셧다운 종료 기대, 나스닥 2.27% 급등…엔비디아 6% ↑(상보)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미증시 트레이더들. ⓒ 로이터=뉴스1 (서울=뉴스1) 박형기 기자 = 셧다운 종료 기대감으로 미국증시가 일제히 급등했다. 10일(현지 시각) 뉴욕증시에서 다우는 0.81%, S&P500은 1.54%, 나스닥은 2.27% 각각 급등했다. 나스닥의 상승 폭이 큰 것은 주요 기술주가 일제히 랠리했기 때문이다. 전일 상원은 40일간 지속됐던 셧다운을 종식하기 위한 합의안을 통과시킨 뒤 법안을 하원에 넘겼다. 하원도 이를 승인하고, 트럼프 대통령이 사인하면 셧다운은 즉시 종료된다. 마이크 존슨 하원의장(공화당, 루이지애나)은 합의안 투표가 빨리 이뤄질 수 있도록 하원 의원들에게 의사당으로 나올 준비를 하라고 촉구했다. 장기간의 셧다운은 소비자 신뢰도와 전반적인 경제에 타격을 입혔고, 소비자 심리지수는 사상 최저치를 약간 웃도는 수준으로 떨어졌다. 이같은 상황에서 셧다운이 종료되면 불확실성이 제거돼 미국 경제를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인공지능(AI) 고평가 우려로 그동안 많이 떨어졌던 기술...
기사 본문
민주 중도파 상원 합류로 임시예산안 처리 기대감 정부 재개방시 경기·소비 지표 정상화 전망 엔비디아 5.8%↑·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3% 급등 [UPI] [헤럴드경제=김유진 기자] 미국 연방 정부의 셧다운(일시 업무 정지) 해제 기대감에 뉴욕증시가 일제히 상승했다. 의회가 임시 예산안 처리에 근접하면서 경기 불확실성이 완화됐고, 기술주를 중심으로 매수세가 강화됐다. 셧다운이 해제될 경우 미국 경제의 소비 모멘텀과 투자 심리가 동시에 회복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시장을 지배하고 있다. 특히 연말 쇼핑 시즌을 앞둔 시점에서 정부 재개방이 확정되면, 경기 둔화 우려로 얼어붙었던 위험자산 선호가 다시 살아날 가능성이 크다는 평가가 나온다. 10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81.53포인트(0.81%) 오른 4만7368.63에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는 1.54% 상승한 6832.43, 나스닥종합지수는 2.27% 급등한 2...
기사 본문
미 의회, 셧다운 해제 수순 돌입 위험자산 선호 심리 회복 엔비디아·팔란티어 등 AI 관련주 상승 미국 뉴욕 증시의 3대 지수가 10일(현지시간) 일제히 상승세로 마감했다. 역대 최장 기록인 41일째를 맞은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Shut Down·일시적 업무정지)이 해제 수순에 들어가면서 투자자들의 위험 자산 선호 심리가 되살아났다. 특히 인공지능(AI) 관련주가 강세를 보이며 상승장을 이끌었다. 10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 거래장에서 트레이더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UPI연합뉴스 이날 뉴욕 주식시장에서 블루칩 중심의 다우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381.53포인트(0.81%) 상승한 4만7368.63에 장을 마감했다. 대형주 중심의 S&P500지수는 103.63포인트(1.54%) 오른 6832.43,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522.637포인트(2.27%) 급등한 2만3527.174에 거래를 마쳤다. 종목별로는 AI 관련주 강세가 두드러졌다. 엔비디아는 5.79% ...
기사 본문
뉴욕증시에서 주요지수는 미 연방정부 일시 업무 정지(셧다운) 해제 기대감에 상승 마감했다. 10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일 대비 381.53포인트(0.81%) 뛴 47,368.63에,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103.63포인트(1.54%) 상승한 6,832.43에, 나스닥종합지수는 522.64포인트(2.27%) 급등한 23,527.17에 각각 거래를 마쳤다. 미 연방정부 셧다운 해소 기대감이 증시를 끌어 올렸다. 미국 민주당 내 중도파 상원 의원 8명이 공화당의 임시 예산안에 찬성하는 입장으로 선회하면서다. 미국 의회 상원은 이르면 이날 전체 회의를 열고 임시 예산안을 최종 처리할 예정이다. 예산안이 상원 문턱을 넘으면 하원은 공화당이 다수인 만큼 가결 가능성이 크다. 셧다운이 해제되면 연방 공무원이 일터로 복귀하면서 그간 미뤄졌던 경기지표도 정상적으로 나오게 된다. 미 중앙은행(Fed)의 통화정책 방향에 대한 불확실성도 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