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보, 나 은퇴 안 하고 1년 더 일할 수 있대”…정년 늦추면 고령 정규직 5만명 은퇴 유예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해당 사진은 기사와 무관함. 클립아트코리아 [서울경제] 정년이 1년 연장되면 정규직 고령 근로자 약 5만명의 은퇴가 유예될 것으로 추산된다. 그만큼 청년층의 ‘질 좋은 일자리’ 공급이 줄어들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9일 국가데이터처가 경제활동인구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상용근로자(1년 이상 계속 근무가 예상되는 정규직)는 59세에서 60세로 넘어가는 시점에 급격히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1964년생 상용근로자는 59세였던 2023년 29만1000명에서 60세가 된 지난해 23만7천명으로 5만5000명 감소했다. 1960∼1964년생 전체로 보면 59세에서 60세 구간의 평균 감소 폭은 5만6천명, 감소율은 20.1%에 달했다. 법정 정년(60세)에 맞춰 대규모 퇴직이 이뤄지는 셈이다. 대기업의 감소폭은 더 컸다. 1964년생 대기업 상용직은 59세 때 4만5000명이었지만 1년 뒤인 작년 2만5000명으로 44.5% 급감했다. 1960∼1964년생 평균 감소폭도 1만7...
기사 본문
'60세→65세' 법적 정년 연장 논의 본격화 정년 연장 시 연평균 5만여 명 자리 지킬 듯 문제는 고령층 고용 유지 시 청년 채용 위축 '정년 연장·신규 채용' 병행 시 가점 등 거론 6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2025 고양시 중장년 일자리 박람회에서 구직자들이 채용 정보를 살펴보고 있다. 이날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민주노총을 방문해 법정 정년 연장과 관련 "법정 정년을 65세로 단계적으로 연장하는 방안이 정부의 국정 과제에 상당히 반영돼 있다"고 밝혔다. 뉴스1 청년층 고용 시장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정년 연장은 가능할까. 더불어민주당이 현재 60세인 법적 정년을 65세로 단계적으로 확대하는 '정년 연장' 논의에 본격 시동을 걸고, 양대노총도 '연내 입법' 압박에 가세하면서 논의가 급물살을 타고 있다. 저출생·고령화로 인한 미래 노동력 부족, 은퇴 시점과 연금 수령 연령이 차이 나 발생하는 '소득절벽' 문제 해결을 위해 정년 연장 논의가 필요하다는 데는 큰 이견이 ...
기사 본문
기업, 최대 5만5000명 1년 더 고용해야 청년 일자리 줄고 ‘쉬었음’ 인구 늘 우려 고령근로자 1명당 0.4~1.5명 감소 예상 정년을 현행 60세에서 61세로 1년 늘릴 경우, 정규직 고령 근로자 약 5만5000명의 퇴직 시기가 1년 미뤄질 것으로 분석됐다. 사진은 기사의 특정 사실과 관련 없음. 클립아트코리아 정년을 현행 60세에서 61세로 1년 늘릴 경우, 정규직 고령 근로자 약 5만5000명의 퇴직 시기가 1년 미뤄질 것으로 분석됐다. 하지만 기업들이 신규 채용을 줄여 청년층 취업난이 더 심각해질 수 있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9일 국가데이터처 경제활동인구 마이크로데이터를 통해 대한민국의 상용근로자 연령별 분포를 분석한 결과, 59세에서 60세로 넘어가는 시점에 고용자 수가 급격히 줄어들었다. 연령별 상용근로자 수. 국가데이터처 1년 이상 고용이 예상되는 안정적 일자리인 상용근로자의 경우, 1964년생은 59세였던 2023년 29만1000명에서 60세가 된 지난해 23만70...
기사 본문
노조 정년연장 압박에 여론 역풍…與특위, 원점서 재논의 勞 "임금삭감 소득공백 안돼" 使 "중소기업에 타격 집중" 시행속도 놓고도 입장차 민주당은 '세대갈등' 우려 "청년 일자리 가장 먼저 논의" 자율형 '멀티트랙' 대안 부상 임금체계 성과 중심으로 전환 퇴직후 재고용 제도와 병행을 노동계가 법정 정년을 65세로 연장하자는 주장에 불을 붙이고 정부·여당이 입법에 착수하면서 찬반 논쟁이 거세지고 있다. 저출생·고령화에 따라 은퇴 연령을 늘리는 것은 불가피한 과제가 됐지만 입법화를 밀어붙이면 부작용이 클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일률적 정년 연장을 요구하는 노동계와 비용 부담을 걱정하는 경영계 간 입장 차를 조율하는 과정에서 다층적인 대안을 마련하는 게 관건이 될 전망이다. 정년 연장이 청년 일자리를 잠식할 것이라는 젊은 세대의 우려를 해소해야 하는 점도 큰 숙제다. 9일 정치권에 따르면 더불어민주당 주도로 7개월간 이어온 정년 연장 논의는 사실상 원점으로 회귀했다. 민주당 정년연장특별...