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상공인연합회 “새벽배송 금지되면 손실보상 촉구할 것”

2025년 11월 11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27개
수집 시간: 2025-11-11 07:06:58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전자신문 2025-11-09 20:34:09 oid: 030, aid: 0003368270
기사 본문

소상공인연합회가 새벽배송 금지 논란과 관련해 “소상공인의 온라인 판로를 막아 돌이킬 수 없는 막대한 피해가 우려된다”고 9일 밝혔다. 연합회는 이날 논평을 통해 새벽배송 금지 주장과 관련해 “민생경제 회복 노력에 찬물을 끼얹는 행위”라며 “무리한 새벽배송 금지 주장은 새벽배송으로 일상화된 소상공인 생태계와 나아가 한국 경제의 시스템을 일거에 붕괴시키겠다는 의도”라고 지적했다. 이어 “만에 하나라도 '택배 사회적대화기구'와 관련된 국회의원들이 노조 측의 주장을 일방적으로 수용해 새벽배송이 금지된다면, 즉각적인 강력한 항의에 나설 것”이라고 강조했다. 서울 시내의 한 쿠팡 물류센터 모습. 연합회는 또 “쿠팡을 비롯한 새벽배송 온라인플랫폼 입점 소상공인들의 피해를 모아 손실보상 촉구에 나설 것을 불사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민주노총 택배노조는 지난달 22일 '택배 사회적대화 기구' 회의에서 “0시∼오전 5시 초심야 배송을 제한해 노동자의 수면시간과 건강권을 최소한으로 보장하자”고 ...

전체 기사 읽기

주간경향 2025-11-10 06:03:04 oid: 033, aid: 0000049772
기사 본문

소비자와 노동자의 싸움?…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등 공식 입장 없어 플랫폼 기업 책임 언급 안 돼…쿠팡 속도 경쟁·저임 구조도 논의돼야 쿠팡 배송 차들이 주차돼 있다. 연합뉴스 “장애아 어머니들, 노인들, 맞벌이 부부들… 많은 사람이 절실한 이유로 새벽배송을 이용하고 있는데, 이게 2000만명이다.” 지난 11월 3일 CBS라디오에서는 새벽배송을 주제로 장혜영 전 정의당 의원과 한동훈 국민의힘 전 대표가 토론을 벌였다. 한 전 대표는 ‘소비자 편익’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새벽배송 제한’에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 새벽배송 논란은 민주노총 택배노조가 ‘택배노동자 과로사 문제 해결을 위한 사회적 대화 기구’에서 ‘0시부터 5시까지 심야 시간 배송 제한’ 방안을 제안하면서 비롯됐다. 현재 대표적인 플랫폼 기업인 쿠팡은 1년 365일 하루도 쉬지 않고 주간배송 2회, 야간배송 3회 하루 총 5회 반복 배송을 한다. 자정 이후의 심야노동이 세계보건기구(WHO)에서 2급 발암물질로 분류된 만큼 노동...

전체 기사 읽기

한겨레 2025-11-10 22:30:18 oid: 028, aid: 0002775700
기사 본문

쿠팡 제공 택배 차량을 몰다 전신주와 충돌해 숨진 30대가 새벽배송을 하던 쿠팡의 배달노동자인 것으로 확인됐다. 10일 제주소방안전본부와 제주동부경찰서, 전국택배노조 제주지부에 따르면, 이날 새벽 2시9분께 제주시 오라2동 도로에서 33살 ㄱ씨가 몰던 1톤 트럭이 전신주와 충돌했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현장에 출동한 구급대원은 유압장비를 이용해 운전석에 끼여 있던 ㄱ씨를 구조해 병원으로 이송했다. 하지만 크게 다친 ㄱ씨는 새벽 3시10분께 숨졌다. ㄱ씨는 제주시에 있는 쿠팡의 1캠프에서 야간조로 새벽배송을 담당하던 특수고용직 노동자인 것으로 파악됐다. 통상 새벽 1~2시에 배송 작업을 마치는 야간조의 업무 특성상 ㄱ씨도 이날 일을 하거나, 일을 끝내고 복귀하다가 사고를 당한 것으로 보인다. 함께 일하던 동료들은 “ㄱ씨가 며칠 전 아버지 장례식을 치르고 제대로 쉬지도 못하고 출근했다가 사고가 난 것으로 보인다”고 추정하고 있다. 한편 쿠팡은 지난 2월부터 제주 지역에서 새벽배송을 시작했...

전체 기사 읽기

뉴스1 2025-11-11 05:30:00 oid: 421, aid: 0008595979
기사 본문

민주노총 택배노조 '새벽배송 제한' 주장에 소상공인 업계 반발 "새벽배송 못받으면 추가고용 부담"…"매출 95% 온라인 판로 막혀" 경기 수원 팔달구 못골종합시장의 한 채소 가게에서 시민들이 채소를 구매하고 있다. 2022.7.18/뉴스1 ⓒ News1 김영운 기자 (서울=뉴스1) 장시온 기자 = "자정부터 오전 5시까지 배송을 제한하자"는 노동계의 '새벽배송 금지(제한)' 주장이 논란인 가운데 자영업자들 사이에서 우려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특히 12조 원에 육박하는 새벽배송 시장을 핵심 판로로 활용하는 신선식품 취급 자영업자들은 매출 절반 이상이 새벽배송에서 나오는 경우가 많아 발을 동동 구르고 있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민주노총 산하 택배노조는 최근 국토교통부 주관의 '택배 사회적대화기구'에서 "0~5시 사이 초심야 배송을 하지 못하게 하자"고 주장하고 있다. 사회적대화기구는 민주노총과 더불어민주당 주도 협의체로 법적 구속력은 없지만 과거 주요 택배사 대상으로 주당 업무시간 ...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