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구글 고정밀 지도 반출 요청에 '심의 보류'

2025년 11월 12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68개
수집 시간: 2025-11-12 06:18:26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전주MBC 2025-11-11 16:00:10 oid: 659, aid: 0000038478
기사 본문

[MBC자료사진] 구글의 고정밀 지도 국외 반출 요청에 대해 정부가 결정을 보류하기로 했습니다. 국토교통부는 오늘(11일) 경기도 수원시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측량 성과 국외 반출 협의체’ 회의를 열고 이같이 밝혔습니다. 협의체는 구글에 내년 2월 5일까지 보완 신청서 제출을 요구하도록 의결하고, 보완 신청서 제출기간에는 심의를 보류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지난 9월 구글은 안보시설 가림 처리와 좌표 노출 금지 조건을 수용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지만 이를 반영한 보완 서류를 제출하지 않았습니다. 정부는 구글이 보완 신청서를 제출하면 다시 협의체를 열어 반출 여부를 최종 결정할 방침입니다. 앞서 구글은 지난 2월 처음으로 1대 5000 축적 지도의 반출을 요청했으나 정부는 지난 5월과 8월에 이어 이번까지 세 차례 결정을 연기했습니다. 구글이 요청한 1대 5000 축적 지도는 실제 거리 50m를 지도상 1cm로 줄여 표현한 지도입니다. 정부는 안보시설 가림 처리와 좌표 노출 금지, 국내 데이터...

전체 기사 읽기

서울경제 2025-11-11 17:26:19 oid: 011, aid: 0004554604
기사 본문

■정부, 구글에 지도 반출 결정 ‘유보’ ‘입장 변경’ 문서로 제출하라···구글에 서류 보완 지시 이면엔 허용시 “애플·바이두도 달라할 것” 우려 반출시 국내 ‘로컬 AI에이전트’ 서비스 빅뱅 불가피 ‘한미 관세 협상 안 끝났다’···불허 결정도 부담 2월 5일 재연기 가능성도 남아 크리스 터너 구글 대외협력 정책 지식 및 정보 부문 부사장이 올 9월 8일 서울 강남구 구글 스타트업캠퍼스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국내 1대5000 고정밀 지도 반출 시 주요 국가보안시설의 좌표정보는 공개하지 않겠다고 발표하고 있다. 사진 제공=구글 코리아 [서울경제] 우리나라 고정밀 지도를 반출해서 쓸 수 있게 해 달라는 구글의 요청에 대해 정부가 다시 한 번 결정을 미뤘다. 구글 측의 서류 보완이 필요하다는 것이 정부의 공식 설명이다. 다만 업계는 지도 반출에 따른 안보 문제가 여전한 데다 미국과의 관세 협상이 아직 마무리되지 않아 정부가 신중한 행보를 보이는 것으로 보고 있다. 현시점 정부가 고정밀...

전체 기사 읽기

전자신문 2025-11-11 16:01:31 oid: 030, aid: 0003369071
기사 본문

정부가 구글의 고정밀지도(1대5000 국가기본도) 반출 신청을 즉각 불허하지 않고 '보류'로 결정한 배경엔 복합적인 계산이 깔려 있다. 형식은 '보완 요구'지만, 내용은 안보 원칙과 통상·외교 리스크 사이에서 절충점을 찾은 결과다. 국토교통부와 국토지리정보원은 11일 협의체를 열고 구글에 내년 2월 5일까지 보완 신청서를 제출하도록 했다. 구글이 9월 기자간담회에서 “정부 요구를 수용하겠다”고 밝혔지만, 실제 신청서에는 보안시설 가림 처리와 좌표 표시 제한의 구체적 기술 방안이 빠졌다. 정부는 “대외 의사표명과 신청서 간 불일치로 정확한 심의가 어렵다”며 보완을 요구했다. 일각에서는 정부가 절차상 불허 대신 기회를 준 것을 두고 “특정 기업에 특혜처럼 비칠 수 있다”는 시선도 나온다. 정부는 이를 의식한 듯 '기술적 보완'이라는 절차적 명분을 강조했다. 가장 큰 쟁점은 이번에도 국내 서버 설치였다. 정부는 △데이터 국내 저장 △보안시설 가림(Blur) 처리 △좌표정보 비공개 등 세 ...

전체 기사 읽기

매일경제 2025-11-11 14:44:10 oid: 009, aid: 0005588266
기사 본문

[뉴스1] 정부가 구글이 요청한 고정밀 지도의 해외 반출 여부 결정을 보류했다. 안건 심사 결과 서류 보완이 필요하다는 판단 아래 심의를 중단했다. 이에 따라 최종 결론도 내년으로 미뤄질 전망이다. 11일 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은 측량 성과의 국외 반출을 논의하는 협의체를 열고 안건을 심의한 결과 유보 결정을 내렸다. 그러면서 구글에 오는 2026년 2월 5일까지 영상 보안 처리 및 좌표 표시 제한 등의 내용을 담은 보완서를 제출하라고 의결했다. 협의체의 결정 유보는 이번이 세 번째다. 앞서 협의체는 지난 5월과 8월에도 구글의 고정밀 지도 해외 반출 요청 처리 기한을 연장한 바 있다. 협의체는 국토부, 국방부, 국정원, 외교부, 통일부, 과기정통부, 행정안전부, 산업통상부 등 8개 정부부처와 민간위원으로 구성돼 있다. 협의체는 “구글의 대외적 의사표명과 신청서류 간 불일치로 인해 정확한 심의가 어려워 해당 내용에 대한 명확한 확인 및 검토가 필요하다고 판단했다”라며 “신청서의 기...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