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별로 안 쓴 것 같은데 통장 '텅텅'인 이유 있었네"…의식주 물가, 1.6배 더 올랐다

2025년 10월 17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29개
수집 시간: 2025-10-17 01:15:20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서울경제 2025-10-16 18:20:13 oid: 011, aid: 0004544226
기사 본문

해당 사진은 기사와 무관함. 뉴스1 [서울경제] 전기요금, 아파트 관리비, 식료품 등 서민 생활과 직결된 ‘의식주 물가’가 최근 5년간 전체 물가보다 1.6배 더 빠르게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월급은 그대로인데 생활 필수 비용이 다른 품목보다 크게 오르면서 체감물가가 더 크게 느껴진다는 분석이다. 16일 한국경제인협회가 김상봉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에게 의뢰해 진행한 ‘민생물가 상승 요인 분석 및 대책’ 보고서에 따르면, 2019~2024년 최근 5년간 의식주 물가의 연평균 상승률은 4.6%로 전체 소비자물가지수(CPI) 연평균 상승률(2.8%)보다 1.8%포인트 높았다. 가장 많이 오른 건 주거비였다. 5년 새 전기·가스·연료비가 연평균 7.0% 급등했고, 수도요금과 관리비 등 주거 서비스 물가도 4.3% 뛰었다. 2019년 1㎡당 2245원이던 공동주택 관리비는 올해 2988원으로 33% 늘었다. 국민평형(전용 84㎡) 기준으로는 월 18만8000원대에서 25만원으로 올랐다. ‘먹...

전체 기사 읽기

아시아경제 2025-10-16 06:00:00 oid: 277, aid: 0005664983
기사 본문

전체 물가 상승률보다 높아 주거 5.5%로 상승세 가장 커 식재료비 올라 외식 물가도 상승 "의식주 분야별 대책 마련해야" 최근 5년간 전기요금, 장바구니, 아파트 관리비 등 의식주 물가가 급등하면서 실제 물가상승률보다 체감 물가 부담이 더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인협회는 16일 김상봉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에게 의뢰한 '민생물가 상승 요인 분석 및 대책' 보고서를 통해 최근 5년간(2019~2024년) 의식주 물가 연평균 상승률이 4.6%로, 전체 물가(2.8%) 대비 1.8%포인트 높았다고 밝혔다. 한경협은 "민생과 직결된 의식주 물가의 가파른 상승으로 서민들의 체감물가 부담이 컸을 것"이라며 민생물가 안정을 위한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의식주 항목 중 가장 높은 상승세를 보인 것은 주거 물가였다. 최근 5년간 주거 물가는 연평균 5.5% 올라 전체 물가 상승률을 크게 웃돌았다. 세부적으로는 ▲전기·가스 및 기타연료(7.0%) ▲수도·주거 관련 서비스(4.3%...

전체 기사 읽기

더팩트 2025-10-16 06:01:09 oid: 629, aid: 0000434331
기사 본문

한경협 '민생물가 상승 요인 분석·대책' 보고서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김상봉 한성대 교수에게 의뢰한 '민생물가 상승 요인 분석·대책' 보고서를 통해 최근 5년간 의식주 물가가 전체 소비자 물가보다 빠르게 올랐다며 민생물가 안정을 위한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16일 밝혔다. /이새롬 기자 최근 5년간(2019~2024) 의식주 물가가 전체 소비자 물가보다 빠르게 올라 실제물가와 체감물가 사이 괴리가 커졌다며 민생물가 안정을 위한 근본 대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김상봉 한성대 교수에게 의뢰한 '민생물가 상승 요인 분석·대책' 보고서를 통해 최근 5년간 의식주 물가가 전체 소비자 물가보다 빠르게 올랐다며 민생물가 안정을 위한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16일 밝혔다. 보고서에서 최근 5년간 소비자물가지수 중분류 항목 중 상승률 상위 15개를 바탕으로 민생과 직결된 의식주 항목을 분석한 결과, 주거 물가가 연평균 5.5% 오르며 가장 크게 올랐다. 주...

전체 기사 읽기

연합뉴스 2025-10-16 06:00:07 oid: 001, aid: 0015680784
기사 본문

한경협 보고서…"실제물가와 체감물가간 괴리 야기" 주거물가, 전기요금·관리비 인상으로 가장 큰 상승률 기록 [한경협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김보경 기자 = 최근 5년간 의식주 물가가 전체 소비자물가보다 빠르게 오르면서 실제 물가와 체감물가 간 괴리가 커졌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경제인협회는 16일 김상봉 한성대학교 교수에게 의뢰한 '민생물가 상승 요인 분석 및 대책'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는 2019∼2024년 소비자물가지수 중분류 항목 중 의식주와 관련되고, 상승률이 높은 항목을 중점적으로 분석했다. 그 결과 주거와 식생활, 의류를 합친 의식주 물가는 최근 5년간 연평균 4.6%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같은 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2.8%)보다 1.8%포인트 높은 수치다. 보고서는 이와 관련, "민생과 직결된 의식주 물가의 가파른 상승으로 서민들의 체감물가 부담이 컸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의식주 물가 중에서는 주거 물가가 가장 큰 연평균 ...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