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사주 소각 의무 피하려 주식보상제 시행” 루머에 삼성전자 “사실 아냐” 정면 대응

2025년 10월 17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25개
수집 시간: 2025-10-17 03:38:00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8개

서울신문 2025-10-16 19:38:09 oid: 081, aid: 0003582788
기사 본문

삼성전자, ‘자사주 소각 회피용 PSU’설에 사내 공지 내고 “루머 사실 아냐” 정면 반박 “소각·임직원 보상 규모 명시…PSU는 추가 매입” 출국하는 이재용 회장 -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리는 한미 정상회담의 경제사절단에 동행하기 위해 24일 서울 강서구 서울김포비즈니스항공센터(SGBAC)를 통해 출국하고 있다. 2025.8.24 연합뉴스 삼성전자가 도입한 성과연동 주식보장(PSU) 제도와 관련해 자사주 소각 의무를 회피하기 위해서라는 논란에 정면 반박했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이날 사내 공지를 내고 “회사가 상법 개정에 따른 자사주 소각 의무를 회피하기 위한 수단으로 PSU 제도를 시행했다는 루머는 사실과 다르다”고 밝혔다. 앞서 삼성전자는 지난 14일 이재용 회장의 별도 지시로 향후 3년 동안의 주가 상승폭에 따라 임직원에게 자사주를 지급하는 PSU 제도를 도입한다고 밝혔다. 국회에서 현재 논의 중인 3차 상법 개정안의 핵심은 자사주 소각 의...

전체 기사 읽기

조선일보 2025-10-16 00:34:10 oid: 023, aid: 0003934721
기사 본문

[News&Why] 삼성전자 ‘자사주 보상’ 회사와 직원 온도차 삼성전자가 성과에 따라 자사주를 지급하는 ‘성과연동 주식보상(PSU·Performance Stock Units) 제도’를 처음 도입하면서, 임직원들의 반응이 엇갈리고 있다. 회사 측은 “그간 과거 실적에 대한 보상만 있었지만 미래에 대한 보상을 처음 약속한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반면 일부 직원들 사이에선 “기준이 너무 까다롭다”는 의견도 나온다. 삼성전자가 내세운 ‘미래 성장 보상’이라는 명분 뒤에는 인재 이탈을 막기 위한 대응, 주가 부양과 지배구조 부담 사이의 고민, 자사주 운용 관련 실리적인 전략이 복합적으로 얽혀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① 인재 붙잡기 차원 삼성전자는 15일부터 임직원 대상 PSU 약정 절차를 시작했다. 사원·대리급(CL 1~2)은 200주, 과장·차장·부장급(CL 3~4)은 300주씩 자사주를 주고, 임원은 직급에 따라 별도 수량을 지급한다. 기존 성과급과 별도인 일회성 추가 보너스다. ...

전체 기사 읽기

헤럴드경제 2025-10-16 21:14:07 oid: 016, aid: 0002543075
기사 본문

사내 공지 통해 “PSU, 앞서 공시한 1조6000억원 재원에서 활용” 지난 14일 서울 삼성전자 서초사옥에서 그룹 깃발이 바람에 펄럭이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김영철 기자] 삼성전자가 새롭게 시행하기로 한 ‘성과연동 주식보상(PSU·Performance Stock Units)’ 제도가 ‘자사주 소각 회피용’이라는 일각의 주장에 대해 “사실무근”이라고 반박했다. 해당 의혹이 사내 게시판과 온라인 커뮤니티 등을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하자 이를 진화시키려는 모습이다. 삼성전자는 16일 오후 사내 게시판을 통해 “PSU 제도를 상법 개정에 따른 자사주 소각 의무를 회피하기 위한 수단으로 시행했다는 루머는 사실과 다르다”고 공지했다. 삼성전자는 지난 14일 3분기 잠정실적 발표 직후, 향후 3년간 주가 상승 폭에 따라 임직원에게 자사주를 지급하는 PSU 제도를 시행한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일각에선 이를 두고 “삼성전자가 보유 중인 자사주 소각을 회피하기 위해 임직원에게 자사주를 지급하...

전체 기사 읽기

뉴스1 2025-10-16 19:27:11 oid: 421, aid: 0008543560
기사 본문

"임직원 보상 목적 활용 공시…2028년 이후 PSU 자사주는 추가 매입" 동기 부여·주주가치 제고 목적 PSU 두고 의혹…전사 차원 추가 안내 14일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서초사옥에서 관계자들이 사기를 새 것으로 교체해 게양하고 있다. 이날 삼성전자는 올 3분기 12조 원대의 영업이익을 기록하면서 반등에 성공했다. 매출액은 역대 분기 최고치를 경신했고 '10조 클럽'에 재차 가입했다. 2025.10.14/뉴스1 ⓒ News1 박지혜 기자 (서울=뉴스1) 박기호 기자 = 삼성전자(005930)는 16일 성과연동 주식보상(PSU) 제도를 두고 상법 개정에 따른 자사주 소각 의무를 회피하기 위한 수단이라는 일각의 의혹에 대해 "사실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이날 전사 공지를 통해 PSU 제도에 대해 '자사주 소각 의무 회피 수단'이라는 의혹에 대해 과거 공시 사실을 강조하면서 조목조목 반박했다. 삼성전자는 "회사는 주주가치 제고 등을 위해 2024년 11월부터 2025년 9월까...

