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상공인연합회 "새벽배송 금지 현실화하면 손실보상 촉구"

2025년 11월 10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34개
수집 시간: 2025-11-10 02:16:42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8개

SBS 2025-11-09 19:33:17 oid: 055, aid: 0001306575
기사 본문

▲위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습니다. 소상공인연합회는 새벽배송 금지와 관련 "소상공인의 온라인 판로를 막아 돌이킬 수 없는 막대한 피해가 우려된다"고 오늘 밝혔습니다. 연합회는 오늘 논평에서 새벽배송 금지 주장에 대해 "민생경제 회복 노력에 찬물을 끼얹는 행위"라며 "무리한 새벽배송 금지 주장은 새벽배송으로 일상화된 소상공인 생태계와 나아가 한국 경제의 시스템을 일거에 붕괴시키겠다는 의도"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면서 "만에 하나라도 '택배 사회적대화기구'와 관련된 국회의원들이 노조 측의 주장을 일방적으로 수용해 새벽배송이 금지된다면, 즉각적인 강력한 항의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와 함께 쿠팡을 비롯한 새벽배송 온라인플랫폼 입점 소상공인들의 피해를 모아 손실보상 촉구에 나설 것을 불사"하겠다고도 강조했습니다. 민주노총 택배노조는 지난달 '택배 사회적대화 기구' 회의에서 "0시∼오전 5시 초(超)심야 배송을 제한해 노동자의 수면시간과 건강권을 최소한으로 보장하자"고 제안했습...

전체 기사 읽기

세계일보 2025-11-08 18:02:10 oid: 022, aid: 0004081183
기사 본문

민주노총 택배노조, “노동자 수면권·건강권 보장 위해 새벽 배송 제한 필요” ‘새벽 배송 금지 안 된다’는 택배 기사들 “현실 무시한 억지 주장”…쿠팡노조 “민노총의 보복” 한동훈 “건강권 보호 방안은 마련돼야 하나 민노총이 무슨 권한으로 직업 선택의 자유까지 침해하나” 장혜영 “직업 선택의 자유에 죽음을 각오한 일터를 선택하는 것까지 포함되면 안 돼”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산하 전국택배노조가 최근 더불어민주당 주도로 출범한 ‘택배 사회적 대화 기구’에서 0시부터 5시까지 심야시간대(새벽) 배송을 금지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이에 대한 찬반 논란이 거세다. 새벽 배송 금지는 과로사 방지 등 택배 노동자의 건강권을 위해 불가피한 조치라는 입장과 새벽 배송 일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직업선택권 및 새벽 배송을 이용할 수밖에 없는 소비자들의 편익을 침해한다는 입장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 특히, 쿠팡의 배송 기사 노조가 새벽 배송 금지를 반대하면서 “쿠팡노조의 민노총 탈퇴에 대한 보...

전체 기사 읽기

조선일보 2025-11-10 00:46:12 oid: 023, aid: 0003939915
기사 본문

정진영 쿠팡노조 위원장 인터뷰 민주노총 산하 택배노조가 주장한 ‘새벽 배송(오전 0~5시) 제한’을 둘러싼 논란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당사자인 쿠팡 택배 기사들 사이에선 연일 반대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최근 쿠팡 위탁 택배 기사들로 구성된 쿠팡파트너스연합회가 “기사 93%가 새벽 배송 제한에 반대한다”고 밝힌 데 이어, 정규직 택배 기사들이 속한 쿠팡노조도 “새벽 배송 제한은 민주노총을 탈퇴한 쿠팡노조에 대한 보복”이라며 반발하고 나섰다. 쿠팡에는 위탁 택배 기사 2만여 명과 정규직 택배 기사 6500여 명이 일하고 있다. 정진영(33) 쿠팡노조 위원장은 8일 본지 전화 인터뷰에서 “새벽 배송을 없애면 현장 노동자들은 임금 저하와 고용 불안에 시달리며 오히려 생존권을 위협받는다”며 “현장의 요구는 무작정 새벽 배송을 없애라는 것이 아니라, 휴식권을 보장하라는 것”이라고 말했다. 정 위원장은 2016년 쿠팡에 입사해 2019년부터 3년간은 심야 시간대 배송을 했다. 다음은 정 위원...

전체 기사 읽기

더팩트 2025-11-09 00:01:17 oid: 629, aid: 0000441835
기사 본문

민주노총 '새벽배송 제한' 요구에, 노노 갈등 조짐도 "새벽배송 없이도 잘 살아" vs "누군가의 일자리 박탈" 자정부터 새벽 5시까지 이뤄지는 '새벽배송' 제한을 두고 노동계와 정치권은 물론 시민들 사이에서도 찬반 논쟁이 격화되고 있다. 지난해 8월 14일 오전 서울 시내 한 쿠팡 배송 캠프에서 택배기사가 배송 준비 작업을 하고 있다. /뉴시스 자정부터 새벽 5시까지 이뤄지는 '새벽배송' 제한을 두고 노동계와 정치권은 물론 시민들 사이에서도 찬반 논쟁이 격화되고 있다. "야간노동은 건강에 치명적"이라는 입장과 "새벽배송으로 생계를 이어가는 사람들의 밥그릇을 뺏는 것"이라는 주장이 충돌한다. 8일 노동계에 따르면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산하 전국택배노동조합은 지난달 22일 '택배 사회적 대화기구' 회의에서 택배노동자 과로사 방지를 위해 초심야 시간대 배송 제한을 제안했다. 민주노총은 "새벽배송의 편리함은 노동자의 잠과 건강, 생명을 대가로 유지되고 있다. 쿠팡의 새벽배송은 ...

