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도 올해 성장률 0.8→0.9% 상향‥"소비로 경기 완만 개선"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 KDI는 소비가 개선되고 있다며 올해 우리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0.8%에서 0.9%로 상향 조정했습니다. KDI는 오늘 발표한 '2025 하반기 경제전망'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성장세가 확대돼 경기가 완만하게 개선되는 모습"이라며 올해 국내총생산, GDP 성장률을 지난 8월 수정 전망치보다 0.1%p 높은 0.9%로 제시했습니다. KDI 이번 수정 전망은 지난 8월 정부가 새 정부 경제성장전략에서 발표한 전망치나 한국은행의 8월 수정 경제 전망과 같은 수치입니다. KDI는 민간소비 증가율이 시장금리 하락세와 소비쿠폰 등의 영향으로 상반기 0.7%에서 하반기 1.8%로 크게 개선될 것으로 봤고, 연간으로는 1.3%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수출도 미국의 관세인상에도 반도체 경기 호조에 따라 상반기 1.7%, 하반기 4.1%로 개선되며 연간 2.9% 성장할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KDI는 내년 성장률도 1.8%로 상향 조정했습니다. 지난 8월 수정 전...
기사 본문
내년 1.8% 전망,0.2%p↑…"관세로 수출 둔화하지만 내수는 회복" "수출·환율 내년 위험요소…확장 재정에 재정적자 고착화 우려" 2025년 하반기 경제전망은 (세종=연합뉴스) 배재만 기자 = 김지연 한국개발연구원(KDI) 경제전망실 전망총괄(왼쪽)이 11일 정부세종청사 기재부 브리핑실에서 2025년 하반기 경제전망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오른쪽은 정규철 거시금융정책연구부장. 2025.11.11 scoop@yna.co.kr (세종=연합뉴스) 이대희 기자 = 국책연구 싱크탱크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0.8%에서 0.9%로 소폭 상향 조정했다. 소비가 개선되며 경기가 완만하게 개선되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내년에는 미국 관세 인상의 악영향으로 수출이 둔화하겠지만, 내수가 어느 정도 회복돼 1.8%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역시 기존 전망에서 0.2포인트(p) 높였다. KDI는 11일 이러한 내용을 담은 '2025 하반기 경제전망'을 발표했다. 올해...
기사 본문
반도체 활황·정부 확장재정에…올해는 0.1%p, 내년엔 0.2%p씩 지난 8월 전망보다 높여잡아 수출 둔화 우려되지만 내수 회복 전망…"정부 확장재정 기조, 재정수지 적자 너무 늘지 않도록 관리해야" 서울 동대문구 청량리종합시장. 류영주 기자 한때 '0% 성장절벽'까지 우려됐던 한국 경제가 내년에는 1.8% 성장하며 완만히 개선될 것이라는 국책연구기관의 진단이 나왔다. 한국개발연구원(KDI)는 11일 발표한 '2025년 하반기 KDI 경제전망'에서 내년 한국 경제에 대해 "수출이 둔화하겠으나, 내수가 회복세를 나타낼 것"이라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올해는 0.9%, 내년에는 1.8%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지난 8월 KDI가 올해 0.8%, 내년 1.6%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던 것보다 각각 0.1%p, 0.2%p씩 상향 조정한 결과다. 이처럼 상향조정한 배경에 대해 KDI 정규철 거시·금융정책연구부장은 "생각했던 것보다 반도체 경기가 훨씬 좋았던 것이 주된 상향...
기사 본문
소비-투자 증가 예상에 0.2%P 높여 “美관세 인상 부정적 영향 본격화 수출 증가폭 올해 4.1%보다 둔화 경기 회복땐 확장재정 정상화해야” 한국개발연구원(KDI)이 내년에 한국 경제가 1.8%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내수 회복세에 따라 전망치를 기존보다 0.2%포인트 높였다. 하지만 내년에 미국의 관세정책 여파가 본격화하면서 수출은 1.3% 늘어나는 데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수출 현장의 어려움을 몸소 겪고 있는 국내 기업들은 내년 수출 증가율이 1%에도 미치지 못할 것으로 예상했다. ● 미 관세 여파 본격화로 수출 둔화 11일 KDI가 발표한 ‘하반기(7∼12월) 경제전망’에 따르면 국내총생산(GDP)은 올해와 내년에 각각 전년 대비 0.9%, 1.8% 성장할 것으로 전망됐다. 앞서 8월 전망치보다 각각 0.1%포인트, 0.2%포인트 상향된 수치다. 정규철 KDI 거시·금융정책연구부장은 “올해 생각했던 것보다 반도체 경기가 훨씬 좋았는데 내년에 더 좋을 것으로 보이고, 내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