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스크 털어낸 최태원 회장…리더십 공고히 하고 미래 사업 박차

2025년 10월 17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16개
수집 시간: 2025-10-17 00:07:46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16개

MBN 2025-10-16 19:22:11 oid: 057, aid: 0001913538
기사 본문

【 앵커멘트 】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이번 파기환송 결정으로 계열사 지분 매각 등 최악의 상황을 피했습니다. 개인 리스크에서 한숨 돌린 만큼 그룹이 당면한 현안과 경영에 한층 더 집중할 수 있게 됐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이승민 기자입니다. 【 기자 】 최태원 회장의 이혼 소송은 SK그룹 차원에도 큰 부담이었습니다. 최 회장 몫의 SK 지분을 부부 공동재산으로 본 2심 판결 후 지배구조가 크게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가 계속돼 왔기 때문입니다. ▶ 스탠딩 : 이승민 / 기자 - "재계에서는 이번 판결로 최태원 회장이 SK그룹 지배구조를 둘러싼 최대 위기는 넘겼다는 반응이 나옵니다." AI 반도체 대규모 투자와 함께 대대적인 사업 구조개편을 추진 중인 최태원 회장. 경영권 위협 리스크를 털고 오롯이 사업에 집중할 수 있는 분위기가 만들어졌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 인터뷰(☎) : 김대종 / 세종대 경영학부 교수 - "지배 구조에 대한 위기를 덜 수 있게 되었다 경영 집중과 회사 본업에 ...

전체 기사 읽기

경향신문 2025-10-16 22:38:00 oid: 032, aid: 0003402614
기사 본문

지배력 유지·경영 행보 ‘청신호’ 소송 장기화 국면에 주가 5.62% ↓ 상고심 결과에 입장 밝히는 최태원 측 변호사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의 이혼소송 상고심이 열린 16일 서울 서초동 대법원에서 최 회장 측 이재근 변호사가 상고심 결과에 대한 입장을 밝히고 있다. 이준헌 기자 heon@kyunghyang.com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과 벌인 이혼소송에서 1조4000억원에 가까운 재산분할 위기를 피하게 되면서 그룹 내부는 ‘한숨 돌렸다’는 분위기다. 재산분할 부담 폭이 크게 줄어들 것으로 전망돼 최 회장은 그룹 지배력을 유지하면서 경영 행보에 박차를 가할 것으로 보인다. SK그룹은 이날 공식적인 입장은 밝히지 않았다. 법원 판결로 1조3808억원 재산분할의 부담을 털어낸 최 회장은 미국 출장길에 올랐다. 최 회장은 이날 오후 서울 강서구 김포국제공항 김포비즈니스항공센터를 통해 출국하며 자신의 이혼소송과 관련해 “대법원 판단에 대해...

전체 기사 읽기

디지털타임스 2025-10-16 18:38:27 oid: 029, aid: 0002987616
기사 본문

대법, 노태우 비자금 인정안돼 1.3조 재산분할 파기환송 결정 지분 매각 리스크 일부 해소 최태원 회장 그룹경영 이상無 대법원이 16일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과의 재산분할 규모만 1조3000억원이 넘는 이혼 소송을 파기환송하면서 자칫 경영권 리스크 위기에 처할 뻔 했던 SK그룹이 한숨을 돌리게 됐다. 현재 SK그룹 지배구조의 정점에 있는 SK㈜의 최 회장 지분율은 2분기 말 기준으로 17.9%, 노 관장은 6.7%를 보유하고 있다. 최 회장이 보유한 SK㈜ 주식의 가치는 이날 종가 기준으로 약 2조8000억원 수준이다. 최 회장 중심의 지배구조가 유지되면서 SK그룹은 인공지능(AI)을 중심으로 한 그룹 전반의 체질개선 작업을 계속할 수 있게 됐다. SK그룹은 지난해부터 운영개선(OI)을 통해 AI 중심의 체질개선에 나서고 있으며, 이번 대법원 판결로 반도체 경쟁력 강화 등을 위한 100조원이 넘는 초대형 투자계획도 차질없이 이행할 수 있게 됐다. 최 회장 ...

