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 3분기 영업익 2313억원…전년비 110%↑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자체 사업 호실적...계열사 기저효과 덕분 ㈜두산이 지난 3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 4조 4,524억 원, 영업이익 2,313억원을 기록했다고 10일 공시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14.8%, 영업이익은 109.9% 증가했다. 반도체 시장 호조에 힘입은 ㈜두산의 자체 수익성 개선과 주요 계열사들의 지난해 기저 효과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이익이 큰 폭으로 늘었다. ㈜두산 자체 사업은 매출 5,241억 원, 영업익 1,087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59.8%, 211.5% 성장했다. 전자사업부문(BG)는 인공지능(AI) 가속기용 및 하이엔드 메모리 반도체용 동박적층판(CCL)과 데이터센터향 차세대 소재 등의 수요 증가에 힘입어 3분기 누적 매출 기준으로 전년 동기 대비 96% 불어난 1조 3,190억 원을 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연결 기준 매출 3조 8,804억원, 영업익 1,371억원을 거뒀다. 이번 분기에만 신규 수주로 1조 6,000억 원을 추가했고, 3분기까지 누적 수...
기사 본문
두산 [연합뉴스] 하나증권은 11일 두산에 대해 2026년에도 고객사 내 두산의 점유율 우위가 지속되고 실적 상승세가 이어질 것이라며 목표주가를 기존 84만6000원에서 133만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두산의 3분기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212% 증가한 1087억원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두산의 전자 비즈니스그룹 ‘전자BG’의 매출은 전년 같은 기간보다 79% 늘어난 4399억원을 달성했다. 전 분기와 비교했을 땐 8% 감소한 수치다. 이는 고객사의 제품 전환에 따른 일시적인 수요 공백이 발생하며 전자 수익성을 견인하고 있는 인공지능(AI) 가속기향 반도체용 동박적층판(CCL) 매출이 전분기대비 약 30% 감소한 데 따른 영향이라고 하나증권은 추정했다. 일시적인 공백 이후 10월부터 두산의 AI 가속기 수주는 상반기와 유사한 수준으로 회복된 것으로 파악되며 차세대 제품에 대한 준비도 순조롭게 이뤄지고 있다고 하나증권은 분석했다. AI 가속기향 CCL 외에도 메모리 패키지 기판 및...
기사 본문
[이데일리 원다연 기자] NH투자증권은 11일 두산(000150)에 대해 성장 흐름이 지속되고 있다며, ‘매수’ 투자의견을 유지하고 목표가를 종전 93만원에서 116만원으로 상향 조정한다고 밝혔다. 전일 종가는 93만 9000원이다. 두산의 3분기 연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4.8% 증가한 4조 4254억원, 영업이익은 109.9%증가한 2313억원으로 컨센서스를 하회했다. 자체사업의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59.7% 증가한 5241억원, 영업이익은 211.5% 증가한 1087억원을 기록했다. 이승영 연구원은 “N사의 제품 전환 과정에서 AI가속기향 CCL 주문이 일시적으로 감소한 영향”이라며 “4분기에는 AI 가속기향 CCL 매출 회복,메모리 반도체향 CCL 매출 확대 지속으로 실적 개선을 전망한다”고 밝혔다. 이 연구원은 “동사는 자사주 17.9%(보통주 기준)를 보유 중이며 주주가치 제고 및 RSU 등 목적으로 자사주 활용할 계획”이라며 “2025년 2월 자사주 약 6%...
기사 본문
매출 4조4524억 원, 14.8% ↑…자체 사업 실적 개선 '주주환원' 자사주 33만주 소각…201억 원 규모 독일 뮌헨에서 열린 2025 바우마 전시를 둘러보는 박정원 두산그룹 회장. (두산그룹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2025.4.13/뉴스1 ⓒ News1 박종홍 기자 (서울=뉴스1) 박주평 기자 = ㈜두산(000150)은 3분기 연결 기준 매출 4조 4524억 원, 영업이익 2313억 원을 기록했다고 10일 공시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14.8%, 영업이익은 109.9% 증가한 수치다. 반도체 시장 호조에 힘입은 ㈜두산 자체사업 실적 개선과 주요 계열사들의 지난해 기저효과 영향으로 전년 대비 이익이 큰 폭으로 개선됐다. 3분기 ㈜두산 자체사업은 매출 5241억 원, 영업이익 1087억 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각각 59.8%, 211.5% 증가했다. 특히 전자BG는 인공지능(AI) 가속기용 및 하이엔드 메모리 반도체용 동박적층판(CCL)과 데이터센터향 차세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