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성장률 2.1%…"생산적 투자 긴요"[KIF '26 전망]

2025년 11월 12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16개
수집 시간: 2025-11-12 02:46:00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아이뉴스24 2025-11-11 14:01:16 oid: 031, aid: 0000979864
기사 본문

자산시장 과열 땐 정부와 함께 속도조정 검토 필요 구조개혁 병행하면서 AI 확산·노동 공급 기반 강화 금융연구원이 완화적 금융 여건과 정부의 재정 확대에 힘입어 내년 우리 경제가 2.1%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은행과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지난 8월 제시한 내년 성장률 전망치인 1.6%보다 0.5%포인트(p) 올려잡았다. 금융연은 11일 '2026년 경제 및 금융 전망'을 통해 내년 경제는 민간 소비와 정부 소비가 동반 회복하는 가운데 건설투자가 기저효과로 소폭 반등하고 설비투자도 완만하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전반적으로 내수 회복 가능성은 높을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순 수출은 관세에 따른 글로벌 교역량 감소로 기여도가 하락할 것으로 봤다. 내년 경기 회복세를 안정적으로 이어가기 위해 금융정책은 완화적 금융 여건하에서 시중 유동성이 부동산 등 비생산적 부문으로 쏠리는 것을 막고, 실물 부문의 생산적 투자를 유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현태 거시경제연구실장은 "자본시장...

전체 기사 읽기

연합뉴스 2025-11-11 14:00:02 oid: 001, aid: 0015735622
기사 본문

美 관세에 총수출 증가율 0.8%로 둔화…"주식시장 변동성 주의" "금리 하락기 금융업 수익성 둔화…건전성 지표 악화 우려" 경제 성장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민선희 기자 = 한국금융연구원은 내년 한국 경제가 내수 회복세에 힘입어 2.1%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민간소비 증가율은 1.6%로 높아지지만 미국 관세 정책과 글로벌 교역 둔화 영향에 수출 증가율이 1% 아래로 떨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연구원은 11일 오후 서울 은행회관에서 열린 '2026년 경제 및 금융 전망 세미나'에서 한국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올해 1.0%에서 내년 2.1%로 높아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김현태 거시경제연구실장은 "민간소비와 정부소비가 동반 회복하는 가운데 건설투자가 기저효과로 소폭 반등하고 설비투자도 완만하게 증가하는 등 내수 회복이 예상된다"면서도 "순수출은 관세에 따른 글로벌 교역량 감소로 기여도가 하락할 전망"이라고 밝혔다. 민간소비 증가율은 올해 1.3%에서 내년...

전체 기사 읽기

이데일리 2025-11-11 18:02:07 oid: 018, aid: 0006161913
기사 본문

금융연구원·KDI, 내년 성장률 잇따라 상향 조정 확정재정에 민간·정부 소비 회복 건설 투자 '+' 전환…부진 완화 KDI "내년 성장률 1.6→1.8%" 美관세 인상 후폭풍 본격화 수칠 1% 안팎으로 둔화 전망 HBM 수요·소비회복 정도 '변수' [이데일리 김나경 기자 세종=강신우 기자] 한국금융연구원과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일제히 내년 경제성장률을 올해보다 상향 조정했다. 금융연구원은 연구기관 중 처음으로 2%대의 성장률 전망치를 제시했다. 견조한 내수 회복세와 예상보다 호황을 나타낸 반도체 경기 덕으로 내년까지 이 같은 흐름이 이어지리라 연구기관들은 예상했다. 글로벌 통상 불확실성과 수출 둔화에도 시장금리 하락과 ‘이재명노믹스’의 확장적 재정정책이 소비를 중심으로 한 내수 회복세를 뒷받침할 것으로 내다봤다. 올해 이재명 정부가 배포한 소비쿠폰과 내년에 예정된 소비부양책 효과로 내년 상반기까지 탄탄한 회복 흐름을 보이겠다고 관측했다. 다만 미국 관세 인상의 부정...

전체 기사 읽기

헤럴드경제 2025-11-11 15:14:18 oid: 016, aid: 0002556123
기사 본문

‘2026년 경제 및 금융 전망 세미나’ 민간·정부소비 동반 성장 속 건설투자 회복 반등 예상되나 강도·속도는 과거 대비 미진 “주식시장, 긍정적이나 변동성 확대 주의” “은행 건전성 악화 우려, 기업대출 경쟁 치열” 내년 우리 경제가 2.1% 성장할 것이라는 한국금융연구원의 관측이 나왔다. 완화적 금융여건과 정부의 재정확대 등을 바탕으로 내수가 점진적으로 회복될 것이라고 연구원은 봤다. 사진은 경기도 평택항 일대의 모습 [헤럴드DB] [헤럴드경제=김은희 기자] 내년 한국 경제가 내수 회복세에 힘입어 2%대 성장률을 기록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민간소비와 함께 장기간 위축됐던 건설투자도 완만히 회복될 것이라는 관측이다. 다만 미국 관세 정책을 포함한 글로벌 교역 여건 악화 영향으로 수출 증가율은 1% 미만으로 둔화될 것으로 예측했다. 한국금융연구원은 11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2026년 경제 및 금융 전망 세미나’에서 한국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올해 1....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