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공대위 무기한 농성 예고... “정부 나서야”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기업 회생 절차(법정 관리)가 진행 중인 홈플러스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가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홈플러스를 인수하겠다는 기업이 두 곳 나오긴 했지만, 사태가 악화되는 것을 막기 위해 정부가 개입해야 한다는 것이다. 홈플러스 한 매장 외관 /뉴시스 마트산업노조와 시민 단체 등이 참여한 ‘홈플러스 사태 해결 공동대책위원회’(공대위)는 8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인근에서 ‘제2차 홈플러스 살리기 국민대회’를 열었다. 이들은 홈플러스 인수 성사를 위해 정부가 해결 방안을 마련하고, 농협이 홈플러스를 인수하는 방법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집회에는 비공식 추산 1000명이 모였다. 공대위는 “만일 홈플러스가 폐점·청산의 길로 간다면 총 10만명의 일자리가 사라진다”며 “공적 기관이 중심이 돼 부실 채권을 정리하고, 지역 경제 회복을 위한 공적 해법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무기한 농성도 예고했다. 공대위는 ‘홈플러스 사태 해결 정부 개입 촉구 서명운동’으로 받은 30만명...
기사 본문
10월 31일 인수의향서 접수 마감 非유통사 2곳 관심...진정성 의문 MBK 홈플러스 사태 해결 태스크포스(TF) 단장을 맡은 더불어민주당 유동수 의원이 5일 서울회생법원 앞에서 마트산업노조 홈플러스지부 조합원, 민병덕·김승원 의원 등과 함께 홈플러스 정상화 촉구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이지완 기자] 홈플러스를 인수할 의향이 있다는 기업이 두 곳이나 등장했지만, 회생 인가 전 인수합병(M&A) 성공에 대한 기대감이 크지 않다. 인수의향서(LOI)를 제출한 기업 모두 유통업종과 연관성이 없어서다. 그렇다고 이들 기업이 자금력을 갖췄다고 보기도 어렵다. 이미 정치권에서는 시간이 걸리더라도 경영 역량과 자본력을 갖춘 실질적인 인수 기업을 찾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인수 후보자 등장에도 커지는 의구심 홈플러스가 새 주인을 찾기 위한 절차에 본격 돌입했다. 지난 10월 31일 마감된 공개입찰 LOI 접수에 복수의 기업이 참여하면서다. 현재 LOI를 제출...
기사 본문
홈플러스 청산 시 협력사 포함 10만명 일자리 증발 정부 개입 서명운동 30만 모여...대통령실 전달 계획 홈플러스 서울 지역의 한 매장. 납품 문제 등으로 인해 매대가 부실하다. [사진 이지완 기자] [이코노미스트 이지완 기자] 기업회생 절차를 밟고 있는 홈플러스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가 적극적으로 개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이는 홈플러스 사태 해결 공동대책위원회(이하 공대위)의 주장이다. 공대위는 마트산업노동조합과 시민단체 등이 참여하고 있다. 8일 공대위는 서울 용산 대통령실 인근에서 '제2차 홈플러스 살리기 국민대회'(집회)를 개최했다. 이날 집회에는 경찰 비공식 추산 1000명이 집결했다. 공대위는 현장에서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을 요구했다. 이들의 요구는 홈플러스 인수합병(M&A) 성공을 위한 해결 방안을 마련과 농협의 홈플러스 인수 방법도 검토 등이다. 공대위 측은 "홈플러스 청산 시 10만명의 일자리가 사라진다"며 "공적 기관 중심으로 부실채권을 정리해야 한다...
기사 본문
공대위 “폐점 땐 10만명 일자리 사라져” 대통령실에 30만명 서명 전달 예정 제2차 홈플러스 살리기 국민대회 [출처=연합뉴스] [헤럴드경제=노아름 기자] 마트산업노조와 시민단체 등이 참여한 ‘홈플러스 사태 해결 공동대책위원회(이하 공대위)’가 회생계획 인가 전 인수합병(M&A) 본입찰을 앞두고 정부의 적극적 대응을 요구했다. 공대위는 8일 용산 대통령실 인근 삼각지 파출소 앞에서 ‘제2차 홈플러스 살리기 국민대회’를 열어 홈플러스 인수 성사를 위해 정부가 해결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들은 농협이 홈플러스를 인수하는 방법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집회에는 경찰 비공식 추산 1000명이 모였다. 이들은 “만일 홈플러스가 폐점·청산의 길로 간다면 총 10만명의 일자리가 사라진다”며 “공적 기관이 중심이 돼 부실 채권을 정리하고, 지역 경제 회복을 위한 공적 해법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홈플러스 유동화전단채 피해자와 입점점주협의회 등이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