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5년 온실가스 53~61% 감축”…국무회의 의결

2025년 11월 12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47개
수집 시간: 2025-11-12 00:15:01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KBS 2025-11-11 19:22:34 oid: 056, aid: 0012064255
기사 본문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가 국무회의에서 의결돼 최종 확정됐습니다. 확정된 안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35년까지 2018년 대비 53%~61% 감축한다'는 내용입니다. 정부는 현지 시각 10일, 브라질에서 개막하는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에서 이 같은 내용을 발표하고 올해 안에 유엔에 제출할 예정입니다. 또 정부는 내년 상반기까지 'K-녹색 전환 추진 전략'을 내놓겠다고 밝혔습니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YTN 2025-11-11 23:19:13 oid: 052, aid: 0002271805
기사 본문

'2035년 온실가스 감축 목표' 국무회의에서 확정 2018년 배출량 대비 53%∼61% 사이로 감축하기로 파리 협정 따라 5년마다 감축 목표 UN에 제출해야 정부, 시민사회 65%·산업계 48% 사이에서 고심 [앵커] 정부가 2035년까지 줄이기로 한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목표치가 국무회의를 거쳐 확정됐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탄소 중립 사회로 전환은 피할 수 없는 길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홍민기 기자입니다. [기자] 이재명 대통령 주재로 열린 국무회의에서 2035년까지 감축할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목표치가 확정됐습니다. 2018년 온실가스 순배출량 7억4천만 톤 대비 최소 53%에서 최대 61% 사이로 줄이기로 한 겁니다. 2015년 파리 협정 가입국인 우리나라는 5년마다 감축 목표치를 상향 설정해 유엔에 제출해야 합니다. 시민사회 요구 65%와 산업계 요구 48% 사이에서 고심하던 정부는, 지난해 헌법재판소 결정과 국제기구 권고 등을 고려해 범위 형태로 목표치를 정했습니다. [김...

전체 기사 읽기

뉴시스 2025-11-10 19:49:50 oid: 003, aid: 0013591972
기사 본문

김성환, 2035 NDC 및 배출권 할당계획 브리핑서 "53~61%, 감당가능 최소 목표와 지향 최대 목표" "전기료 인상 요인 있지만…소위 '탄소세적' 성격" "재생 에너지와 원자력 적절하게 믹스하며 추진" [서울=뉴시스] 추상철 기자 =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이 10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2035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 및 제4차 계획기간 배출권 할당계획' 등과 관련 정책브리핑을 하고 있다. 2025.11.10. scchoo@newsis.com [서울=뉴시스] 강지은 기자 =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은 10일 정부가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최종안으로 2018년 대비 '53~61% 감축'을 발표한 데 대해 "우리 사회가 감당 가능한 일종의 최소 목표와 지향할 수 있는 최대 목표"라고 강조했다. 김 장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2035 NDC 및 제4차 계획기간 국가 배출권 할당계획' 관련 브리핑을 갖고 이같이 말했다. 대통령 직속 2...

전체 기사 읽기

뉴스1 2025-11-11 16:29:25 oid: 421, aid: 0008597917
기사 본문

산업부문 수단·지원계획 미비…기후장관 "지원방안 미공개 죄송" 탈원전 기조는 바꿨지만…韓 목표 상승폭 평균 상회는 '우려' 6일(현지시간) 브라질 파라주 벨렝에서 열린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 정상 본회의. 2025. 11. 06. ⓒ AFP=뉴스1 ⓒ News1 양은하 기자 (세종=뉴스1) 황덕현 기후환경전문기자 = 정부가 확정한 2035년 국가 온실가스감축목표(NDC, 2018년 대비 53~61%)가 제조업 중심의 산업구조인 우리나라의 현실을 반영하지 못했다는 아쉬움의 목소리가 나온다. 우리나라의 감축목표는 유럽과 미국 등 주요 선진국과 비교해도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문제는 산업화를 일찍 거치며 감축을 먼저 시작한 이들 선진국과 달리, 한국은 후발주자로 여전히 탄소감축 목표 달성을 위한 산업구조 대전환이 출발선에 있다는 점이다. 산업구조의 신속한 전환을 위한 대안없이 설정한 과대한 목표치는 산업계에 큰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데, 논란은 쉬이 가라앉...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