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벽배송 제한’ 논란에 소상공인 반발… “온라인 판로 막겠단 것”

2025년 11월 10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34개
수집 시간: 2025-11-10 00:16:25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8개

조선일보 2025-11-09 14:25:08 oid: 023, aid: 0003939824
기사 본문

서울 시내의 쿠팡 캠프에서 배송 기사들이 배송준비 작업을 하고 있다. /뉴스1 민주노총 산하 전국택배노동조합이 ‘새벽배송 제한’을 요구한 데 대해 소상공인 업계가 “소상공인의 온라인 판로를 막는 행위”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소상공인연합회는 9일 논평을 내고 “내수 부진 속에 온라인 판매로 겨우 활로를 찾던 소상공인들에게 새벽배송 금지 논의는 생존을 위협하는 조치”라며 “택배노조는 즉시 이 같은 요구를 철회해야 한다”고 밝혔다. 연합회는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주장은 정부의 민생경제 회복 노력에 찬물을 끼얹는 행위”라며 “만약 현실화된다면 쿠팡 등 새벽배송 플랫폼에 입점한 소상공인들의 피해를 모아 손실보상 요구에 나설 것”이라고 경고했다. 한국로지스틱스학회에 따르면 새벽배송과 주 7일 배송이 중단돼 택배 주문량이 40% 줄 경우, 소상공인 매출은 18조3000억원 감소하고 이커머스 업체 매출까지 합치면 경제적 손실이 54조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됐다. 새벽배송 시장은 2015년 40...

전체 기사 읽기

세계일보 2025-11-08 18:02:10 oid: 022, aid: 0004081183
기사 본문

민주노총 택배노조, “노동자 수면권·건강권 보장 위해 새벽 배송 제한 필요” ‘새벽 배송 금지 안 된다’는 택배 기사들 “현실 무시한 억지 주장”…쿠팡노조 “민노총의 보복” 한동훈 “건강권 보호 방안은 마련돼야 하나 민노총이 무슨 권한으로 직업 선택의 자유까지 침해하나” 장혜영 “직업 선택의 자유에 죽음을 각오한 일터를 선택하는 것까지 포함되면 안 돼”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산하 전국택배노조가 최근 더불어민주당 주도로 출범한 ‘택배 사회적 대화 기구’에서 0시부터 5시까지 심야시간대(새벽) 배송을 금지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이에 대한 찬반 논란이 거세다. 새벽 배송 금지는 과로사 방지 등 택배 노동자의 건강권을 위해 불가피한 조치라는 입장과 새벽 배송 일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직업선택권 및 새벽 배송을 이용할 수밖에 없는 소비자들의 편익을 침해한다는 입장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 특히, 쿠팡의 배송 기사 노조가 새벽 배송 금지를 반대하면서 “쿠팡노조의 민노총 탈퇴에 대한 보...

전체 기사 읽기

중앙일보 2025-11-10 00:02:00 oid: 025, aid: 0003481413
기사 본문

소상공인들이 ‘새벽배송(0~5시) 제한’ 주장에 강하게 반대했다. 소상공인연합회(소공연)는 9일 “민주노총 전국택배노조는 새벽 배송 금지 주장을 즉시 철회하라”며 “새벽배송 제한이 현실화화면, 소상공인 생태계를 붕괴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내수 부진 속에서 온라인 판매로 간신히 활로를 찾던 소상공인들에게 새벽배송 금지 논의는 생존의 위협”이라고 했다. 회원 수 80만여 명인 소공연은 국내 유일의 소상공인 법정 경제단체다. 한국로지스틱스학회에 따르면 새벽배송과 주 7일 배송이 금지될 경우 소상공인 매출은 연간 18조3000억원 감소할 것으로 추산된다. 쿠팡 등 e커머스 업체의 매출도 33조2000억원, 택배업계는 2조8000억원 각각 감소해 관련 경제적 손실이 연간 총 54조원에 달한다는 예측이다. 실제 소상공인과 중소업체의 우려는 크다. 전북 임실군 냉동채소업체 그린피아의 김학영 대표는 “다 망할 뻔한 사업이 e커머스 새벽배송 덕에 살아났다”며 “새벽배송이 사라지면 내 사업은...

전체 기사 읽기

주간조선 2025-11-08 13:00:17 oid: 053, aid: 0000053408
기사 본문

택배노동자 과로사 대책위원회 회원들이 지난 9월 1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 앞에서 택배노동자 과로 방지를 위한 제3차 사회적 합의 추진 선포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photo 뉴스1 지난 10월 22일 더불어민주당과 국토교통부, 택배 업계와 노동조합 등이 참여한 '택배 사회적 대화기구'에서 민주노총 택배노조가 '0~5시 초심야 배송 제한'을 제안했다. 택배노동자 과로사 문제 해결과 노동자의 수면시간·건강권을 보장하자는 것이다. 새벽 시간대 이뤄지는 쿠팡의 '로켓배송'이 특히 타깃이다. 이후 새벽배송 금지 논쟁은 뜨거운 화두가 됐다. 특히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와 장혜영 전 정의당 의원이 공개토론을 벌이는 진풍경이 벌어지기도 했다. 민주노총을 포함한 노동계가 문제삼는 것의 일단은 '심야 노동' 그 자체다. 새벽배송이 심야에 벌어지는데다 고강도·장시간 노동에 속하므로 노동자의 건강권을 침해한다는 것이다. 장 전 의원이 한 전 대표와의 토론에서 사례로 든 것도 쿠팡 야간 배송 노동자 ...

