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총재 “최근 환율 상승 해외투자 때문…과도하면 개입 의향”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이창용 총재 블룸버그 인터뷰 외환시장 구두개입 성 발언 12일 장중 원/달러 1470원 터치 사진은 한국은행 별관에서 한국은행과 금융연구원이 공동 주최한 ‘단기금융시장 발전과 코파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제’ 콘퍼런스에 개회사를 하고 있는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연합] [헤럴드경제=홍태화 기자]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12일 최근 환율 상승의 요인 대부분이 해외투자라고 분석하고 과도한 변동성이 발생하면 개입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핀테크 행사 참석을 위해 싱가포르를 방문 중인 이 총재는 이날 블룸버그 인터뷰에서 “최근 환율 움직임은 대부분 국내 거주자의 해외 투자에 좌우됐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시장이 불확실성에 과도하게 민감하게 반응한다고 생각한다”며 “우리는 변동성을 주시하고 있으며, (환율이) 과도하게 움직일 때는 ‘개입’할 의향이 있다”고 덧붙였다. 여기서 말하는 개입은 외환당국의 달러 매도 개입을 뜻한다. 사실상 이 총재가 이날 외환시장 구두개입성 발언을 한 것이다. 이날...
기사 본문
원화 약세, 불확실성 요인 많아 '안개 걷히길 기다려야' 거주자 해외투자 흐름 영향·외화 부채 수준 안정적…우려 크지 않아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하반기 국내총생산(GDP) 개선 움직임에도 완화적 통화정책 기조를 유지하는 건 여전히 잠재성장률을 밑도는 경기를 고려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다만 이달 27일 발표할 수정 경제전망에서 올해와 내년 경제성장률 상향 조정 가능성이 있어, 관련 데이터를 확인한 후 금리 인하의 폭과 시기, 방향성 등을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지난달 23일 서울 중구 한은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통화정책방향 결정 회의 후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연합뉴스 잠재성장률 밑도는 GDP…금리 인하 사이클 유지 이 총재는 12일 핀테크 행사 참석차 방문한 싱가포르에서 가진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3분기 예상보다 높은 GDP와 수출 호조 등에도 왜 여전히 인하 가능성이 남아있냐는 질문에 여전히 잠재성장률(1.8...
기사 본문
"인하 사이클 유지가 공식 입장"…블룸버그 인터뷰 "한국 증시 PBR 1.1, 다른 나라보다 훨씬 낮아" 이창용 한은 총재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한지훈 기자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12일 "우리의 공식 입장은 통화완화 사이클을 유지하리라는 것"이라고 밝혔다. 핀테크 행사 참석을 위해 싱가포르를 방문 중인 이 총재는 이날 블룸버그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히고 "그러나 금리 인하의 규모와 시기, 심지어 방향 전환 여부까지 우리가 보게 될 새로운 데이터에 달려있게 될 것"이라고 부연했다. 이 총재는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과 관련, "올해 성장률을 0.9%로 전망했는데, 이는 잠재성장률보다 훨씬 낮다"며 "우리의 잠재성장률은 아마도 1.8∼2.0%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내년 성장률은 1.6%로 전망했다"며 "우리는 2주 후에 새로운 전망을 발표하는데, (전망치의) 상향 조정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했다. 올해 성장률 전망치가 잠재성장률보다 크게 낮은 수준이어서 금리...
기사 본문
블룸버그 인터뷰 "인하 사이클 유지 공식 입장…데이터에 달라질 것" 매파적 발언에 국고채 금리 3.3%대로 오르기도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금리 결정에 대한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10.23/뉴스1 ⓒ News1 사진공동취재단 (세종=뉴스1) 이강 기자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통화정책 전환 여부를 '새로운 데이터'에 달려 있다고 언급하며, 향후 금리 인하 사이클이 경제지표 흐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했다. 핀테크 행사 참석을 위해 싱가포르를 방문 중인 이 총재는 12일 블룸버그와 인터뷰에서 "우리의 공식 입장은 통화완화 사이클을 유지하는 것"이라면서도 "금리 인하의 규모와 시기, 혹은 방향 전환 여부는 우리가 보게 될 새로운 데이터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이 총재의 발언은 '매파적'(통화긴축 선호) 신호로 해석되며, 국고채 10년물 금리가 3.300%까지 올라, 지난해 7월 이후 처음 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