전체 기사 읽기

머니투데이 2025-10-16 18:10:19 oid: 008, aid: 0005264048
기사 본문

(종합)'1.4조원 파기환송'에 SK "명예회복"…최태원은 'AI 드라이브' [서울=뉴시스] 황준선 기자 =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16일 오후 서울 강서구 김포비즈니스항공센터를 통해 미국으로 출국하고 있다. 최 회장을 비롯한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구광모 LG그룹 회장 등 4대 그룹 총수들은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의 초청으로 미국 플로리다주 마러라고 리조트에서 열리는 투자 행사에 참석할 것으로 알려졌다. 2025.10.16. hwang@newsis.com /사진=황준선 대법원이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 간 이혼소송과 관련해 '재산분할 1조3808억원' 원심판결을 파기환송함에 따라 SK그룹에서도 안도의 한숨이 나왔다. 최 회장이 추진하던 AI(인공지능) 중심 그룹 구조 재편 작업 역시 더욱 힘을 받을 전망이다. 최 회장은 경영에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SK그룹 관계자는 16일 대법원의 파기환송 판결 직후 "비자금으로 회사...

전체 기사 읽기

중앙일보 2025-10-17 00:54:21 oid: 025, aid: 0003475889
기사 본문

최태원 최태원 SK 회장의 이혼 소송 리스크(위험)로 자칫 그룹 지배구조까지 흔들릴 뻔한 SK가 한숨을 돌렸다. 대법원이 조 단위 재산 분할을 선고한 2심 판결을 파기환송하면서다. 재계 2위 SK 수장이자 대한상공회의소(대한상의) 회장인 최 회장의 행보도 탄력받을 전망이다. 서울고법에서 법정 공방을 이어가더라도 재산 분할금은 상당히 줄어들 가능성이 크다. 최 회장이 그룹 지배구조의 정점인 SK㈜ 주식을 처분할 이유도 사라졌다. SK그룹은 지주회사인 SK㈜가 자회사를 지배하는 구조다. 현재 최 회장의 SK㈜ 지분은 17.9%다. 특수관계인을 포함해도 25.46%다. 대규모 재산 분할을 할 경우 SK 지배구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 소송이 ‘세기의 이혼’으로 불린 이유 중 하나다. 김경진 기자 미국 블룸버그는 2심 선고 직후 “최 회장이 이혼 소송을 해결하기 위해 SK㈜ 지분 일부를 양도·매각해야 한다면 회장 일가 지분율은 (당시 25%에서) 20% 아래로 떨어질 ...

전체 기사 읽기

조선일보 2025-10-17 00:56:31 oid: 023, aid: 0003935023
기사 본문

[최태원∙노소영 재산 분할] 최태원 “할말 없어” 노소영은 침묵 대법원이 16일 최태원 SK 회장과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의 이혼 소송 상고심에서 재산 분할 금액 1조3808억원을 다시 산정하라는 판결을 내리자, SK그룹은 경영 위험을 줄이게 됐다며 크게 안도하는 분위기였다. 노 관장 측은 이날 침묵했다. 최 회장은 개인 재산 대부분이 SK그룹 지주사인 SK㈜ 지분(17.9%·현재 약 3조원 규모)이어서 2심 판결대로 1조3800억원대 재산 분할이 유지됐다면, 이 주식을 일부 팔아야 할 뻔했다. SK㈜ 지분을 매각할 경우 지배력이 흔들리는 것은 물론, 경영권 분쟁 등으로 이어지면 SK그룹이 타격을 받을 것이란 관측이 많았다. 하지만 이날 대법원의 파기환송 판결로 최 회장 가정사가 그룹으로 번질 우려는 일단 사라졌다는 평가가 SK 안팎에서 나온다. 최 회장은 이날 오후 미국 플로리다로 출국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별장인 마러라고 리조트에서 열리는 기업인 행사에 참여할 예정이...

