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 美 록히드마틴과 KF-16 시뮬레이터 성능개선 사업 계약 체결
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KF-16 시뮬레이터 모습.(KAI 제공) (서울=뉴스1) 이동희 기자 = 한국항공우주산업(KAI)(047810)은 지난 7일 미국 록히드마틴(Lockheed Martin)으로부터 대한민국 공군 KF-16 시뮬레이터 성능개선 사업자로 선정돼 계약을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 KAI는 과거 자체 기술로 개발해 공군에 납품한 9대의 KF-16 시뮬레이터를 최신 F-16 바이퍼 형상으로 성능 개선할 예정이다. 사업 기간은 약 6년이며 납품 이후 후속지원 업무까지 포함된다. 시뮬레이터 주요 구성품의 최신화와 현장 기술지원으로 공군 조종사 훈령 환경의 품질 양상과 장비 신뢰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KAI는 이번 계약은 록히드마틴의 전략적 업무협약(MOU)의 연장선상이라며 이번 계약 체결로 모델링&시뮬레이션(Modeling & Simulation) 분야의 협력 관계가 강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KAI 관계자는 "록히드마틴과의 전략적 협력을 기반으로, 대한민국 공군의 훈련체계 현대화와 안전...
기사 본문
"축적된 기술력·수행 역량, 사업에 적극 활용"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지난 7일 미국 록히드마틴으로부터 대한민국 공군 KF-16 시뮬레이터 성능 개선 사업 핵심 파트너로 선정돼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KAI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미국 록히드마틴으로부터 대한민국 공군 KF-16 시뮬레이터 성능 개선 사업 '핵심 파트너'로 선정됐다. KAI는 지난 7일 록히드마틴과 한국 공군 KF-16 시뮬레이터 성능 개선 사업 핵심 파트너 계약을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 KAI는 록히드마틴과 맺은 전략적 MOU 연장선상에서 추진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사업 기간은 약 6년으로 납품 이후 후속지원 업무까지 포함된다. KAI는 과거 자체 기술로 개발해 공군에 납품한 9대의 KF-16 시뮬레이터를 최신 F-16 바이퍼(Viper) 형상으로 성능 개선할 예정이다. KAI는 시뮬레이터 주요 구성품 최신화와 현장 기술 지원을 수행해 공군 조종사 훈련 환경 품질 향상과 장비 신뢰성 제고를 목표로...
기사 본문
ⓒKAI [데일리안 = 편은지 기자]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지난 7일 미국 록히드마틴으로부터 대한민국 공군 KF-16 시뮬레이터 성능개선 사업의 핵심 파트너로 선정되어 계약을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 KAI는 과거 자체 기술로 개발해 공군에 납품한 9대의 KF-16 시뮬레이터를 최신 F-16 바이퍼 형상으로 성능개선할 예정이며, 사업기간은 약 6년으로 납품 이후 후속지원 업무까지 포함된다. 이번 성과는 지난 KAI–록히드마틴 간 전략적 MOU의 연장선상에서 추진되는 것으로, 양사는 본 계약을 계기로 M&S(Modeling & Simulation) 분야에서의 협력 관계를 한층 강화하게 된다. KAI는 이번 계약에서 시뮬레이터의 주요 구성품의 최신화와 현장 기술지원을 수행해 공군 조종사 훈련 환경의 품질 향상과 장비 신뢰성 제고를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우리 공군 조종사들이 실제 비행과 유사한 환경에서 훈련할 수 있도록 높은 충실도와 현실성을 갖춘 최적의 훈련 환경을 제공할 예...
기사 본문
한국항공우주산업(KAI) 제공 [파이낸셜뉴스]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지난 7일 미국 록히드마틴(Lockheed Martin)으로부터 대한민국 공군 KF-16 시뮬레이터 성능개선 사업의 핵심 파트너로 선정돼 계약을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 KAI는 과거 자체 기술로 개발해 공군에 납품한 9대의 KF-16 시뮬레이터를 최신 F-16 바이퍼(Viper) 형상으로 성능개선할 예정이다. 사업기간은 약 6년으로 납품 이후 후속지원 업무까지 포함된다. 이번 성과는 지난 KAI-록히드마틴 간 전략적 MOU의 연장선상에서 추진되는 것이다. 양사는 본 계약을 계기로 Modeling & Simulation(M&S) 분야에서의 협력 관계를 한층 강화하게 된다. KAI는 이번 계약에서 시뮬레이터의 주요 구성품의 최신화와 현장 기술지원을 수행하여 공군 조종사 훈련 환경의 품질 향상과 장비 신뢰성 제고를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우리 공군 조종사들이 실제 비행과 유사한 환경에서 훈련할 수 있도록 높은 ...
