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공사, 3분기 영업이익 전년比 11.5% 감소…부채 비율은 개선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영업이익, LNG 가격 하락에 감소 3분기 민수용 미수금은 증가 한국가스공사는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11.5% 감소한 3890억원을 기록했다고 12일 발표했다. 3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21.4% 감소한 6조3722억원, 당기순이익은 44.1% 감소한 868억원을 기록했다. 한국가스공사 전경. / 한국가스공사 제공 올해 1~3분기 누적 매출액은 26조7350억원, 누적 영업이익은 1조6276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각각 5.9%, 10.9% 줄었다. 판매 물량은 전년 동기 수준을 유지했으나, 국제 유가 하락 영향으로 판매 단가가 약 6% 떨어진 여파다. 다만 유가 하락으로 호주 그래드스톤Gladstone LNG(GLNG) 실적이 큰 폭으로 감소했음에도 모잠비크 코랄 사우스(Coral South) FLNG 등 사업이 호조를 보이면서 주요 해외 사업장의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와 유사한 수준을 보였다. 올해 3분기 민수용 미수금은 14조1827억원으로 지난해 말 대비...
기사 본문
3분기 매출 8조1093억 전년대비 21.4% 감소 14조원대 미수금·375% 수준 부채비율 유지 [세종=뉴시스]가스공사 전경이다.(사진=한국가스공사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세종=뉴시스]김동현 기자 = 한국가스공사는 3분기 연결기준 실적으로 매출액 6조3721억원, 영업이익 3889억원을 기록했다고 12일 공시했다.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전년동기대비 21.4%, 11.5% 감소했다. 당기순이익은 8510억원으로 전년대비 44.1% 줄었다. 3분기 누적 매출액은 26조7350억원, 영업이익은 1조6276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5.89% 10.91% 감소했다. 당기순이익은 5391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33.88%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별도기준 3분기 실적은 매출액 5조9734억원, 영업이익 2949억원을 기록했다.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21.9%, 13.5%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당기순이익은 677억원으로 전년대비 73.13% 감소했다. 가스공사는...
기사 본문
3분기 영업익 3890억…11.5% 감소 유가하락 속 가스 판매단가도 내려 상반기 줄었던 부채도 도로 늘어나 14조 쌓인 가스 미수금 해소도 요원 [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한국가스공사(036460)가 국제유가 하락에 따른 국내 천연가스 공급단가 하락 속 매출과 영업이익이 동반 하락했다. 올 상반기 크게 줄었던 부채도 3분기 들어 소폭 늘어나면서 재무 부담도 커졌다. 한국가스공사 대구 본사. (사진=가스공사) 가스공사는 올 3분기 매출액이 6조 3722억원으로 전년대비 21.4% 감소했다고 12일 밝혔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 역시 3890억원으로 전년대비 11.5% 줄었다. 국제유가 하락은 국내외 관계사 투자지분이익 감소로 이어져 영업 외 손익을 포함한 당기순이익(868억원)도 전년대비 44.1% 감소했다. 1~3분기 누적 실적도 전년대비 감소 폭이 커졌다. 매출액(26조 7350억원)과 영업이익(1조 6276억원)이 전년대비 각각 5.9%, 10.9% 감소했다. 당기순이익(5391억...
기사 본문
미수금 14조 2599억 원, 2분기 연속 감소에서 증가 전환 한국가스공사 전경(가스공사 제공) (세종=뉴스1) 김승준 나혜윤 기자 = 3분기 한국가스공사의 영업이익이 도매 공급비용 축소, 취약계층 요금 지원금 확대, 일부 해외 사업 부진 등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4000억 원 가까이 감소했다. 미수금은 소폭 증가했지만, 부채비율은 낮아지며 재무 구조는 개선됐다. 한국가스공사(036460)는 12일 공시를 통해 올해 3분기 매출이 6조 3722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1.4% 감소했다고 밝혔다. 영업이익은 3890억 원으로 전년보다 11.5% 줄었다 매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판매물량은 전년 동기와 유사한 수준이다. 도시가스용은 51만 8000톤이 늘었고 발전용은 51만 5000톤 감소했다. 판매단가는 유가 하락 등의 영향으로 메가줄(MJ)당 1.19원 하락했다. 영업 이익은 이자율 하락에 따른 도매 공급비용 투자보수 감소(519억 원), 취약계층에 대한 요금 지원금 증가(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