전체 기사 읽기

국민일보 2025-10-17 00:12:13 oid: 005, aid: 0001808285
기사 본문

대법 파기환송에 재산분할 부담↓ 최 회장 지배구조 영항 없을 듯 AI 전환·사업 재편 등 탄력 전망 대법원이 16일 최태원 회장과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의 이혼 소송에서 1조3800억원대 재산분할에 대한 파기환송을 결정하면서 SK그룹은 그룹 지배구조를 둘러싼 ‘경영권 리스크’를 일단 덜어내게 됐다. 아직 법정공방이 마무리된 건 아니지만, 최 회장의 재산분할 부담이 대폭 줄 것으로 예상되면서 최 회장의 이혼 소송으로 인한 그룹 지배구조 변화는 거의 없을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이에 따라 그동안 최 회장이 추진해온 그룹 인공지능(AI) 전환과 리밸런싱(사업구조 재편) 등 경영 행보에도 더 탄력이 붙을 것으로 예상된다. 최 회장은 이날 미국 출장길에 올랐다. SK그룹은 대법원의 파기환송 결정에 대해 별다른 입장을 내지 않았다. 다만 그룹 안팎에서는 이번 판결로 그룹 지배구조와 최 회장의 경영권에 대한 최대 위기를 넘겼다는 안도감이 곳곳에서 감지됐다. 지난해 5월 2심에서 노 관장에게...

전체 기사 읽기

서울경제 2025-10-16 16:14:16 oid: 011, aid: 0004544125
기사 본문

■ 최태원·노소영 이혼訴 파기환송 그룹 지배구조·경영권 안정화 글로벌 환경 대응 보폭 넓힐듯 [서울경제] 최태원 SK(034730) 그룹 회장의 이혼소송에 따른 경영권 리스크가 대법원의 ‘파기환송’ 판결과 함께 사실상 해소 국면에 들어섰다. 대법원이 2심의 재산 분할 결정에 오류가 있음을 지적하며 다시 심리하도록 판결해 1조 3000억 원이 넘었던 최 회장의 재산분할 액수는 대폭 줄어들 가능성이 높아졌다. SK그룹의 지배구조 역시 안정을 찾으며 최 회장이 구상하는 인공지능(AI) 확산과 사업 재편이 탄력을 받게 됐다. 대법원이 최 회장과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 간 이혼소송 상고심에서 2심 결과를 파기하면서 그룹 지주사인 SK㈜의 불확실성은 해소됐다. 최 회장은 SK㈜ 지분 17.7%를 보유한 최대주주로 특수관계인을 포함하면 우호 지분은 약 25%에 달한다. 재계에서는 2심 당시 재산 분할 액수(1조 3808억 원)가 대법원에서 확정될 경우 최 회장 지분의 일부 매각 또는 추가 담...

전체 기사 읽기

MBN 2025-10-17 08:54:14 oid: 057, aid: 0001913622
기사 본문

【 앵커멘트 】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이번 파기환송 결정으로 계열사 지분 매각 등 최악의 상황을 피했습니다. 개인 리스크에서 한숨 돌린 만큼 그룹이 당면한 현안과 경영에 한층 더 집중할 수 있게 됐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이승민 기자입니다. 【 기자 】 최태원 회장의 이혼 소송은 SK그룹 차원에도 큰 부담이었습니다. 최 회장 몫의 SK 지분을 부부 공동재산으로 본 2심 판결 후 지배구조가 크게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가 계속돼 왔기 때문입니다. ▶ 스탠딩 : 이승민 / 기자 - "재계에서는 이번 판결로 최태원 회장이 SK그룹 지배구조를 둘러싼 최대 위기는 넘겼다는 반응이 나옵니다." AI 반도체 대규모 투자와 함께 대대적인 사업 구조개편을 추진 중인 최태원 회장. 경영권 위협 리스크를 털고 오롯이 사업에 집중할 수 있는 분위기가 만들어졌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 인터뷰(☎) : 김대종 / 세종대 경영학부 교수 - "지배 구조에 대한 위기를 덜 수 있게 되었다 경영 집중과 회사 본업에 ...

