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年84만원 절약' 마이데이터, 사업자들은 많이 쓸수록 부담"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금융 마이데이터 고도화를 위한 과제' 세미나 마이데이터 활용해 연간 262억 이자 줄여 금소법 상 과금액 사업자가 전액 부담 "금융 상품 비교 추천 별도 법률 제정해야" [이데일리 김아름 기자] 금융 마이데이터를 활용한 사용자들이 대출 금리인하 등 금융비용 절감 효과를 보고 있지만 사업자들에게 여전히 부담이 지속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11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금융 마이데이터 고도화를 위한 과제’ 세미나 참석자들이 패널토론 하고 있다. (사진=카카오페이) 11일 카카오페이는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고려대 기술법정책센터 마이데이터 인공지능(AI) 포럼과 함께 ‘금융 마이데이터 고도화를 위한 과제’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날 카카오페이에 따르면 마이데이터를 활용한 ‘대출 갈아타기’ 서비스를 통해 최근 2년 반 동안 3만2000명의 사용자가 약 1조7000억원 규모의 대출을 대환했다. 평균 금리 인하 효과는 1.58%포인트로 연간 262억원의 이자 부담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
기사 본문
카카오페이, '금융 마이데이터 고도화' 세미나 개최 [서울=뉴시스] 카카오페이와 고려대학교 기술법정책센터가 11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개최한 '금융 마이데이터 고도화를 위한 과제' 세미나에서 진형구 카카오페이 컴플라이언스부문 부사장이 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카카오페이 제공) 2025.11.11.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권안나 기자 = 정부가 다양한 산업의 정보를 통합해 소비자에게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마이데이터 2.0'을 도입했지만, 기술 요건·규제 강화 대비 수익 구조가 불명확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과금 부담이 사용자 증가 속도의 배 이상으로 확대되면서 사업을 철수하는 사례도 다수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합리적인 과금 제도 도입과 법적 책임 소재 등에 대한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통해 사업의 유연성을 확보할 필요성이 제기됐다. 11일 카카오페이와 고려대학교 기술법정책센터는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개최한 '금융 마이데이터 고도화를 위한 과제...
기사 본문
대출 갈아타기 통해 1인당 이자 부담 84만원 줄여 고려대 세미나서 금융데이터 고도화 비전 제시 카카오페이 마이데이터 세미나 [촬영 오지은] (서울=연합뉴스) 오지은 기자 = 카카오페이가 마이데이터 사업으로 400만명의 신용점수를 21점 올리고 대출 갈아타기로 1인당 이자 비용 84만원을 경감했다고 밝혔다. 카카오페이는 11일 고려대와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금융 마이데이터의 고도화를 위한 과제 세미나'를 열었다. 이날 이재근 카카오페이 데이터전략비즈파티 파티장은 마이데이터를 활용한 카카오페이의 성과와 비전을 발표했다. 가입자 2천만명을 돌파한 카카오페이 마이데이터 사업은 신용점수 상승, 대출금리 인하, 절세 등 효과를 창출했다고 설명했다. 카카오페이에 따르면 마이데이터 사용자는 신용점수 올리기 서비스로 최근 2년 반 약 400만명의 사용자가 평균 신용점수 21점을 올렸다. 카카오페이는 기존 여신상환이력 중심에서 자산 거래, 입출금 현금흐름 데이터로 반영하는 대안신용평가로 전환했는...
기사 본문
11일 대한상공회에서 '금융 마이데이터 고도화를 위한 과제' 세미나가 열렸다. (왼쪽부터) 진형구 카카오페이 부사장, 정성구 세종 변호사, 김동환 금융위원회 국장, 이성엽 고려대 교수, 강현정 김앤장 변호사, 이재근 카카오페이 팀장 금융 마이데이터가 단순한 자산조회 서비스를 넘어 금융소비자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주고, 마이데이터와 인공지능(AI)이 결합하면서 서비스가 고도화되고 있다. 하지만 혁신을 뒷받침할 규제 개선이 시급하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11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금융 마이데이터 고도화를 위한 과제' 세미나에서 이재근 카카오페이 데이터전략비즈팀장과 강현정 김앤장 변호사는 마이데이터의 성과와 제도적 한계, 그리고 AI 결합을 위한 법적 개선방안을 제시했다. 카카오페이는 국내 최초로 마이데이터 가입자 2000만명을 넘어섰다. 결제·송금·투자 등 거래 데이터를 기반으로 대안신용평가, 대출비용 절감, 금융사기 방지, 소비관리 고도화 등 금융생활 전반에 혁신을 이끌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