전체 기사 읽기

서울경제 2025-10-16 21:59:10 oid: 011, aid: 0004544264
기사 본문

직원 성과공유용 자사주 향후 매입 [서울경제] 지난 14일 서울 삼성전자 서초사옥에서 그룹 깃발이 바람에 펄럭이고 있다. 이날 삼성전자는 연결 기준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이 12조 1000억 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31.81%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공시했다. 매출은 86조 원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8.72%, 전 분기 대비 15.33% 증가하면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연합뉴스 삼성전자(005930) 가 보유한 자사주 5조 4000억 원을 소각하고 새로 도입한 성과연동주식보상(PSU) 제도를 위한 자사주를 추가로 매입한다. 삼성전자가 자사주 소각 의무를 피하기 위해 새로운 제도를 발표했다는 노동조합의 근거 없는 주장을 일축한 것이다. 삼성전자는 16일 PSU와 관련한 잘못된 사실을 바로잡기 위해 사내에 제도를 설명하는 공지를 띄웠다. 공지에서 삼성전자는 “상법 개정에 따른 자사주 소각 의무를 회피하기 위한 수단으로 PSU 제도를 시행했다는 루머는 사실과 다르다”고 밝혔다. 삼...

전체 기사 읽기

SBS 2025-10-16 21:48:40 oid: 055, aid: 0001300386
기사 본문

삼성전자가 새롭게 시행하기로 한 '성과 연동 주식 보상'(PSU·Performance Stock Units) 제도가 '자사주 소각 회피용'이라는 일각의 주장에 대해 "사실무근"이라고 반박했습니다. 삼성전자는 오늘(16일) 오후 사내 게시판을 통해 "PSU 제도를 상법 개정에 따른 자사주 소각 의무를 회피하기 위한 수단으로 시행했다는 루머는 사실과 다르다"고 공지했습니다. 삼성전자는 지난 14일 3분기 잠정 실적 발표 직후, 향후 3년간 주가 상승 폭에 따라 임직원에게 자사주를 지급하는 PSU 제도를 시행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일각에서는 이를 두고 "삼성전자가 보유 중인 자사주 소각을 회피하기 위해 임직원에게 자사주를 지급하는 보상 정책을 마련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현재 정치권에서 추진하고 있는 3차 상법 개정안은 자사주 소각을 의무화하는 한편 임직원 보상 등의 예외는 허용하고 있는데 삼성전자가 이를 이용하기 위해 PSU 제도를 도입했다는 주장입니다. 아울러 임직...

전체 기사 읽기

뉴시스 2025-10-16 19:56:55 oid: 003, aid: 0013539757
기사 본문

PSU 루머에…삼성 "사실 아니야" "2028년 이후 PSU 자사주 추가 매입" [서울=뉴시스] 홍효식 기자 = 삼성전자가 2025년 3분기 잠정 실적을 발표한 14일 서울 삼성전자 서초사옥의 깃발이 펄럭이고 있다.삼성전자는 올해 3분기 매출 86조원, 영업이익 12조1000억원으로 잠정 집계 됐다고 발표했다. 전년 같은 분기 대비 매출은 8.72%, 영업이익은 31.81% 증가했다. 전 분기 대비로도 매출과 이익이 각각 15.33%, 158.55%씩 늘었다. 삼성전자가 10조 영업이익을 회복한 것은 지난해 2분기(10조4400억원) 이후 1년 3개월 만이다. 2025.10.14. yes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이지용 기자 = 삼성전자는 성과연동 주식보상제도(PSU)이 자사주 소각 회피용이라는 일각의 루머에 대해 "사실이 아니다"는 입장을 16일 밝혔다. PSU는 주가 상승 폭에 따라 임직원에게 자사주를 지급하는 제도다. 주가가 오를수록 임직원에 대한 보상 규모도...

전체 기사 읽기

조선일보 2025-10-16 22:31:10 oid: 023, aid: 0003934956
기사 본문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사옥. /뉴스1 삼성전자가 최근 발표한 ‘성과연동 주식보상(PSU)’ 제도 관련, 일부 직원들로부터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자 회사가 반박에 나섰다. 노조를 중심으로 ‘회사가 자사주 소각을 피하기 위해 제도를 만든 것 아니냐’는 주장이 확산하자 진화에 나선 것이다. 삼성전자 “자사주 소각 회피용 아냐” 16일 삼성전자는 “상법 개정에 따른 자사주 소각 의무를 회피하기 위한 수단으로 PSU 제도를 시행했다는 루머는 사실과 다르다”는 내용의 사내 공지를 올렸다고 밝혔다. 발단은 삼성전자가 지난 14일 발표한 PSU 제도다. 3년 뒤 주가에 따라 직원 1인당 자사주를 적게는 0주에서, 많게는 600주까지 지급하는 내용이다. 실제 지급량은 주가 상승률에 따라 달라진다. 주가 상승률이 20% 미만이면 한 주도 받지 못하고, 40~60% 미만이면 직급에 따라 200~300주를, 100% 이상이면 그 두 배인 400~600주를 받게 된다. 기존 성과급과는 별도의 일회성 추가 보...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