전체 기사 읽기

한국일보 2025-10-17 07:00:19 oid: 469, aid: 0000892392
기사 본문

'노태우 비자금' 논리 깨지며 재산 분할액 대폭 축소 전망 지배구조 리스크 사실상 해소 "AI·반도체 중심 사업 속도" 4월 16일 서울 서초구 서울고등법원에서 열린 이혼 소송 항소심 공판에 나란히 출석하는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 연합뉴스 대법원이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의 이혼 소송에서 1조 원이 넘는 재산을 분할하라는 2심 판결을 파기 환송하면서 SK그룹은 한숨을 돌렸다. 만약 2심 판결대로 확정됐다면 최 회장이 보유 주식을 팔아 현금을 마련하는 과정에서 자산 규모 300조 원이 넘는 그룹의 지배 구조가 흔들릴 수 있다는 관측이 많았다. 하지만 대법원이 재산 분할 청구 부분을 "다시 심리하라"고 판단하면서 SK는 인공지능(AI)을 중심으로 진행 중인 사업 재편에 속도를 낼 수 있게 됐다. 그래픽=이지원 기자 이날 대법원 선고가 나오자 SK 내부에서는 "최악은 넘겼다"는 반응이 나왔다. 2024년 5월 2심 재판부의 판단에 따라...

전체 기사 읽기

부산일보 2025-10-16 16:01:12 oid: 082, aid: 0001349193
기사 본문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18일 서울 워커힐호텔에서 열린 '이천포럼2025'행사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1조 4000억 원에 가까운 재산 분할 규모로 ‘세기의 이혼’이라고 불린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의 이혼소송과 관련해 대법원이 16일 원심을 파기 환송했다. 거액의 재산 분할을 피할 여지가 커진 최 회장은 그룹 경영 현안에 더 집중할 수 있게 됐다. SK그룹은 별도의 공식 입장을 내지 않았지만, 내부적으로는 “한숨 돌렸다”는 분위기가 감지된다. SK 그룹 관계자는 “이번 판결로 비자금으로 SK가 성장했다는 오해가 해소된 만큼 구성원들의 명예와 긍지가 회복되길 바라고 있다”라고 말했다. 지난해 5월 2심 판결 이후 주요 경영진 긴급회의가 소집된 것과 달리 이날은 별도의 공지나 회의도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재계는 이번 판결로 최 회장이 그룹 지배구조와 관련된 최대 위기를 넘겼다고 보고 있다. 2심 당시 재산 분할액이 665억 원에서 1조 3808억 원으로 ...

전체 기사 읽기

매일신문 2025-10-16 17:11:13 oid: 088, aid: 0000975708
기사 본문

관세·공급망 글로벌 현안 집중…APEC CEO 서밋 성공 잰걸음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16일 오후 미국 출장을 위해 서울 김포비즈니스항공센터를 통해 출국하기에 앞서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과의 이혼 소송에 대한 대법원 판결 관련 질의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과의 이혼 소송에서 1조4천억원에 가까운 재산분할에 대한 파기환송 결정으로 위기를 면하게 됐다. 그동안 발목을 잡았던 비자금 관련 오명을 벗고 경영권을 강화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재계에서는 최 회장이 글로벌 경영환경 급변 대응과 인공지능(AI) 산업 확장, 한미 관세협상 지원 등 현안과 그룹 경영에 한층 더 집중할 수 있게 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16일 대법원 판결 이후 최 회장측 변호인은 "지난 항소심 판결에서 있었던 여러 법리오해와 사실오인 등 잘못이 시정돼 다행이다. 판결을 존중한다"고 밝혔다. 현재 최 회장과 SK 그룹은 공식 반응 없이 평소와 같은...

전체 기사 읽기

파이낸셜뉴스 2025-10-16 15:17:13 oid: 014, aid: 0005420306
기사 본문

대법원 파기환송, 그룹 경쟁력 강화 반도체, AI 등 신사업 전략에 속도 16일 미국행...그룹 경영에도 집중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이 지난 15일 서울 여의도 국회 사랑재에서 열린 사회적 대화 공동선언식에서 발언하고 있다. 뉴시스 [파이낸셜뉴스] 대법원이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의 이혼 소송 상고심에서 1조원대 재산분할을 명한 원심 판결을 파기환송함에 따라 SK그룹 '경영권 리스크'는 사실상 해소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번 판결로 SK그룹은 그간 지배구조 방어에 분산됐던 그룹의 시간과 역량을 미래 성장동력 확보에 집중할 수 있게 됐다. 인공지능(AI)과 반도체 중심 신사업 전략에 더욱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16일 재계에 따르면 이번 파기환송 판결로 SK그룹은 최태원 회장과 노소영 관장의 이혼 소송 여파가 지배구조로 번질 수 있었던 리스크를 털어냈다. 파기환송이 이뤄지지 않았다면 그는 재산분할금 1조3808억원을 마련하기 위해 상당수 보유 주식을 매각해야 했...

