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미 재무부 ESF’로 달러조달 유력… 관세교착 50일만에 돌파구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 새 방식 통화스와프 추진 양국, 자금 규모·방식 세부 협의 미, 아르헨과는 200억달러 체결 김용범·김정관 오늘 미국으로 출국 대미투자 MOU 최종문구 조율 개선문 모형 든 트럼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5일 백악관에서 열린 연회장 신축 기부자 만찬에 참석해 설립을 검토 중인 개선문 모형을 들고 연설하고 있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이 대미 투자금 3500억 달러를 선불 지급하기로 했다고 거듭 주장했다. AP 연합뉴스 한·미가 3500억 달러라는 천문학적 규모의 대미 투자 펀드를 실행하면서도 한국 외환 시장에 가해질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한국이 보유한 달러가 아닌 ‘원화’를 기반으로 한 투자 실행 방안을 논의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양국이 줄다리기를 벌이던 투자 펀드 실행과 무제한 통화스와프 체결 간의 이견이 좁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 같은 방식이 표면화되면서 교착 상태에 빠졌던 양국 관세 협상 후속 협의도 타결에 임박하고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기사 본문
양국 중앙은행 간의 협약 아닌 美 재무부의 기금 활용해 체결 아르헨티나에 적용했던 방식 美로 출국 김용범 “협상 긍정적” 베선트 “향후 10일내로 예상해” APEC 정상회의 전 타결 관측 韓·美 관세협상 급물살 김용범(왼쪽 사진 오른쪽) 대통령실 정책실장이 16일 오전 인천국제공항에서 방미에 앞서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과 함께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오른쪽 사진은 한·미 관세협상에 관여하고 있는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이 15일 워싱턴 DC에서 열린 기자회견에 참석하고 있는 모습. 문호남 기자, AFP 연합뉴스 3500억 달러(약 497조 원)에 달하는 대미 투자 펀드 실행과 관련해 한국 측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와 ‘아르헨티나 방식’ 통화 스와프를 체결하는 구상을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측도 한국과의 협상이 조만간 체결될 것이란 입장을 시사한 가운데 한·미 관세 협상 후속 협의를 위한 정부 최고위 인사들이 미국으로 출발했다. 16일 정부 관계자 등에 따르면...
기사 본문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오른쪽)과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이 16일 인천공항에서 미국으로 출국하며 취재진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김경록 기자 한국이 미국에 약속한 3500억 달러(약 500조원)의 투자 방식을 놓고 이견을 보였던 한·미 양국이 관세 협상의 접점을 찾아가고 있다. 스콧 베센트 미 재무장관은 15일(현지시간) 기자간담회에서 한국 기자의 질문에 “이견은 해소될 수 있다고 확신한다”며 “향후 10일 내로 무엇인가(협상 결과물)를 예상한다”고 밝혔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도 같은 날 “아마 한국의 제안을 받아들일 것 같다”고 설명했다. 한국 협상단이 16일 오후 미국 백악관 관리예산국(OMB)을 직접 방문하기로 한 것도 타결이 임박했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OMB는 미 연방정부의 예산을 관리하고 행정부 정책 집행을 감독하는 기관으로, 대통령의 국정 운영과 정책 실현을 재정적으로 지원하는 핵심 조직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15일에도 “한국이 대미 투자금을 ...
기사 본문
4인 고위 협상단 일제히 워싱턴DC 行…APEC 맞춰 협상 타결 의지 3500억달러 직접투자 교착국면 해소 절충안 부상…OMB서 담판 촉각 김용범(오른쪽) 대통령실 정책실장과 김정관 산업부 장관이 미국과의 관세협상 후속 논의를 위해 16일 오전 인천 국제공항 제2터미널을 통해 미국으로 출국 전 취재진과 인터뷰를 갖고 있다. 2025.10.16/뉴스1 ⓒ News1 이호윤 기자 (세종=뉴스1) 이정현 이강 기자 = 미국과의 관세 협상 타결을 위한 총력전이 시작됐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 여한구 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 등 경제·통상수장 4명이 일제히 미국으로 향했다. 3500억 달러 규모의 대(對)미 투자패키지 운영 방식 등을 놓고 교착 상태에 빠졌던 후속 협의도 급물살을 타는 분위기다. 이들 경제·통상수장들이 동시에 워싱턴D.C로 향한 가운데, '원화 기반 통화스와프 체결'과 '분산투자' 방식 등이 관세 협상을 매듭지을 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