전체 기사 읽기

조선일보 2025-11-10 00:46:12 oid: 023, aid: 0003939915
기사 본문

정진영 쿠팡노조 위원장 인터뷰 민주노총 산하 택배노조가 주장한 ‘새벽 배송(오전 0~5시) 제한’을 둘러싼 논란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당사자인 쿠팡 택배 기사들 사이에선 연일 반대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최근 쿠팡 위탁 택배 기사들로 구성된 쿠팡파트너스연합회가 “기사 93%가 새벽 배송 제한에 반대한다”고 밝힌 데 이어, 정규직 택배 기사들이 속한 쿠팡노조도 “새벽 배송 제한은 민주노총을 탈퇴한 쿠팡노조에 대한 보복”이라며 반발하고 나섰다. 쿠팡에는 위탁 택배 기사 2만여 명과 정규직 택배 기사 6500여 명이 일하고 있다. 정진영(33) 쿠팡노조 위원장은 8일 본지 전화 인터뷰에서 “새벽 배송을 없애면 현장 노동자들은 임금 저하와 고용 불안에 시달리며 오히려 생존권을 위협받는다”며 “현장의 요구는 무작정 새벽 배송을 없애라는 것이 아니라, 휴식권을 보장하라는 것”이라고 말했다. 정 위원장은 2016년 쿠팡에 입사해 2019년부터 3년간은 심야 시간대 배송을 했다. 다음은 정 위원...

전체 기사 읽기

더팩트 2025-11-09 00:01:17 oid: 629, aid: 0000441835
기사 본문

민주노총 '새벽배송 제한' 요구에, 노노 갈등 조짐도 "새벽배송 없이도 잘 살아" vs "누군가의 일자리 박탈" 자정부터 새벽 5시까지 이뤄지는 '새벽배송' 제한을 두고 노동계와 정치권은 물론 시민들 사이에서도 찬반 논쟁이 격화되고 있다. 지난해 8월 14일 오전 서울 시내 한 쿠팡 배송 캠프에서 택배기사가 배송 준비 작업을 하고 있다. /뉴시스 자정부터 새벽 5시까지 이뤄지는 '새벽배송' 제한을 두고 노동계와 정치권은 물론 시민들 사이에서도 찬반 논쟁이 격화되고 있다. "야간노동은 건강에 치명적"이라는 입장과 "새벽배송으로 생계를 이어가는 사람들의 밥그릇을 뺏는 것"이라는 주장이 충돌한다. 8일 노동계에 따르면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산하 전국택배노동조합은 지난달 22일 '택배 사회적 대화기구' 회의에서 택배노동자 과로사 방지를 위해 초심야 시간대 배송 제한을 제안했다. 민주노총은 "새벽배송의 편리함은 노동자의 잠과 건강, 생명을 대가로 유지되고 있다. 쿠팡의 새벽배송은 ...

전체 기사 읽기

국제신문 2025-11-09 21:06:08 oid: 658, aid: 0000125420
기사 본문

서울 시내의 한 쿠팡 물류센터. 연합뉴스 모두가 잠든 고요한 새벽, 택배 배송 차량이 도착합니다. 한참 동안 물건 내리는 소리, 카트에 싣는 소리, 복도를 뛰어다니는 발소리가 울려 퍼집니다. 이 소리는 하루도 빼놓지 않고 매일 들리는데요. 최근 ‘새벽배송’을 두고 논란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민주노총 택배노조가 심야시간 배송 제한을 제안한 사실이 알려진 뒤 반대하는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논쟁이 시작됐죠. 새벽배송 규제 논쟁은 지난달 22일 민주노총 산하 전국택배노동조합(택배노조)이 과로 문제 해결 방안 중 하나로 ‘0시~오전 5시 배송 제한’을 제안한 사실이 언론 보도를 통해 알려지면서 시작됐습니다. 해당 안은 민주노총과 더불어민주당 주도로 출범한 협의체 ‘택배 사회적 대화 기구’에서 처음 나왔는데요. 새벽 시간대 고정 노동은 수면장애·심혈관 질환·암 등 심각한 건강 문제를 유발하는 만큼, 가장 문제가 되는 시간대 노동을 제한해 최소한의 노동자 수면·건강권을 보장하자는 취지였습니다. 논...

전체 기사 읽기

중앙일보 2025-11-09 18:04:44 oid: 025, aid: 0003481365
기사 본문

소상공인들이 ‘새벽배송(0~5시) 제한’ 주장에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소상공인연합회(소공연)는 9일 논평을 내고 “민주노총 전국택배노조는 새벽 배송 금지 주장을 즉시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새벽배송 제한이 현실화화면, 소상공인의 온라인 판로가 막혀 돌이킬 수 없는 피해가 우려된다”면서다. 회원 수 80만여 명인 소공연은 국내 유일의 소상공인 법정 경제단체다. 택배기사와 소비자단체에 이어 소공연까지 반대 의사를 밝히면서 관련 논쟁은 한층 뜨거워질 전망이다. 이날 소공연은 “내수 부진 속에서 온라인 판매로 간신히 활로를 찾던 소상공인들에게 새벽배송 금지 논의는 생존의 위협”이라고 밝혔다. 이어 “새벽배송 금지는 소상공인 생태계를 붕괴시킬 것”이라며 “새벽배송이 금지된다면, 쿠팡 등 새벽배송 온라인 플랫폼 입점 소상공인들의 피해 규모를 모아 정부에 손실 보상을 요구하겠다”고 예고했다. 민노총이 쿠팡 등 e커머스 업체의 새벽 배송을 제한하자고 주장해 관련 논쟁이 뜨겁다. 연합뉴스 한국...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