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2029년 세계 정부 부채, GDP 100% 돌파 전망"

2025년 10월 17일 수집된 기사: 3개 전체 기사: 31개
수집 시간: 2025-10-17 01:15:01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15개

뉴스1 2025-10-16 11:12:06 oid: 421, aid: 0008541887
기사 본문

미국 워싱턴의 국제통화기금(IMF) 본사 벽에 로고가 새겨져 있다. 2018.09.04/ ⓒ 로이터=뉴스1 ⓒ News1 권진영 기자 (서울=뉴스1) 권영미 기자 = 국제통화기금(IMF)이 오는 2029년까지 전 세계 정부 부채가 세계 국내총생산(GDP)의 100%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제2차 세계대전 직후인 1948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15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에 따르면 IMF는 최근 발표한 '재정 모니터(Fiscal Monitor)'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히며 코로나19 팬데믹 이전부터 정부 부채가 예상보다 빠르게 증가했고, 팬데믹 당시 각국 정부가 국민 보호와 기업 지원에 나서면서 부채가 더욱 확대됐다고 분석했다. 세계정부 부채 비중은 각국 중앙 정부의 부채를 합산한 총액이 세계 GDP에 대비해 얼마인가를 분석한 것이다. 이것이 100%라 함은 전 세계 정부가 가진 부채 총액이 세계 경제 규모(GDP)와 같다는 뜻이다. IMF는 각국 정부가 지출을 인프라, ...

전체 기사 읽기

연합뉴스 2025-10-16 10:04:12 oid: 001, aid: 0015681226
기사 본문

미국, 올해 125% → 2029년 140.1% 한국은 53.4% → 62.7%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황정우 기자 = 국제통화기금(IMF)은 2029년 국내총생산(GDP) 대비 전 세계 국가채무 비율이 1948년 이후 최고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IMF는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리는 IMF·세계은행(WB) 연차총회를 앞두고 15일(현지시간) 발표한 '재정점검보고서'(Fiscal Moniter)에서 2029년 GDP 대비 전 세계 일반정부채무(General Government Gross Debt·D2) 비율이 100%를 넘어설 것으로 추정했다. D2는 국내에서 주로 사용하는 국가채무(D1: 중앙정부+지방정부·교육 지자체 부채)에 비영리 공공기관의 채무를 더한 광의의 정부 채무다. 국제사회에서 정부 간 비교를 할 때 널리 통용되는 개념이다. IMF는 "이러한 전망치는 팬데믹 이전에 우리가 예상했던 것보다 더 높고 더 가파른 증가 경로를 반영한...

전체 기사 읽기

디지털타임스 2025-10-16 16:43:58 oid: 029, aid: 0002987576
기사 본문

1~8월 관리재정수지 적자 88조3000억…국가채무 1261조 IMF, 한국정부 부채 “올해 53.4%, 2030년 64.3%까지 상승 전망” 9월 한국을 방문한 라훌 아난드 IMF 연례협의단 단장. [기획재정부] 올 들어 8월까지 나라살림 적자가 88조원 이상 늘어나며 코로나19 이후 역대 두 번째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기간 국가채무도 1261조원 가량으로 전월보다 20조원 이상 불어났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우리 정부의 부채 비율이 올해 53.4%에서 3년 뒤 60%를 넘어선 뒤 2030년 64%까지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국가 부채 비율이 60%를 넘기면 신용 위기 가능성이 커질 수 있어 재정 등 구조개혁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6일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월간 재정동향 10월호'에 따르면 정부의 실질적인 재정 상태를 보여주는 관리재정수지는 1~8월 88조3000억원 적자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 2020년 코로나19로 대규모 재정을 집행했던 96조원보다 역대 ...

전체 기사 읽기

KBS 2025-10-16 10:30:30 oid: 056, aid: 0012047829
기사 본문

국제통화기금(IMF)은 2029년 국내총생산(GDP) 대비 전 세계 국가채무 비율이 1948년 이후 최고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IMF는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리는 IMF·세계은행(WB) 연차총회를 앞두고 현지시각 15일 발표한 ‘재정점검보고서’에서 2029년 GDP 대비 전 세계 일반정부채무(General Government Gross Debt·D2) 비율이 100%를 넘어설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일반정부채무(D2)는 국내에서 주로 사용하는 국가채무(D1), 즉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교육 지자체 채무에 비영리 공공기관의 채무를 더한 광의의 정부 채무를 가리키며, 국제사회에서 정부 간 비교를 할 때 널리 통용되는 개념입니다. IMF는 “이러한 전망치는 팬데믹 이전에 우리가 예상했던 것보다 더 높고 더 가파른 증가 경로를 반영한다”고 설명했습니다. 특히 IMF는 최근 몇 년 동안 재정 위험이 커졌다고 강조했습니다. 글로벌 금융 시장에서 금리가 상당히 상승해 증가하는 부채 상환...

