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도 외면하는데…기업 死地로 모는 NDC [이슈&뷰]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韓, 온실가스 53∼61% 감축 추진 中 7~10%·美는 파리협정 탈퇴 마지노선 48% 제시 산업계 쇼크 기술투자·탄소배출권 부담 막대 에너지 다소비 업종 경쟁력 약화 당정이 2035년까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2018년 대비 53∼61% 감축하는 방안에 의견을 모았다. 앞서 정부는 온실가스 감축 목표치를 2018년 대비 각각 50∼60%, 53∼60% 감축하는 두 가지 안을 제시했는데 이보다도 높은 수준이다. 동시에 현행 목표인 ‘2030년 40% 감축’과 비교하면 하한선은 무려 13%포인트, 상한선은 21%포인트 오른 수준이다. ▶관련기사 3면 이에 그간 최후의 마지노선으로 48%를 제시했던 산업계는 패닉에 빠졌다. 전력·철강·수송 등 주요 제조업 전반에선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한 구조 개편과 막대한 비용 부담이 어떤 후폭풍으로 돌아올지 모르고 급기야 기업들의 존망을 결정지을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된다. NDC(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가...
기사 본문
'먼 미래'에서 '내 일'로 찾아온 기후변화 (313) 지난 6일, 2035년 NDC(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 정부안이 공개됐습니다. 우리나라의 온실가스 배출 정점인 2018년 배출량 대비 2030년까지 40%를 감축하겠다는 목표인 2030년 NDC에 이어 이번엔 그로부터 5년 후인 2035년까지의 목표를 확정해 연내 유엔기후변화협약에 제출을 해야 하죠. 이를 위해 기후에너지환경부는 부처 개편 직후인 9월 19일부터 전력(전환), 수송, 산업, 건물 등 부문별로도, 미래세대와 산업계, 지역사회 등 계층별로도 공개논의에 나서 다양한 의견들을 수렴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2035년까지의 감축목표로 4가지 안이 나왔습니다. 산업계 요구를 반영한 48% 감축안, 현 시점에서 2050년 탄소중립에 이르기까지 선형적인 감축 경로에 따른 53% 감축안, 1.5℃ 목표 달성을 위한 IPCC 권고에 따른 61% 감축안, 그리고 시민사회가 제...
기사 본문
탄녹위 심의 결과…2035 NDC 정부안보다 소폭 상향 국무회의 의결 절차 거쳐 유엔 제출 예정 배출권거래제 제4차 할당계획도 원안대로 의결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가운데)이 1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2035 NDC(국가온실가스감축계획) 등 안건의 탄소중립녹색서장위원회 심의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최서윤 기자 정부가 10일 김민석 국무총리 주재로 대통령 직속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전체회의를 열고 2035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를 53~61%로 의결했다. 부문별 목표는 △전력 68.8~75.3% △산업 24.3~41% △건물 53.6~56.2% △수송 60.2~62.8% 등으로 상이하다.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은 "2035년까지 2018년 대비 약 3억 톤(t)에서 3억 6000만t의 탄소를 감축하는 계획"이라며 "전력 분야에서 재생에너지를 2030년 100GW까지, 2035년 130~150GW로 높이면 탄소를 얼마나 줄일 수 있는지가 핵심적...
기사 본문
2018년 대비 53~61% 감축 목표 확정…정부 "실현가능·책임 있는 수준" 철강·정유 등 배출권 구매비 수조원 전망…"고용·R&D 위축 불가피"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이 10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별관 브리핑실에서 2035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 및 제4차 계획기간 배출권 할당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2025.11.10/뉴스1 ⓒ News1 임세영 기자 (세종·서울=뉴스1) 나혜윤 박기호 기자 = 대통령 직속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탄녹위)가 2035년까지 온실가스를 2018년 대비 '53~61%' 감축하는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를 확정했다. 이는 당초 정부가 제시했던 '50~60%', '53~60%' 감축안보다 상한선은 상향되고, 하한선도 높은 쪽이 채택된 것이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2035년까지 최소 3억 4890만 톤에서 최대 2억 8950만 톤으로 감축해야 한다. 2018년 기준 배출량은 7억 4230만 톤이다. 산업계는 "현실과 동떨어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