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보상, 자사주 소각 회피용 아니다” 삼성전자, PSU 루머 사내 공지로 반박

2025년 10월 17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25개
수집 시간: 2025-10-17 01:18:00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8개

국민일보 2025-10-17 00:57:10 oid: 005, aid: 0001808315
기사 본문

“주주가치 제고위해 10조 규모 매입 소각·주식보상 등 2027년까지 소진” 삼성전자 서초사옥. 연합뉴스 삼성전자가 최근 도입한 ‘성과연동 주식보상(PSU)’ 제도가 자사주 소각 의무를 회피하기 위한 수단이라는 일부 주장에 대해 “사실무근”이라고 반박했다. 삼성전자는 16일 사내 공지를 통해 “상법 개정에 따른 자사주 소각 의무를 회피하기 위한 수단으로 PSU 제도를 시행한 것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주주가치 제고 등을 위해 지난해 11월부터 지난달까지 총 10조원 규모의 자사주를 매입해 왔다고 설명했다. 이 가운데 8조4000억원 규모의 자사주는 소각 목적으로, 1조6000억원 규모의 자사주는 임직원 보상 목적으로 활용하겠다는 내용의 공시를 이미 진행했다고도 했다. 삼성전자는 이재용 회장 별도 지시에 따라 지난 14일 임직원들을 대상으로 향후 3년간 주가 상승 폭에 따라 자사주를 지급하는 PSU 제도를 도입하겠다고 발표했었다. 사원급인 CL(Career Level) 1~...

전체 기사 읽기

조선일보 2025-10-16 00:34:10 oid: 023, aid: 0003934721
기사 본문

[News&Why] 삼성전자 ‘자사주 보상’ 회사와 직원 온도차 삼성전자가 성과에 따라 자사주를 지급하는 ‘성과연동 주식보상(PSU·Performance Stock Units) 제도’를 처음 도입하면서, 임직원들의 반응이 엇갈리고 있다. 회사 측은 “그간 과거 실적에 대한 보상만 있었지만 미래에 대한 보상을 처음 약속한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반면 일부 직원들 사이에선 “기준이 너무 까다롭다”는 의견도 나온다. 삼성전자가 내세운 ‘미래 성장 보상’이라는 명분 뒤에는 인재 이탈을 막기 위한 대응, 주가 부양과 지배구조 부담 사이의 고민, 자사주 운용 관련 실리적인 전략이 복합적으로 얽혀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① 인재 붙잡기 차원 삼성전자는 15일부터 임직원 대상 PSU 약정 절차를 시작했다. 사원·대리급(CL 1~2)은 200주, 과장·차장·부장급(CL 3~4)은 300주씩 자사주를 주고, 임원은 직급에 따라 별도 수량을 지급한다. 기존 성과급과 별도인 일회성 추가 보너스다. ...

전체 기사 읽기

한국경제 2025-10-16 23:35:17 oid: 015, aid: 0005198008
기사 본문

"5.4조원 물량, 적절한 때에 소각" 삼성전자는 최근 도입을 밝힌 ‘성과연동 주식보상(PSU)’을 놓고 노동조합 등 일각에서 자사주 소각 회피용이라는 의혹을 제기하자 “사실이 아니다”고 해명했다. 삼성전자는 16일 사내 공지를 통해 “회사가 상법 개정에 따른 자사주 소각 의무를 회피하기 위한 수단으로 PSU 제도를 시행한다는 루머는 사실이 아니다”고 밝혔다. 주주가치 제고 등을 위해 삼성전자가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9월까지 매입한 자사주 10조원어치가 쟁점이다. 회사는 “이 중 8조4000억원 규모 자사주는 소각 목적으로, 1조6000억원 규모는 임직원 보상 목적으로 활용하겠다고 공시한 바 있다”고 했다. 이어 “소각 목적으로 매입한 자사주 중 3조원 규모는 소각했고 남은 5조4000억원 규모 자사주도 적절한 시점에 소각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임직원 보상 목적으로 매입한 자사주는 지난 5월 전 직원에게 1인당 30주씩 나눠준 자사주와 초과이익성과급(OPI) 등의 재원으로 활용...

전체 기사 읽기

헤럴드경제 2025-10-16 21:14:07 oid: 016, aid: 0002543075
기사 본문

사내 공지 통해 “PSU, 앞서 공시한 1조6000억원 재원에서 활용” 지난 14일 서울 삼성전자 서초사옥에서 그룹 깃발이 바람에 펄럭이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김영철 기자] 삼성전자가 새롭게 시행하기로 한 ‘성과연동 주식보상(PSU·Performance Stock Units)’ 제도가 ‘자사주 소각 회피용’이라는 일각의 주장에 대해 “사실무근”이라고 반박했다. 해당 의혹이 사내 게시판과 온라인 커뮤니티 등을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하자 이를 진화시키려는 모습이다. 삼성전자는 16일 오후 사내 게시판을 통해 “PSU 제도를 상법 개정에 따른 자사주 소각 의무를 회피하기 위한 수단으로 시행했다는 루머는 사실과 다르다”고 공지했다. 삼성전자는 지난 14일 3분기 잠정실적 발표 직후, 향후 3년간 주가 상승 폭에 따라 임직원에게 자사주를 지급하는 PSU 제도를 시행한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일각에선 이를 두고 “삼성전자가 보유 중인 자사주 소각을 회피하기 위해 임직원에게 자사주를 지급하...