전체 기사 읽기

조선비즈 2025-10-16 16:03:09 oid: 366, aid: 0001115003
기사 본문

韓, 11개 비기축국 중 3번째로 부채 비율 높아 기재부 “경기 회복 위한 적극적 재정 운용 불가피” 비토르 가스파르 IMF 재정담당 이사가 15일(현지시각) 미국 워싱턴 DC에서 열린 언론 브리핑에서 최신 재정 모니터를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제통화기금(IMF)이 한국의 일반정부 부채(D2)가 2030년 국내총생산(GDP) 대비 64%를 넘을 것으로 전망했다. 일반정부 부채는 국가 간 비교에 사용하는 지표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채무를 합한 국가채무(D1)에서 비영리공공기관의 부채까지 더한 지표다. IMF는 올해 한국의 D2 비율을 전년(49.8%)보다 3.6%포인트(p) 상승한 53.4%로 전망했다. 이는 IMF가 선진국으로 분류한 11개의 비기축통화국 중 싱가포르(175.6%), 이스라엘(69.2%)에 이어 세 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16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IMF는 ‘재정점검보고서(Fiscal Monitor) 10월호’에서 한국의 일반정부 부채(D2)가 2030년 G...

전체 기사 읽기

뉴시스 2025-10-16 14:21:34 oid: 003, aid: 0013538781
기사 본문

IMF 재정점검보고서…2030년 일반정부 부채 전망 정부 "경기회복 위한 확장 불가피…IMF도 적절 평가" "내년 예산 구조조정·비과세 정비 등 부채 최소화" [워싱턴=AP/뉴시스]2021년 4월5일 미국 워싱턴에 있는 국제통화기금(IMF) 건물의 IMF 로고. [세종=뉴시스]임하은 기자 = 국제통화기금(IMF)이 향후 5년 내 한국의 일반정부 부채 비율이 국내총생산(GDP) 대비 64%를 넘어설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16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IMF는 최근 발표한 '재정점검보고서 10월호'에서 한국의 일반정부 부채(D2)가 2030년 GDP 대비 64.3% 수준까지 상승할 것으로 진단했다. 일반정부 부채는 국가 간 비교에 사용하는 지표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채무를 합한 국가채무(D1)에서 비영리공공기관의 부채까지 더한 지표다. 이번 IMF의 발표는 정부의 '2025~2029 국가재정운용계획'상 국가채무(D1) 수준을 반영했다. 정부는 GDP 대비 국가채무 비율은 올해 49....

전체 기사 읽기

한국경제TV 2025-10-16 17:07:57 oid: 215, aid: 0001227280
기사 본문

국제통화기금(IMF)가 한국의 일반정부 부채(D2)가 오는 2030년 국내총생산(GDP) 대비 64.3% 수준까지 상승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16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IMF는 15일(현지시간) 발표한 '재정점검보고서'(Fiscal Monitor)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D2는 국내에서 주로 사용하는 국가채무(D1: 중앙정부+지방정부·교육 지자체 부채)에 비영리 공공기관의 채무를 더한 광의의 정부 채무다. 국제사회에서 정부 간 비교를 할 때 널리 통용되는 개념이다. IMF는 한국의 GDP 대비 일반정부채무 비율을 2025년 53.4%, 2026년 56.7%, 2027년 58.9%, 2028년 60.9%, 2029년 62.7%, 2030년 64.3%로 전망했다. 이번 IMF의 발표는 정부의 '2025~2029 국가재정운용계획'상 국가채무(D1) 수준을 반영한 결과다. 앞서 정부는 올해 GDP 대비 국가채무 비율이 올해 49.1%에서 2026년 51.6%, 2027년 53.8%, 202...

