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윤철 "올해 1% 내외 성장 예상…내년 잠재성장률 반등의 원년으로"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증시 상승 모멘텀 이어받아 내년 본격적인 성장 드라이브" 경제성장전략 4대 방향 제시…국가전략산업 육성·통상협상 조치 등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 News1 임세영 기자 (세종=뉴스1) 임용우 기자 =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1일 "조금 더 힘을 낸다면 (올해) 연간으로 1% 내외 성장도 예상하고 있다"고 밝혔다. 구 부총리는 이날 이재명 대통령 주재 국무회의에서 "경기가 매우 어려운 상황이었지만, 3분기에 온전한 이재명 정부의 첫 경제성적표가 1.2% 성장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3분기 성장률은) 2024년 1분기 이후 6분기 만에 최고 수준"이라며 "내년은 잠재성장률 반등의 원년을 만들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증시는 상법 개정 등 정책 효과에 힘입어 주요국 대비 가장 높은 주가 상승률을 보였다"며 "11월 7일 기준 46.6% 상승했는데, 이러한 증시의 상승 모멘텀을 이어받아 내년에는 본격적인 성장 드라이브를 걸겠다"고 말했다...
기사 본문
제49회 국무회의 “올해 경제성장률 1% 내외 성장 예상” ‘거시경제·민생안정’ 첫 과제로 제시 李대통령 ‘먹거리 물가안정’ 강조해 ‘주식 장기투자자’ 인센티브 제공도 [세종=이데일리 강신우 기자]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1일 “내년은 잠재성장률 반등의 원년을 만들 경제성장전략 마련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구윤철(가운데) 경제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이 11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이재명 대통령에게 2026 경제성장전략 관련 발언을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구 부총리는 이날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제49회 국무회의에서 “지난 3분기, 온전한 이재명 정부의 첫 경제성적표가 1.2% 성장으로 나왔다. 조금 더 힘을 낸다면 연간 1% 내외의 성장이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구 부총리는 ‘내년도 경제성장전략’의 틀에 대해 △거시경제 및 민생 안정 △성장동력 확충 △양극화 구조 극복 △지속성장 기반 강화 등 네 가지로 구분했다. 이 중 거시경제와...
기사 본문
[이재명 대통령이 11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은 오늘(11일) "2026년을 잠재성장률 반등의 원년으로 만들겠다"고 밝혔습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2026년 경제성장전략'의 골자를 소개하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3분기 GDP 1.2% 성장과 주요국 대비 가장 높은 주가지수 상승률 기록은 우리 정부가 받아 든 첫 번째 경제 성적표"라며 "이는 시작에 불과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경제 회복과 민생 안정의 작은 불씨를 활활 지펴, 잠재성장률 반등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대내외 불확실성의 파도에 맞서기 위해 경제 기초 체력을 더욱 견고히 다지고 국민 경제 발전을 위한 튼튼한 토대를 쌓는 것이 무엇보다 시급하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를 위해 마련될 2026년 경제성장전략에는 ▲거시경제·민생 안정 ▲성장동력 확충 ▲양극화 구조 극복 ▲지속 성장 기반 강화 등 4대 분야 핵...
기사 본문
이재명 대통령, 국무회의 주재 - 이재명 대통령이 11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은 11일 “2026년 경제성장전략을 마련하려 한다”며 “2026년을 잠재성장률 반등의 원년으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으로부터 2026년 경제성장전략을 보고받은 뒤 페이스북에 세부 내용을 공개하며 이같이 말했다. 정부는 크게 ▲거시경제·민생 안정 ▲성장동력 확충 ▲양극화 구조 극복 ▲지속 성장 기반 강화 등 4대 분야의 핵심과제를 선정했다. 거시경제·민생 안정 분야에서는 ▲경기 활성화 ▲민생 안정 ▲리스크 관리 등 3대 부문의 7개 세부 과제를 제시했다. 소비·투자·수출 등 부문별 활성화를 추진하고, 주택공급을 가속화해 부동산 시장을 안정시킨다는 계획이다. 성장동력 확충은 ▲국가전략산업 육성 ▲경제혁신 본격화 ▲신(新)대외경제전략 추진 ▲인적자본 극대화 등 5대 부문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