3차 상법 개정안의 골자인 '자사주 소각 의무화'에 반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사주 소각을 의무화하게 될 경우 80% 이상의 기업이 자사주 취득을 하지 않거나 축소한다는 입장이다. 대한상공회의소는 12일 자기주식을 10% 이상 보유한 104개 상장사를 대상으로 '자기주식 소각 의무화 관련 기업 의견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 기업의 62.5%가 소각 의무화에 반대했다고 밝혔다. '중립적 입장'은 22.8%, '도입에 찬성한다'는 14.7%에 그쳤다. 여권에서는 자사주 소각 의무화를 담은 3차 상법 개정안이 논의되고 있고 더불어민주당은 당내 코스피5000특별위원회 차원에서 입법 작업을 추진 중이다. 현재 여권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