전체 기사 읽기

아시아경제 2025-10-16 11:20:50 oid: 277, aid: 0005665281
기사 본문

막대한 재정지출 속 고금리 부담 최대 우려는 "금융 시장 혼란" 2010년 유럽 '파멸의 고리' 연상 지난 14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개막한 국제통화기금(IMF)·세계은행(WB) 연차총회에서 참석자들이 발언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전 세계 정부가 고금리 상황에서 재정지출을 계속 늘리면 4년 내로 국가채무비율이 100%를 넘어설 것이라고 국제통화기금(IMF)이 15일(현지시간) 경고했다. 과거 전시(戰時) 상황에 준할 정도로 각국 정부의 재정건전성이 악화될 것이란 진단이다. 미국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빅토르 가스파르 IMF 재정국장은 "전 세계 공공부문 부채가 2029년쯤 국내총생산(GDP)의 123%에 이를 수 있다"며 "이는 제2차 세계대전 직후 기록한 사상 최고치(132%)에 맞먹는 수준"이라고 말했다. 가장 우려스러운 상황은 금융 시장에서 혼란(financial turmoil)이 발생하는 경우다. 가스파르 국장은 지난 14일 공개된 IMF의 '재정점검보고서'를 인용...

전체 기사 읽기

한국일보 2025-10-16 18:29:06 oid: 469, aid: 0000892326
기사 본문

올해 D2 53.4%, 11개 비기축국 중 3위 IMF “완화적 재정·통화정책 적절” 국제통화기구(IMF)가 지난 15일 공개한 재정 모니터 10월호 표지 캡처. IMF 제공 국제통화기금(IMF)이 한국의 일반정부 부채(D2)가 5년 뒤 국내총생산(GDP) 대비 64.3%까지 치솟을 것으로 전망했다. 16일 기획재정부 등에 따르면 IMF는 15일(현지시간) 재정 모니터(Fiscal Monitor) 10월호를 공개하고 올해 한국 D2를 전년(49.8%)보다 3.6%포인트 상승한 53.4%로 전망했다. IMF가 선진국으로 분류한 11개 비기축 통화국 중 싱가포르(175.6%), 이스라엘(69.2%)에 이어 세 번째로 크다. 정부가 산출·관리하는 부채통계는 국가채무(D1), 일반정부 부채(D2), 공공부문 부채(D3)로 구분된다. D1은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채무를 합친 부채다. D2는 여기에 비영리 공공기관 부채까지 더해 산출하고, D3는 D2에 비금융 공기업 부채까지 더한 것이다. IM...

전체 기사 읽기

머니S 2025-10-16 14:52:21 oid: 417, aid: 0001107003
기사 본문

국제통화기금(IMF)이 향후 5년 내 한국 일반정부 부채 비율이 국내총생산(GDP) 대비 64% 수준까지 상승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사진은 IMF 로고. /사진=로이터 국제통화기금(IMF)이 향후 5년 내 한국 일반정부 부채 비율이 국내총생산(GDP) 대비 64%를 넘어설 것이라고 밝혔다. 16일 뉴시스에 따르면 IMF는 최근 발표한 '재정점검보고서 10월호'에서 한국 일반정부 부채(D2)가 2030년 GDP 대비 64.3% 수준까지 상승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일반 정부 부채는 국가 간 비교에 사용하는 지표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채무를 합한 국가채무(D1)에서 비영리 공공기관 부채까지 더한 데이터다. 이번 IMF 발표는 정부의 '2025~2029 국가재정운용계획'상 국가채무(D1) 수준을 반영했다. 정부는 GDP 대비 국가채무 비율은 올해 49.1%, 2026년 51.6%, 2027년 53.8%, 2028년 56.2%, 2029년 58.0%로 관측하고 있다. IMF는 올해 한국 D2...

전체 기사 읽기

서울경제 2025-10-16 17:40:29 oid: 011, aid: 0004544182
기사 본문

IMF "올해 韓 국가채무비율 53.4%" 11개 비기축통화국 중 세번째 규모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EPA 연합뉴스.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경제] 국제통화기금(IMF)이 5년 뒤 한국의 일반정부 부채(D2)가 국내총생산(GDP) 대비 64.3% 수준까지 상승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IMF는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리는 IMF·세계은행(WB) 연차총회를 앞두고 15일(현지시간) 발표한 '재정점검보고서'(Fiscal Moniter)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D2는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채무를 합한 국가채무(D1)에서 비영리공공기관의 부채를 더한 지표로, 국가 간 비교에 주로 사용된다. IMF는 한국의 경우 GDP 대비 D2 비율을 2025년 53.4%, 2026년 56.7%, 2027년 58.9%, 2028년 60.9%, 2029년 62.7%로 전망했다. 우리 정부는 이 비율을 2025년 49.1%, 2026년 51.6%, 2027년 53.8%, 2028년 ...