전체 기사 읽기

세계일보 2025-10-17 06:03:18 oid: 022, aid: 0004075632
기사 본문

3년간 성과 연동 주식보상 시행 회사와 직원 ‘윈윈 성장’ 큰 의미 발표 후 신주 발행설 등 의혹 제기 사내 공지문 통해 조목조목 반박 삼성전자가 도입하기로 한 ‘성과연동 주식보상(PSU)’ 제도에 대해 일각에서 자사주 소각 회피용이라는 주장이 제기된 데 대해 16일 임직원들에게 “사실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삼성전자는 이날 사내 공지를 통해 PSU 도입 발표 후 제기된 의혹에 대해 조목조목 반박했다. 삼성전자가 시행하기로 한 PSU 제도는 3년간 주가 상승 폭에 따라 모든 임직원에게 자사주를 지급하는 내용이 골자다. 이 기간 삼성전자 주가가 오를수록 임직원들이 받는 보상도 커진다. 사진=연합뉴스 PSU 제도 도입 발표 이후 일각에선 삼성전자가 자사주 소각 의무를 회피하기 위해 해당 제도를 도입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현재 국회에서 논의되는 3차 상법 개정안은 자사주 소각을 의무화하되 임직원 보상 목적의 자사주에는 예외를 허용한다. 삼성전자가 이를 활용해 자사주 소각을 회피하려는 것...

전체 기사 읽기

뉴스1 2025-10-16 19:27:11 oid: 421, aid: 0008543560
기사 본문

"임직원 보상 목적 활용 공시…2028년 이후 PSU 자사주는 추가 매입" 동기 부여·주주가치 제고 목적 PSU 두고 의혹…전사 차원 추가 안내 14일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서초사옥에서 관계자들이 사기를 새 것으로 교체해 게양하고 있다. 이날 삼성전자는 올 3분기 12조 원대의 영업이익을 기록하면서 반등에 성공했다. 매출액은 역대 분기 최고치를 경신했고 '10조 클럽'에 재차 가입했다. 2025.10.14/뉴스1 ⓒ News1 박지혜 기자 (서울=뉴스1) 박기호 기자 = 삼성전자(005930)는 16일 성과연동 주식보상(PSU) 제도를 두고 상법 개정에 따른 자사주 소각 의무를 회피하기 위한 수단이라는 일각의 의혹에 대해 "사실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이날 전사 공지를 통해 PSU 제도에 대해 '자사주 소각 의무 회피 수단'이라는 의혹에 대해 과거 공시 사실을 강조하면서 조목조목 반박했다. 삼성전자는 "회사는 주주가치 제고 등을 위해 2024년 11월부터 2025년 9월까...

전체 기사 읽기

서울경제 2025-10-16 21:59:10 oid: 011, aid: 0004544264
기사 본문

직원 성과공유용 자사주 향후 매입 [서울경제] 지난 14일 서울 삼성전자 서초사옥에서 그룹 깃발이 바람에 펄럭이고 있다. 이날 삼성전자는 연결 기준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이 12조 1000억 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31.81%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공시했다. 매출은 86조 원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8.72%, 전 분기 대비 15.33% 증가하면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연합뉴스 삼성전자(005930) 가 보유한 자사주 5조 4000억 원을 소각하고 새로 도입한 성과연동주식보상(PSU) 제도를 위한 자사주를 추가로 매입한다. 삼성전자가 자사주 소각 의무를 피하기 위해 새로운 제도를 발표했다는 노동조합의 근거 없는 주장을 일축한 것이다. 삼성전자는 16일 PSU와 관련한 잘못된 사실을 바로잡기 위해 사내에 제도를 설명하는 공지를 띄웠다. 공지에서 삼성전자는 “상법 개정에 따른 자사주 소각 의무를 회피하기 위한 수단으로 PSU 제도를 시행했다는 루머는 사실과 다르다”고 밝혔다. 삼...

전체 기사 읽기

SBS 2025-10-16 21:48:40 oid: 055, aid: 0001300386
기사 본문

삼성전자가 새롭게 시행하기로 한 '성과 연동 주식 보상'(PSU·Performance Stock Units) 제도가 '자사주 소각 회피용'이라는 일각의 주장에 대해 "사실무근"이라고 반박했습니다. 삼성전자는 오늘(16일) 오후 사내 게시판을 통해 "PSU 제도를 상법 개정에 따른 자사주 소각 의무를 회피하기 위한 수단으로 시행했다는 루머는 사실과 다르다"고 공지했습니다. 삼성전자는 지난 14일 3분기 잠정 실적 발표 직후, 향후 3년간 주가 상승 폭에 따라 임직원에게 자사주를 지급하는 PSU 제도를 시행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일각에서는 이를 두고 "삼성전자가 보유 중인 자사주 소각을 회피하기 위해 임직원에게 자사주를 지급하는 보상 정책을 마련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현재 정치권에서 추진하고 있는 3차 상법 개정안은 자사주 소각을 의무화하는 한편 임직원 보상 등의 예외는 허용하고 있는데 삼성전자가 이를 이용하기 위해 PSU 제도를 도입했다는 주장입니다. 아울러 임직...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