기사 본문
부문장·본부장급 임원들, 매주 일요일 '경영개선위' 회의 열기로 올해 잇단 사업 수주 실패·사장 공석 장기화…자구책 마련 박차 한국항공우주산업(KAI) 본관 전경(KAI 제공). ⓒ 뉴스1 ⓒ News1 박주평 기자 (서울=뉴스1) 임여익 허고운 기자 =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본부장급 이상 임원들을 대상으로 올해 하반기 성과급을 반납하고, 주 6일 근무를 시행하기로 했다. 최근 연이어 사업 수주에 실패하는 등 경영 실적이 악화하며 자구책을 마련한 것이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KAI는 지난 3일 사내 공지를 통해 "회사는 최근 잇따른 사업 실주로 한국형전투기(KF-X), 소형무장헬기(LAH) 등 대형 체계개발 사업 이후 미래 먹거리 전망이 불투명해진 가운데 기존 사업도 현안과 리스크가 지속되며 우리의 생존을 위협하고 있다"며 대안 마련을 위한 '경영개선위원회'의 활동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부문장과 본부장급 임원들로 구성된 위원회는 앞으로 매주 일요일마다 출근해 사내 전반적인 개...
기사 본문
KAI-LM간 전략적 협력 관계 기반으로 양사 간 지속 협력 강화 경남 사천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미국 록히드마틴(Lockheed Martin)으로부터 대한민국 공군 KF-16 시뮬레이터 성능개선 사업의 핵심 파트너로 선정돼 계약을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 KAI는 과거 자체 기술로 개발해 공군에 납품한 9대의 KF-16 시뮬레이터를 최신 F-16 바이퍼(Viper) 형상으로 성능개선할 예정이며 사업기간은 약 6년으로 납품 이후 후속지원 업무까지 포함된다. 이번 성과는 지난 KAI–록히드마틴 간 전략적 MOU의 연장선상에서 추진되는 것으로 양사는 본 계약을 계기로 Modeling & Simulation(M&S) 분야에서의 협력 관계를 한층 강화하게 된다. ▲KF-16 시뮬레이터 성능개선. ⓒKAI KAI는 이번 계약에서 시뮬레이터의 주요 구성품의 최신화와 현장 기술지원을 수행해 공군 조종사 훈련 환경의 품질 향상과 장비 신뢰성 제고를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우리 공군 조종...
기사 본문
KAI, 미국 록히드마틴 주관 'KF-16 시뮬레이터 성능개선사업' 계약 체결 "KAI-LM간 전략적 협력 관계 기반으로 양 사 간 지속 협력 강화" KAI 제공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미국 록히드마틴(Lockheed Martin)으로부터 대한민국 공군 KF-16 시뮬레이터 성능개선 사업의 핵심 파트너로 선정돼 계약을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 KAI는 과거 자체 기술로 개발해 공군에 납품한 9대의 KF-16 시뮬레이터를 최신 F-16 바이퍼(Viper) 형상으로 성능개선할 예정이며 사업기간은 약 6년으로 납품 이후 후속지원 업무까지 포함된다. 이번 성과는 지난 KAI–록히드마틴 간 전략적 MOU의 연장선상에서 추진되는 것으로, 양 사는 본 계약을 계기로 Modeling & Simulation(M&S) 분야에서의 협력 관계를 한층 강화하게 된다. KAI는 이번 계약에서 시뮬레이터의 주요 구성품의 최신화와 현장 기술지원을 수행해 공군 조종사 훈련 환경의 품질 향상과 장비 신뢰성 ...
기사 본문
시뮬레이터 최신 K-16 바이퍼 형상으로 개선 사진 제공=KAI [서울경제] 한국항공우주(047810) 산업(KAI)은 7일 미국 방산업체 록히드마틴으로부터 대한민국 공군 KF-16 시뮬레이터 성능개선 사업의 핵심 파트너로 선정돼 계약을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 KAI는 자체 기술로 개발해 공군에 납품한 9대의 KF-16 시뮬레이터를 최신 F-16 바이퍼 형상으로 성능 개선한다. 사업 기간은 약 6년으로 납품 이후 후속지원 업무까지 포함한다. 이번 계약은 앞서 KAI가 록히드마틴과 체결한 전략적 업무협약(MOU)의 연장선상에서 추진되는 것이다. 양 사는 본 계약을 계기로 모델링·시뮬레이션(M&S) 분야에서의 협력 관계를 한층 강화할 계획이다. KAI는 이번 계약에서 시뮬레이터의 주요 구성품의 최신화와 현장 기술지원을 수행해 공군 조종사 훈련 환경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장비 신뢰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우리 공군 조종사들이 실제 비행과 유사한 환경에서 훈련할 수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