전체 기사 읽기

이데일리 2025-10-16 14:21:11 oid: 018, aid: 0006139500
기사 본문

IMF 정부부채전망동향 10월호 기재부 “IMF, 韓정부 재정기조 적절 평가… 지출구조조정 등 채무 증가 최소화 노력” [세종=이데일리 강신우 기자] 국제통화기금(IMF)가 한국의 일반정부 부채(D2)가 오는 2030년 국내총생산(GDP) 대비 64.3% 수준까지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한국정부가 발표한 ‘2025~2029년 국가 재정운용계획상 국가채무(D1)’ 수준을 고려한 결과다. D2는 국내에서 주로 사용하는 국가채무(D1, 중앙정부+지방정부·교육 지자체 부채)에 비영리 공공기관의 채무를 더한 광의의 정부 채무로 국제사회에서 정부 간 비교를 할 때 통용되는 개념이다. (사진=연합뉴스) 16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IMF는 ‘일반정부 부채 전망 동향(10월호)’을 통해 이 같은 내용을 밝혔다. 앞서 기재부는 한국의 국가채무가 올해 GDP 대비 49.1%에서 2026년 51.6%, 2027년 53.8%, 2028년 56.2%, 2029년 58.0%로 점차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

전체 기사 읽기

한국경제TV 2025-10-16 11:15:01 oid: 215, aid: 0001227235
기사 본문

국제통화기금(IMF)이 오는 2029년 국내총생산(GDP) 대비 전 세계 국가채무 비율이 100%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1948년 이후 최고 수준이다. IMF는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리는 IMF·세계은행(WB) 연차총회를 앞두고 15일(현지시간) 발표한 '재정점검보고서'(Fiscal Moniter)에서 2029년 GDP 대비 전 세계 일반정부채무(General Government Gross Debt·D2) 비율이 100%를 넘어설 것으로 추정했다. D2는 국내에서 주로 사용하는 국가채무(D1: 중앙정부+지방정부·교육 지자체 부채)에 비영리 공공기관의 채무를 더한 광의의 정부 채무로, 국제사회에서 정부 간 비교를 할 때 널리 통용되는 개념이다. IMF는 "이러한 전망치는 팬데믹 이전에 우리가 예상했던 것보다 더 높고 더 가파른 증가 경로를 반영한다"고 설명했다. 특히 IMF는 최근 몇 년간 글로벌 금융 시장 금리 상승으로 부채 상환 부담이 커졌고, 금융자산 가치 상승으로 ...

전체 기사 읽기

파이낸셜뉴스 2025-10-16 04:59:08 oid: 014, aid: 0005419925
기사 본문

[파이낸셜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4월 2일(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대대적인 상호관세를 발표하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15일 트럼프 관세가 미 정부 재정 수입을 늘리기는 했지만 미국의 막대한 재정적자를 정상화하는 데에는 큰 도움이 되지 못한다면서 의회가 서둘러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EPA 연합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대규모 관세 수입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막대한 재정적자는 여전히 세계 최고 부자나라들 가운데 압도적인 1위를 달리고 있다고 국제통화기금(IMF)가 15일(현지시간) 지적했다. IMF는 아울러 미국이 “되도록 빨리” 재정을 정상화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IMF는 이날 재정모니터 보고서에서 미국의 일반 정부 통합 재정수지가 선진국 가운데 최고가 될 것으로 우려했다. 통합 재정수지에는 채무에 대한 이자 지급도 포함된다. IMF는 미국이 올해 또 오는 2029년까지도 최고 재정적자 수준에서 벗어나지 못할 것으로 예상했다. 미국은 다른 ...

전체 기사 읽기

국제신문 2025-10-16 15:47:10 oid: 658, aid: 0000122939
기사 본문

'재정점검 보고서' 발표…53.4%→64.3% 기재부 "하반기 '재정구조 혁신TF' 가동" 우리나라 국내총생산(GDP)에서 일반정부 부채(D2)가 차지하는 비중이 현재 53% 수준에서 2030년 64%를 넘어설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기획재정부가 입주한 정부세종청사 중앙동 전경. 연합뉴스 기획재정부가 16일 공개한 국제통화기금(IMF)의 ‘재정점검 보고서’를 보면 IMF는 한국의 GDP 대비 일반정부 부채(D2) 비중이 2030년 64.3% 수준까지 상승할 것으로 예측했다. D2는 국가채무(D1, 중앙정부·지방정부·교육 지자체 부채를 합친 것)에 비영리 공공기관의 채무까지 더한 광의의 정부 부채다. 국제사회에서 정부 간 비교를 할 때 널리 통용되는 개념이다. IMF가 예측한 한국의 GDP 대비 D2 비중은 ▷2025년 53.4% ▷2026년 56.7% ▷2027년 58.9% ▷2028년 60.9% ▷2029년 62.7% 등 매년 상승한다. 향후 5년간 10.9%포인트 높아지는 셈이...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