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경제성장률 1% 넘어서나…취업자 증가세 지속도 관건[이번주 경제]

2025년 11월 10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5개
수집 시간: 2025-11-10 05:38:26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뉴스1 2025-11-09 13:14:07 oid: 421, aid: 0008592998
기사 본문

10월 금융시장 동향 발표…10·15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 효과 가늠좌 7일 오후 경기 평택시 포승읍 평택항에 수출용 차량들이 세워져 있는 모습. 2025.7.7/뉴스1 ⓒ News1 김영운 기자 (세종=뉴스1) 김승준 기자 = 이번 주(11월 10~14일)에는 한국개발연구원(KDI)의 경제전망과 국가데이터처의 10월 고용 동향 등 국내 경제 흐름을 진단할 수 있는 분석 결과가 발표된다. KDI는 매년 5월과 11월 경제전망을 발표하며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제시한다. 지난 5월에는 올해 경제성장률을 0.8%로, 내년도를 1.6%로 제시했다. 한미관세협상 타결에 따른 수출 불확실성 일부 해소 영향으로 이번 발표에서 전망치가 얼마나 오를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아울러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도 1.2%로 예측보다 높은 점도 긍정적이다. 다만 건설 투자가 올해 8.1% 감소한 것은 부정적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국가데이터처는 12일에는 '2025년 10월 고용동향'을 발표할 예...

전체 기사 읽기

머니투데이 2025-11-10 04:10:00 oid: 008, aid: 0005275566
기사 본문

정부도 국책연구기관도 달라진 경기진단, 왜? 3분기 GDP 발표 이후 '개선세' '빠른 회복세' 긍정적 표현 소비쿠폰 등 적극적 재정·반도체 호황 효과… 낙관은 일러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최근 경제상황에 대해 완만한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다고 진단했다. 정부가 성장세의 빠른 회복을 최근 언급하고 한국은행과 정부가 연간 1%대 성장률 회복 가능성을 시사한 데 이은 것이다. 국내 실질 GDP 성장률 추이. 이처럼 최근 대내외적으로 한국의 경제상황을 바라보는 온도 차가 달라진 가장 큰 요인은 새 정부 출범 이후 소비쿠폰 등 재정의 적극적인 역할에 따른 소비 개선세와 '반도체 사이클'에 따른 수출선방 등의 요소가 맞물린 결과로 풀이된다. 다만 지속성 여부는 변수로 남아 있다. 9일 경제동향을 발표한 KDI는 11월 보고서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건설투자와 수출 증가세 둔화에도 불구하고 소비를 중심으로 경기가 다소 개선되는 모습"이라고 밝혔다. 이는 "건설업 위축으로 낮은 생...

전체 기사 읽기

이데일리 2025-11-09 12:02:16 oid: 018, aid: 0006159917
기사 본문

KDI, 11일 ‘올해 하반기 경제전망’ 발표 종전 0.8%에서 1%대로 상향 조정 관심 두달연속 취업자 30만명대 이을지 주목 기재부 14일 ‘그린북’, 내수경기 진단은 [세종=이데일리 강신우 기자] 민생회복 소비쿠폰 등의 영향으로 소비가 개선세를 보인 가운데, 이번 주(10~14일)에는 하반기 경제성장률 전망치와 일자리 동향 등 경제 지표가 잇따라 나온다. (사진=연합뉴스) 9일 관가에 따르면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오는 11일 올해 하반기 경제전망을 발표한다. 내수 회복세에 더해 한미 관세협상 타결 효과가 반영되면서,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가 기존 0%대에서 1%대로 상향 조정될지 주목된다. KDI는 매년 5월과 11월 정기 경제전망을 발표하고, 2월과 8월에는 수정 전망치를 공개한다. KDI는 앞서 8월 전망에서 종전(5월)과 같은 0.8% 성장을 예상했다. 2차 추가경정예산(추경) 집행 등 경기 부양책으로 소비심리가 다소 개선됐지만, 건설투자 부진과 미국 관세 인상의 부정...

전체 기사 읽기

머니투데이 2025-11-09 13:40:00 oid: 008, aid: 0005275467
기사 본문

[서울=뉴시스] 홍효식 기자 = 2일 서울 중구 두타몰 광장에서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의 일환으로 열린 소상공인 우수제품 판매전 '모두의 동행' 행사에서 구윤철 기획재정부 장관과 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디지털온누리상품권 및 상생페이백 관련 홍보물을 전달받고 있다. 2025.11.02. /사진=홍효식 최근 대내외적으로 한국의 경제 상황을 바라보는 온도 차가 달라진 가장 큰 요인은 소비다. 민생회복 소비쿠폰의 정확한 영향은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하지만, 새정부 출범 이후 재정의 적극적인 역할로 소비 개선세가 나타난 것은 분명하다. 여기에 '반도체 사이클'에 따른 수출 선방 등의 요소가 맞물렸다. 지속성 여부는 변수로 남아 있다. 9일 경제 동향을 발표한 한국개발연구원(KDI)의 진단도 크게 다르지 않다. KDI는 매달 경제동향을 발표하고 최근 경제 상황에 대해 평가하는데, 이번달 보고서에선 "최근 우리 경제는 건설투자와 수출 증가세 둔화에도 불구하고 소비를 중심으로 경기가 다소 개선...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