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오롱인더, 3분기 영업익 269억…전년비 12.8% 감소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매출 1조 1806억…전년비 3.2% 증가 63분기 연속 흑자…화학 수익성 개선 [이데일리 김은경 기자] 코오롱인더(120110)스트리는 3분기 연결기준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1조1806억원과 269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12일 공시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2% 증가했으나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12.8% 감소했다. 자동차 소재부품 사업의 매출 증가와 페놀수지 및 인공지능(AI) 반도체용 소재 판매 확대가 매출 확대를 견인했다. 영업이익은 화학 부문의 견조한 수익에도 패션 비수기 및 기타 부문 실적 하락 등에 의해 소폭 영향을 받았다. 산업자재부문은 자동차 소재부품 사업의 성장 및 자회사의 호실적으로 안정적인 매출을 달성했다. 아라미드 사업은 적극적인 물량 확보를 통한 가동률 향상으로 적자폭을 줄여가고 있으며 타이어코드 사업도 지속적으로 판매를 확대하고 있다. 화학부문은 조선 경기 호조에 따른 페놀수지 수요 확대와 신규 5세대(5G) 통신소재 판매로 전년 동기 및 전분기 ...
기사 본문
‘63분기 연속’ 흑자…화학 수익 개선 아라미드 적자 축소…내년 흑자 전망 내년 설비투자 1000억…中사업 확대 [이데일리 김은경 기자] 코오롱인더스트리가 올해 3분기 인공지능(AI) 반도체용 소재와 자동차 부품 수요 확대에 힘입어 흑자 기조를 유지했다. 주요 사업인 아라미드 부문은 가동률 개선과 신규 고객 확보로 적자 폭을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회사는 광케이블 등 통신용 수요 회복세에 따라 내년에는 본격적인 수익성 회복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서울 마곡산업단지 ‘코오롱원앤온리(One&Only) 타워’.(사진=코오롱인더스트리) 코오롱인더(120110)스트리는 3분기 연결기준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1조1806억원과 269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12일 공시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2% 증가했으나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12.8% 감소했다. 사업별로 살펴보면 산업자재부문은 매출 5933억원, 영업이익 22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6.1% 증가, 24.7% 감소...
기사 본문
3Q, 매출 늘었지만 영업이익 12.7%감소…269억원 산업자재·패션 부진 결정타…실속 챙긴 '화학' 부문 코오롱인더스트리가 올해 3분기 '덩치'는 유지했지만 '알맹이'는 작아졌다. 매출은 증가세를 이어갔지만 수익성이 쪼그라 들면서다. 올해 3분기 수익성 악화는 핵심 사업 영역인 산업자재 부문과 패션 부문에서 부진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다만 63개 분기 연속 흑자 기록은 이어갔다. 코오롱인더스트리는 전사적인 비용절감 등 운영효율화를 바탕으로 수익성을 개선 방안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12일 코오롱인더스트리는 올해 3분기 연결기준 매출 1조1806억원, 영업이익 269억원으로 집계됐다고 공시했다.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3.2%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12.7% 감소했다. 올해 3분기 코오롱인더스트리의 수익성 악화는 핵심 사업 영역인 산업자재 부문과 패션 부문 등에서 나타났다. 먼저 산업자재 부문의 올해 3분기 매출은 5933억원으로 지난해 3분기 5594억원과 비교하면 6...
기사 본문
매출 1.2조 전년 대비 3.2% 늘어 자동차 소재 부품 및 AI 소재 판매 확대 매출 견인 코오롱인더스트리는 올해 3분기에 연결 기준으로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1조 1806억원과 269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12일 공시했다. 서울 마곡 코오롱 원앤온리타워 전경. [사진=코오롱인더스트리]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2%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12.8% 줄었다. 코오롱인더스트리 관계자는 "자동차 소재부품 사업의 매출 증가와 페놀수지 및 AI 반도체용 소재 판매 확대가 매출 확대를 견인했다"면서 "영업이익은 화학 부문의 견조한 수익에도 패션 비수기 및 기타 부문 실적 하락 등에 의해 소폭 영향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산업자재부문은 자동차 소재부품 사업의 성장 및 자회사의 호실적으로 안정적인 매출을 달성했다. 또한 아라미드 사업은 적극적인 물량 확보를 통한 가동률 향상으로 적자폭을 줄여가고 있으며 타이어코드 사업도 지속적으로 판매를 확대하고 있다. 화학부문은 조선 경기 호조에 따른 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