전체 기사 읽기

연합뉴스 2025-11-09 18:26:20 oid: 001, aid: 0015732289
기사 본문

택배기사 (PG) [김민아 제작] 일러스트 (서울=연합뉴스) 조민정 기자 = 소상공인연합회는 새벽배송 금지와 관련 "소상공인의 온라인 판로를 막아 돌이킬 수 없는 막대한 피해가 우려된다"고 9일 밝혔다. 연합회는 이날 논평에서 새벽배송 금지 주장에 대해 "민생경제 회복 노력에 찬물을 끼얹는 행위"라며 "무리한 새벽배송 금지 주장은 새벽배송으로 일상화된 소상공인 생태계와 나아가 한국 경제의 시스템을 일거에 붕괴시키겠다는 의도"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만에 하나라도 '택배 사회적대화기구'와 관련된 국회의원들이 노조 측의 주장을 일방적으로 수용해 새벽배송이 금지된다면, 즉각적인 강력한 항의에 나설 것이며 쿠팡을 비롯한 새벽배송 온라인플랫폼 입점 소상공인들의 피해를 모아 손실보상 촉구에 나설 것을 불사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민주노총 택배노조는 지난달 '택배 사회적대화 기구' 회의에서 "0시∼오전 5시 초(超)심야 배송을 제한해 노동자의 수면시간과 건강권을 최소한으로 보장하자"고 제안했으...

전체 기사 읽기

주간경향 2025-11-10 06:03:04 oid: 033, aid: 0000049772
기사 본문

소비자와 노동자의 싸움?…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등 공식 입장 없어 플랫폼 기업 책임 언급 안 돼…쿠팡 속도 경쟁·저임 구조도 논의돼야 쿠팡 배송 차들이 주차돼 있다. 연합뉴스 “장애아 어머니들, 노인들, 맞벌이 부부들… 많은 사람이 절실한 이유로 새벽배송을 이용하고 있는데, 이게 2000만명이다.” 지난 11월 3일 CBS라디오에서는 새벽배송을 주제로 장혜영 전 정의당 의원과 한동훈 국민의힘 전 대표가 토론을 벌였다. 한 전 대표는 ‘소비자 편익’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새벽배송 제한’에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 새벽배송 논란은 민주노총 택배노조가 ‘택배노동자 과로사 문제 해결을 위한 사회적 대화 기구’에서 ‘0시부터 5시까지 심야 시간 배송 제한’ 방안을 제안하면서 비롯됐다. 현재 대표적인 플랫폼 기업인 쿠팡은 1년 365일 하루도 쉬지 않고 주간배송 2회, 야간배송 3회 하루 총 5회 반복 배송을 한다. 자정 이후의 심야노동이 세계보건기구(WHO)에서 2급 발암물질로 분류된 만큼 노동...

전체 기사 읽기

대구MBC 2025-11-09 10:18:09 oid: 657, aid: 0000044586
기사 본문

추경호 구속영장 청구에 여야 충돌, 규정 위반 위법 사례 수사도 꼬리 자르기 한계 비판, 불붙은 새벽 배송 금지 논란 등 주간 이슈를 살펴봅니다.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외환 의혹을 수사하는 특별검사팀이 추경호 전 국민의힘 원내대표에 대해 구속영장을 청구했습니다. 한 번도 온화했던 적은 없지만, 정국은 더 냉각되고 있습니다. 2024년 12월 3일, 추경호 전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계엄이 선포된 이후 비상 의원 총회를 소집했는데요. 국회 본관 예결위 회의장에서 국민의힘 당사, 다시 국회, 다시 당사로 공지했습니다. 특검은 국회의장 명의로 12월 4일 0시 1분 국회의원 전원에 본회의장 소집 단체 문자를 발송했는데도 추 전 원내대표가 2분 뒤에 '당사'로 최종 공지한 것이 표결 방해의 증거로 보고 있고요. 또 여러 차례 장소를 바꾸는 과정에 한덕수 전 국무총리, 윤석열 전 대통령과의 통화가 있었던 점도 보고 있습니다. 추 전 원내대표는 표결을 방해할 의도가 없었다는 입장입니다. 경...

전체 기사 읽기

세계일보 2025-11-10 06:02:16 oid: 022, aid: 0004081396
기사 본문

민노총 ‘건강권’ 이유 금지 제안 “판로 막혀 피해… 민생경제 찬물”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이 노동자 건강권 보장을 이유로 ‘새벽배송 제한’을 주장하고 있는 가운데 소상공인 업계가 반발하고 나섰다. 소상공인연합회(소공연)는 9일 논평을 통해 “민노총 등이 제기한 새벽배송 금지 주장은 정부의 민생경제 회복 노력에 찬물을 끼얹는 행위”라고 주장했다. 소공연은 “새벽배송 제한 요구가 현실화되면, 소상공인의 온라인 판로를 막아 돌이킬 수 없는 막대한 피해가 우려된다”며 “내수 부진으로 인한 역대급 위기 속에 온라인 판매로 겨우 활로를 모색하던 소상공인들에게 난데없는 새벽배송 금지 논의는 크나큰 불안감을 넘어 생존의 위협으로 다가오고 있다”고 했다. 이 단체는 “무리한 새벽배송 금지 주장은 새벽배송으로 일상화된 소상공인 생태계와 나아가 한국 경제의 시스템을 일거에 붕괴시키겠다는 의도”라며 “노조가 상생이 아니라, 가뜩이나 어려운 민생경제에 재 뿌리겠다는 심산으로 밖에는 보이지 않는다...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