전체 기사 읽기

국제신문 2025-10-16 19:22:23 oid: 658, aid: 0000122988
기사 본문

노소영과 재산분할 파기환송 - 거액의 지주사 지분 처분 면해 - 그룹 최대 주주로서 지위 유지 - 분할액 재산정 놓고 다시 공방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과의 이혼 소송에서 1조4000억 원에 가까운 재산분할에 대한 파기환송 결정으로 최악의 위기는 피했다. 이에 따라 최 회장은 글로벌 경영환경 급변 대응과 인공지능(AI) 산업 확장, 한미 관세협상 지원 등 당면한 현안과 그룹 경영에 한층 더 집중할 수 있게 됐다. 다만, 재산분할액을 다시 정하기 위한 법적 공방이 재점화하는 등 당분간 개인적 리스크에서 완전히 벗어나기는 힘들게 됐다. 16일 대법원 판결 이후 최 회장 측 변호인은 “항소심 판결에서 있었던 여러 법리오해와 사실오인 등 잘못이 시정돼 다행이다. 판결을 존중한다”고 말했다. 최 회장이나 SK그룹은 공식 반응을 내지 않고 시장 반응을 지켜봤다. 재계에서는 이번 판결로 최 회장이 그룹 지배구조를 둘러싼 최대 위기는 넘겼다는 반응이 나온다. SK그룹은 지...

전체 기사 읽기

동아일보 2025-10-17 03:05:29 oid: 020, aid: 0003667810
기사 본문

[최태원-노소영 재산분할 파기환송] 최태원, 트럼프 초청으로 美 출국 “우리 경제 기여 최선 다하겠다” 노소영측 “특별히 할 말 없다” 서울 종로구 SK본사 전경. 2015.12.31 . 뉴스1 대법원이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 간의 이혼소송에서 2심 판결을 뒤집고 최 회장 측의 손을 들어주며 SK그룹은 안도의 한숨을 내쉬는 분위기다. 최 회장이 2017년 7월 법원에 이혼 조정 절차를 신청한 후 약 8년 만에 노 관장과의 재산 분할을 둘러싼 지배구조 리스크에서 어느 정도 벗어났기 때문이다. 최 회장은 당초 항소심(2심) 판결대로였다면 보유한 SK 지분 일부를 팔거나 담보로 대출을 받아야 하는 상황이었다. 항소심 재판부가 인정했던 노 관장 측 재산 분할 몫은 1조3808억 원이다. 당시 법원이 밝힌 최 회장의 재산은 3조9883억 원으로, 이 중 주식을 제외한 부동산, 현금 등 재산이 5000억 원 안팎으로 추정됐다. 최 회장은 6월 말 기준 SK㈜ 지분 1...

전체 기사 읽기

머니투데이 2025-10-17 04:10:00 oid: 008, aid: 0005264124
기사 본문

그룹 구조개편작업 청신호 대법원이 '재산분할 1조3808억원' 원심의 판결을 파기환송함에 따라 SK그룹에서도 안도의 한숨이 나왔다. 최태원 회장이 추진하던 AI(인공지능) 중심 그룹구조 재편작업 역시 더욱 힘을 받을 전망이다. 최 회장은 경영에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대법원 이혼 판결 요약 SK그룹 관계자는 16일 대법원의 파기환송 판결 직후 "비자금으로 회사가 성장했다는 오해가 해소됐다"며 "구성원들의 명예와 긍지가 회복되길 바라고 있다"고 말했다. 이 말에서 미뤄보듯 SK그룹은 최 회장의 소송을 그룹 차원에서 중요한 이벤트로 여겼다. 서울고법이 SK와 노태우정부의 '정경유착'을 사실상 인정하며 1조3808억원 규모의 재산분할을 결정한 것이 그룹의 성장역사를 부정한 격으로 받아들여졌기 때문이다. 지난해 2심 판결 직후 그룹 CEO(최고경영자)들은 "진실규명과 명예회복을 위해 결연히 대처하자"고 뜻을 모았다. 현실적인 이유도 있었다. 2심 판결이 확정될 경우 최 회장이 1...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