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상장사 임직원 불공정거래 예방 '찾아가는 교육' 실시

2025년 11월 11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30개
수집 시간: 2025-11-11 05:26:31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이데일리 2025-11-10 12:02:17 oid: 018, aid: 0006160844
기사 본문

[이데일리 김경은 기자] 금융감독원이 상장사 임직원의 불공정거래를 예방하기 위해 직접 기업을 찾아가는 맞춤형 교육을 실시한다. 금감원은 10일 “국내 주식시장 선진화와 일반투자자 참여 확대로 시장의 투명성과 공정성 회복에 대한 기대치가 높아지는 가운데 상장사 임직원의 내부정보를 활용한 불공정거래 행위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금융감독원 금감원에 따르면 최근 3년간 불공정거래로 조치받은 상장사 임직원은 총 163명에 달한다. 2023년 65명(임원 52명·직원 13명), 2024년 57명(임원 51명·직원 6명), 2025년 9월까지 41명(임원 35명·직원 6명)이 적발됐다. 시장별로는 코스닥 상장사 임직원이 110명으로 가장 많았고, 코스피 44명, 코넥스 9명 순이었다. 금감원은 이에 따라 11월부터 12월까지 상장사 15곳을 대상으로 예방교육을 진행한다. 교육 대상은 상장회사협의회와 코스닥협회를 통해 수요조사를 실시한 뒤 과거 교육 이력과 수강인원을 고려해...

전체 기사 읽기

머니S 2025-11-10 12:00:00 oid: 417, aid: 0001112230
기사 본문

최근 상장사 임직원 불공정거래 행위 의심 사례 다수 적발돼 업계 전반 뒤숭숭 금감원, 투명성·공정성 회복 '예방 교육' 시행… 법규 준수·경각심 제고 등에 초점 금감원이 전국 15개 상장사 임직원 대상 불공정거래 예방교육을 11~12월 진행한다. /사진=뉴시스 금융감독원이 상장사 임직원 대상 불공정거래 예방교육에 나선다. 국내 주식시장 선진화 및 일반투자자 참여 확대 등에 따라 주식시장의 투명성과 공정성 회복에 대한 기대치를 높이겠다는 의도다. 최근 내부정보를 활용한 불공정거래 행위가 상장사 임직원에게서 지속 발생하고 있어 투자자들의 우려가 커진 만큼 금감원의 교육이 주식시장의 투명성과 공정성 회복에 기여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10일 금감원에 따르면 이번 교육은 과거 불공정거래 교육 기회가 없었던 중소형 상장사 임직원 대상 '찾아가는 불공정거래 예방교육'으로 진행된다. 조사경험이 풍부한 조사원이 각 회사를 방문, 임직원 관심도가 높은 주제와 주요 사례를 선별해 맞춤형 교육을 실시한...

전체 기사 읽기

데일리안 2025-11-10 12:00:07 oid: 119, aid: 0003023053
기사 본문

3년간 163명 불공정거래 조치…임원 중심 위반 미공개정보 악용부터 허위공시·시세조종까지 금감원, 11~12월 15개사 대상 현장 맞춤형 교육 10일 금감원에 따르면 최근 3년(2023~2025년 9월)간 상장사 임직원 불공정거래로 조치된 인원은 총 임원 138명, 직원 25명이다. ⓒ금융감독원 [데일리안 = 손지연 기자] 국내 상장사 임직원의 내부정보 악용 등 불공정거래가 끊이지 않으면서 금융감독원이 올해 불공정거래 예방교육을 진행한다. 국내 주식시장에 대한 신뢰 회복 요구가 높아지는 가운데, 금감원은 중소형 상장사를 직접 방문해 맞춤형 교육을 제공하겠다는 방침이다. 10일 금감원에 따르면 최근 3년(2023~2025년 9월)간 상장사 임직원 불공정거래로 조치된 인원은 총 임원 138명, 직원 25명이다. 코스닥 비중이 가장 높았으며, 코스피·코넥스에서도 임직원 관련 위반이 지속 발생했다. 내부자 정보 악용·허위 공시·시세조종까지 주요 위반 사례를 보면 △미공개 중요정보 이용 △허...

전체 기사 읽기

세계일보 2025-11-10 20:16:12 oid: 022, aid: 0004081614
기사 본문

불공정거래 상장사 임직원 적발 금감원, 3년 동안 163명 단속·조치 유상증자 앞두고 주가 인위적 조작 회사 차원서 시세조종행위에 나서 미공개 정보 이용한 사익 챙기기도 시민단체 “징벌적 손해배상 도입을” 당국, 11월부터 ‘찾아가는 예방교육’ #1. 회사 대표이사 A씨는 주주 우선 공모 방식으로 유상증자를 추진하면서 주가가 하락해 조달 가능한 자금이 줄어들 것을 우려했다. A씨는 주가가 더 내리는 것을 막아 공모가를 높이려고 회사 임원에게 시세조종을 지시했다. 공모가 산정 기간 중이던 당시 이 임원은 시세조종 경력이 있던 ‘세력’을 동원해 고가매수와 시·종가관여 등의 주문을 제출하며 주가를 인위적으로 부양했다. 이런 행위는 자본시장법이 금지하는 ‘시세를 고정·안정시킬 목적의 시세조종행위’로 이들은 결국 금융감독원에 적발됐다. #2. 또 다른 회사 최대주주 겸 대표이사인 B씨는 회사의 경영난을 해소하려고 허위 공시를 했다가 당국에 덜미가 잡혔다. B씨는 회사의 주요 사업과도 무관할 ...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