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배노조 겨냥한 소상공인연합회 "새벽배송 금지 주장 즉각 철회하라"

2025년 11월 11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30개
수집 시간: 2025-11-11 03:28:47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파이낸셜뉴스 2025-11-09 18:13:17 oid: 014, aid: 0005431724
기사 본문

소상공인연합회가 민주노총 산하 전국택배노동조합의 새벽배송 금지 주장을 즉각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소공연은 9일 성명을 내고 민주노총 산하 전국택배노동조합이 '택배 사회적대화기구'를 통해 새벽배송을 금지하라고 주장한 데 대해 "정부의 민생경제 회복 노력에 찬물을 끼얹는 행위이자, 소상공인 생태계 붕괴를 초래할 무책임한 요구"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소공연은 "노조의 일방적 요구가 현실화될 경우 막대한 피해가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한국로지스틱스학회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새벽배송과 주 7일 배송이 중단될 경우 택배 주문량이 40% 감소하고, 소상공인 매출은 18조3000억원이 줄어드는 것으로 분석됐다. e커머스 매출 감소분까지 포함하면 전체 경제 손실 규모는 54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됐다.


주간경향 2025-11-10 06:03:04 oid: 033, aid: 0000049772
기사 본문

소비자와 노동자의 싸움?…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등 공식 입장 없어 플랫폼 기업 책임 언급 안 돼…쿠팡 속도 경쟁·저임 구조도 논의돼야 쿠팡 배송 차들이 주차돼 있다. 연합뉴스 “장애아 어머니들, 노인들, 맞벌이 부부들… 많은 사람이 절실한 이유로 새벽배송을 이용하고 있는데, 이게 2000만명이다.” 지난 11월 3일 CBS라디오에서는 새벽배송을 주제로 장혜영 전 정의당 의원과 한동훈 국민의힘 전 대표가 토론을 벌였다. 한 전 대표는 ‘소비자 편익’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새벽배송 제한’에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 새벽배송 논란은 민주노총 택배노조가 ‘택배노동자 과로사 문제 해결을 위한 사회적 대화 기구’에서 ‘0시부터 5시까지 심야 시간 배송 제한’ 방안을 제안하면서 비롯됐다. 현재 대표적인 플랫폼 기업인 쿠팡은 1년 365일 하루도 쉬지 않고 주간배송 2회, 야간배송 3회 하루 총 5회 반복 배송을 한다. 자정 이후의 심야노동이 세계보건기구(WHO)에서 2급 발암물질로 분류된 만큼 노동...

전체 기사 읽기

한겨레 2025-11-10 22:30:18 oid: 028, aid: 0002775700
기사 본문

쿠팡 제공 택배 차량을 몰다 전신주와 충돌해 숨진 30대가 새벽배송을 하던 쿠팡의 배달노동자인 것으로 확인됐다. 10일 제주소방안전본부와 제주동부경찰서, 전국택배노조 제주지부에 따르면, 이날 새벽 2시9분께 제주시 오라2동 도로에서 33살 ㄱ씨가 몰던 1톤 트럭이 전신주와 충돌했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현장에 출동한 구급대원은 유압장비를 이용해 운전석에 끼여 있던 ㄱ씨를 구조해 병원으로 이송했다. 하지만 크게 다친 ㄱ씨는 새벽 3시10분께 숨졌다. ㄱ씨는 제주시에 있는 쿠팡의 1캠프에서 야간조로 새벽배송을 담당하던 특수고용직 노동자인 것으로 파악됐다. 통상 새벽 1~2시에 배송 작업을 마치는 야간조의 업무 특성상 ㄱ씨도 이날 일을 하거나, 일을 끝내고 복귀하다가 사고를 당한 것으로 보인다. 함께 일하던 동료들은 “ㄱ씨가 며칠 전 아버지 장례식을 치르고 제대로 쉬지도 못하고 출근했다가 사고가 난 것으로 보인다”고 추정하고 있다. 한편 쿠팡은 지난 2월부터 제주 지역에서 새벽배송을 시작했...

전체 기사 읽기

더팩트 2025-11-10 10:57:16 oid: 629, aid: 0000442028
기사 본문

'새벽배송 금지' 제안에 소비자·소상공인·배송기사 반발 소상공인 "손실보상 나설 것", 쿠팡노조 "일자리 위협" 민주노총 택배노조가 정부 주도로 출범한 사회적 대화 기구에서 택배기사들의 과로사 방지를 이유로 심야시간인 오전 0시부터 5시까지 새벽배송을 제한하는 안을 내면서 업계 혼란이 빚어지고 있다. 사진은 지난 5일 오전 서울 서초구 쿠팡 서초1캠프에 쿠팡 배송차량이 대기하는 모습. /뉴시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택배노조가 택배기사들의 과로사를 해결하기 위해 새벽배송 금지를 제안한 가운데 소비자와 소상공인은 물론 노동계마저도 등을 돌리면서 역풍이 커지는 모양새다. 특히 학계에서는 새벽배송이 유통산업의 근간으로 자리를 잡은 만큼 이를 금지할 시 수십조원의 피해가 발생할 것이라는 우려도 쏟아내고 있다. 1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민주노총 택배노조는 지난달 22일 택배기사의 과로사 해결을 위해 열린 사회적 대화 기구에서 심야시간인 오전 0시부터 5시까지 배송을 금지하자는 안을...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