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명 중 4명 "외롭다"‥소득 낮을수록 외출도 적어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우리나라 13세 이상 국민 10명 중 4명이 평소 외롭다고 느끼고,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더 외로움을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가데이터처가 오늘 발표한 2025년 사회조사 결과를 보면 만 13세 이상 38.2%가 평소 외롭다고 답했습니다. 세부적으로는 4.7%가 자주 외로움을 느낀다고 답했고, 33.5%는 가끔 느낀다고 했습니다. 연령대별로는 60세 이상이 42.2%, 50대 41.7%, 40대 38.8% 순이었고, 특히 80세 이상은 절반이 넘는 52.1%가 외롭다고 답했습니다. 몸이 아파 집안일을 부탁해야 할 경우의 75.1%, 우울해서 이야기 상대가 필요한 경우의 78.8%는 도움받을 사람이 있다고 답했고, 평소 대면이나 인터넷 등의 방식으로 가족 또는 친척 이외 타인과 교류한다고 답한 비중은 77.4%였습니다. 하지만 특정 상황에서 도움받을 수 있는 사람도, 평소 교류하는 사람도 없으면서 외롭다고 응답한 사람도 3.3%로 집계됐습니다. 국내 만 13세 이상 인구가 4...
기사 본문
취업자 절반, 실직·이직 불안…"사회적 관계망도 없고 외로움 인구 150만명" 여행과 문화·스포츠 활동 회복…해외여행 비중 역대 최대 출근하는 시민들 (서울=연합뉴스) = 3일 오전 서울 시내 거리에서 시민들이 발걸음을 재촉하고 있다. 2025.11.3 [연합뉴스 자료사진] (세종=연합뉴스) 송정은 기자 = 국민 10명 중 4명꼴로 평소에 외롭다고 느꼈고, 특히 고령층일수록 외로움을 느끼는 비중이 높아졌다. 150만명은 사회적 관계망도 없고 외로운 상태로 추산됐다. 사회 신뢰도가 2년 전에 비해 떨어지며 관련 조사 이래 처음 감소했다. 코로나19 엔데믹 이후 여행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며 해외여행 비중은 역대 최대치를 나타냈다. 국가데이터처는 11일 이런 내용의 '2025년 사회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사회조사는 10개 부문을 2년 주기로 매년 5개 부문씩 조사하며 올해는 복지·사회참여·여가·소득과 소비·노동 부문이 포함됐다. 조사 기간은 올해 5월 14∼29일이다. 외로움 (PG) ...
기사 본문
국민 10명 중 4명은 평소 외로움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주변에 도움받을 수 있거나 교류하는 사람이 없으면서 외로움을 느끼는 사람은 3.3%에 달했습니다. 사회적 도움이 필요한 고립 계층이 국민 100명 중 3명 이상 된다는 의미입니다. 외출을 거의 안 한다고 답해 이른바 '은둔형 외톨이'로 볼 수 있는 비중도 1%였습니다. 국가데이터처는 오늘(11일) 이런 내용이 담긴 '2025년 사회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사회조사는 10개 부문을 2년 주기로 매년 5개 부문에 대해 조사하는데, 올해(홀수 해)엔 기본, 복지, 사회참여, 여가, 소득과 소비, 노동 부문을 조사했습니다. 지난 5월 14일부터 16일간 전국 약 1만 9,000개 표본 가구 내 상주하는 만 13세 이상 가구원 3만 4,000여 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내용을 집계했습니다. ■ "집안일 부탁할 사람 있다" 75%…이야기 상대는 줄어 19세 이상 인구 중 '몸이 아파 집안일을 부탁해야 할 경우, 도움받을 수 있는...
기사 본문
데이터처, 올해 사회조사 결과 발표 20·30대 사회 신뢰도 비교적 낮아 60세 이상 노인 10명 중 4명은 평소 외로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주일에 하루 미만으로 외출하거나 집 밖을 거의 나가지 않는 60세 이상 비중은 6.4%로 다른 연령대보다 높았다. 나이 들수록 외로움 느낀다…65세 이상은 43.4% 국가데이터처가 11일 발표한 '2025년 사회조사 결과(복지·사회 참여·여가·소득과 소비·노동)'를 보면 사회참여 부문에서 올해 신규로 포함한 '외로움' 항목 조사 결과, 평소 외롭다고 답한 이들이 38.2%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주' 외롭다고 응답한 비중은 4.7%였다. 이번 조사는 전국 표본 가구 내 상주하는 만 13세 이상 가구원 3만4000여명을 대상으로 조사해 나온 결과다. 연령 별로 보면 나이가 많을수록 외로움을 더 많이 느꼈다. 13~19세(30.3%)와 20~29세(32.2%), 30~39세(33.8%), 40~49세(38.8%) 등 직장 및 학교 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